한복 입은 남자
이상훈 지음 / 박하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복 입은 남자/이상훈/박하] 천재 과학자 장영실과 천재 화가 다빈치가 만나다.

 

루벤스의 그림 <한복 입은 남자>를 기억한다. 임진왜란 때 일본에서 노예로 팔려간 한 소년이 이탈리아에 정착했고, 그 소년이 자라 안토니오 꼬레아라는 이름으로 루벤스의 모델이 되었다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베니스의 개성상인>이라는 소설로도 나왔던 한복 입은 남자. 그는 정말 누구일까.

 

가제본으로 만난 <한복 입은 남자>는 상인이 아니라 과학자다. 우선 그가 입은 옷 중에서 철릭은 조선 초기 사대부들이 입던 옷이었기에 노예 소년이라는 기록도 맞지 않지만, 임진왜란 이라는 시기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 시절에 살았던 다빈치의 노트에 그려진 비행기나 자명종 등의 기구들이 조선 최대의 과학자였던 장영실의 비차, 자격루와 너무나 비슷하다는 점이다. 장영실이 다빈치의 아이디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장영실은 한글 창제에도 관여했고, <칠정산내외편>에도 참여한 것은 물론, 해시계, 물시계, 간의, 혼천의, 갑인자, 신기전 등 많은 발명품을 만든 천재가 아니었던가.

그런 천재가 임금의 가마를 잘못 지었다는 구실로 곤장을 맞고 관직을 박탈당한 뒤 어느 날 갑자기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조선에 버뮤다 삼각지가 있는 것도 아닌데……. 더구나 역사적인 기록에 철저했던 조선이었지만 유독 장영실의 관직박탈 이후의 기록이 전혀 없다니. 다른 사람들과 달리 장영실은 유배 간 기록도 없고, 죽음에 대한 기록조차도 없다. 노비 출신에서 세종의 사랑과 인정을 받아 종3품 대호군의 지위까지 오른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었지만 그의 기록은 의심스러울 정도로 실종상태다.

게다가 이탈리아에는 꼬레아라는 성을 가진 마을도 있다. 루벤스가 그린 <한복 입은 남자>와 관련 있지 않을까.

저자는 그런 의문에서 시작해서 조선 세종 때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의 실종, 세종이 그의 실종을 비밀스럽게 진행할 수밖에 없는 이유, 명나라 환관이었던 정화의 대원정에 장영실이 합류한 배경, 로마 교황청이 정화원정대를 배척하게 된 이유, 장영실이 피렌체에서 소년인 다빈치를 만나 교류한 이야기, 다빈치의 그림을 루벤스가 모사한 이야기 등을 소설로 펴냈다.

 

어떤 진리도 처음에는 부정되기 쉽다. 하지만 진리, 그 자체가 변화하진 않는다. 그것은 처음부터 있는 그대로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511)

 

잘 짜인 소설, 흥미진진한 소설이다.

엘레나 꼬레아가 조상의 물건이라며 가져온 장영실의 비망록에서 출발해서 헌책방 주인 강배의 한문해석, 이탈리아에 있는 꼬레아 성씨에 대한 의문점, <한복 입은 남자>의 복식의 특징으로 이어지는 이야기가 장영실로 연결된다. 더구나 정화 원정대까지 연결되다니. 15세기 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이 유럽으로 건너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교류하다니.

 

소설이지만 사실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생생한 이야기가 흥미롭다. 이 모든 게 사실이라면 세계의 역사는 새로 써야 하는데……. 소설이라고 해도 멋진 아이디어에 전율이 흐른다.

 

 

조선 복식사를 찾고, 사료를 찾고 그림을 분석하고 상상을 구체화하여 소설을 준비하는데 무려 10년의 공을 들인 소설이라고 한다. 역사 속에서 하루아침에 실종된 천재 과학자 장영실 미스터리를 읽은 느낌이다.

 

장영실이 지금의 비행기를 본다면, 지금의 시계를 본다면, 물시계와 비슷한 윈리로 돌아가는 인형 시계를 본다면 무슨 말을 할까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