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미움 받을 용기/인플루엔셜]아들러의 개인주의 심리학은 용기의 심리학~

 

 

예전에 심리학책의 한 자락에서 만났던 알프레드 아들러. 그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끌려 정신분석학자가 됐지만, 결국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개인주의 심리학을 만든 의사로 기억한다. 한때 제 1대 빈 정신분석학회 회장을 할 정도로 프로이트를 따랐지만 성 본능에 중심을 둔 프로이트에 반대하면서 정신분석학회를 탈퇴한 소신 있는 심리학자로 기억한다.

 

그 이후론 아들러에 대한 책을 처음 접한다. 시대가 그를 불러내는 걸까. 요즘 아들러에 관한 책들이 나오고 있는 걸 보면 말이다.

 

미움 받을 용기.

책의 부제가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이다.

 

책에서는 아들러의 이론에 기초해 인생의 과제, 인정욕구, 과제의 분리, 타자공헌, 공동체 감각, 자기수용, 용기 등의 개념을 설명한다.

재미있는 건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 형식이라는 점이다. 철학자와 청년, 두 사람의 대화만으로 이루어진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단조로운 느낌보단 참신하고 읽기 편하다. 마치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나 쉽게 쓰인 심리학 시나리오 같다.

 

철학자는 세계가 단순하다며 포문을 연다. 자신이 변한다면 행복해지는 세상이기에 그렇게 세계는 단순하다는 논리다.

 

-내 대답은 같네. 세계는 단순하고 인생도 그러하지.

-그것은 세계가 복잡해서가 아니라 자네가 세계를 복잡하게 보고 있기 때문일세.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의미를 부여한 주관적인 세계에 살고 있지. 객관적인 세계에 사는 것이 아니라네. 자네가 보는 세계와 내가 보는 세계는 달라.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는 세계일 테지. (책에서)

 

단순한 세계의 예로 제시하는 우물의 온도 이야기가 재미있다.

우물의 온도는 1년 내내 18도를 유지한다고 한다. 사시사철 일정한 온도의 우물물이지만 여름에 마실 때는 시원하게 느껴지고 겨울에 마실 때는 따뜻하게 느껴진다. 그렇게 우물의 온도가 달리 느껴지는 이유엔 인간이 주관의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느 과학 서적에서 읽은 동굴의 온도도 이와 비슷한데......

동굴의 내부 깊숙한 온도는 그 지역의 연평균 온도와 같다. 주관의 세계에서 보면 동굴 내부가 여름에는 시원하게 느껴지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느껴지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그러니 아들러의 결론은 나만 변하면 되는 거다. 변해야 행복해지고, 변하지 않는다면 고통의 번뇌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열등감의 총체인 인간이 행복하려면 스스로 변해야 한다는 말엔 공감이다. 하지만 변하고 싶어도 현실에서의 변화는 어려운 법인데......

 

-인간은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책에서)

 

인생이란 타인에 좌지우지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손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아들러에 따르면 인간은 목적을 따라 사는 인간이기에 현재의 목적이 운명을 좌우한다는 말이다. 그러니 아들러 이론에서는 트라우마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은 과거에 지배받지 않는 삶이며, 현재의 목적에 따른 불안의 고착화로 분노가 생길 뿐이다.

 

트라우마 이론으로 대표되는 프로이트의 원인론은 형태만 다른 결정론이자 허무주의의 입구일세.(책에서)

 

 

아들러는 인간은 과거의 트라우마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연히 스스로 정한 목적론에 따라 움직인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 주어졌느냐가 아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이다.(책에서)

 

아들러에 의하면 결국 불행도 행복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다. 스스로 고쳐나가는 삶, 목적에 이끌리는 삶, 스스로 선택하고 목적을 삼고 변하는 삶, 용기 있는 삶을 지향하는 것이 아들러의 개인주의 심리학이니까.

 

우리를 괴롭히는 열등감은 어디서 온 것일까. 아들러에 의하면 외부가 아닌 내부세계에서 온 다고 한다. ‘객관적 사실이 아닌 주관적 해석에서 온 것이다. 마찬가지로, 자랑도 열등감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변명도 열등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러니 열등감은 다분히 주관적인 것이다. 진정한 열등감은 타인과 비교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나와 비교해서 생긴 것이라니, 공감이다. 매사에 나만 바뀌고 내 생각만 바뀌어도 많은 것이 달라지는 세상이니까.

아들러 심리학은 그리스철학과 동일선상에 있는 사상이자 철학이라네. (책에서)

 

소크라테스처럼 철학자가 청년에게 대화와 문답을 통해 용기의 심리학을 깨치게 돕는 가정들이 흥미롭다. 청년의 주변인들의 사례를 통해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독특한 책이다. 심리학자나 정신분석학자가 아니라 철학자가 청년과의 대담에 나섰다는 것도 특색 있다.

    

책에서는 아들러의 심리학의 핵심 개념이자 가장 평가가 엇갈리는 이론인 공동체 감각’, 용기 부여의 과정,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 되기, 자기수용, 타자공헌, 인생의 조화, 행복에 대한 이야기들이 대화체로 설명되어 있다.

 

아들러의 이론이 개인주의 심리학인 줄만 알았지 용기의 심리학인 줄은 처음 알았다. 스스로 목적을 정해 용기 있게 변화를 이끄는 삶인지도 처음 알았다. 문답법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아니다. 하지만 청년의 질문에 답하기도 하고 반론하기도 하는 철학자의 모습에서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이 보인다. 아들러의 이론이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철학과 통하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