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동, 사랑으로 죽다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우동 사랑으로 죽다/김별아/해냄] 조선 최대 섹스 스캔들 어우동~

 

예나 지금이나 섹스 스캔들은 최고의 화제인가 보다. 남성중심의 유교 국가였던 조선에서 최대의 섹스 스캔들의 장본인은 어우동이라고 한다. 그녀는 기녀가 아니라 양반의 자식이자 왕실의 며느리였다. 그녀는 세종대왕의 형님인 효령대군의 손주 며느리였기에 세종대왕에게도 손주 며느리였던 셈이다.

 

그런 그녀가 섹스 스캔들을 일으켰다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다. 더구나 그녀의 섹스 상대는 양반에서 노비에 이르기까지 신분고하를 가리지 않았다. 더구나 종친과도 근친상간을 저질렀다고 한다. 성리학이 뿌리를 내리던 시절에 어찌 그런 일을 저지를 수 있었을까. 용감한 건가, 무모한 건가, 아니면 욕망의 분출을 도저히 억제할 수 없었던 건가.

    

 

어우동 스캔들은 15세기 성종 때에 일어난 일이지만 지금 생각해도 충격적인 섹스스캔들이다. 이미 영화나 드라마로도 나왔다지만 이번에 처음 접한다. 김별아 작가의 매력적인 문체로 어우동을 만났다. <어우동, 사랑으로 죽다>

 

어우동의 가정 분위기와 결혼 생활은 어땠을까.

어우동은 승문원 지사인 박윤창의 딸로 태어나 종친인 태강수 이동의 아내가 된다. 하지만 사이가 좋지 않은 부모와 방탕한 오빠 밑에서 자란 그녀는 바람기 많은 남편에게 마저 어이없는 오해로 소박을 맞게 된다.

 

병신 아비와 화냥년 어미, 부모에 대한 혐오 가득한 오빠, 기녀랑 놀아나며 아내를 버리는 남편 등 어느 것 하나 온전한 가정의 모습이 아니다. 그녀는 온화하고 따뜻한 가정의 기운을 느낀 적이 없어서일까. 소박을 맞은 그녀는 길가의 집을 구해 독립하면서 자유로운 생각을 하게 된다. 이후 그녀는 여종의 도움을 받아 현비라는 이름으로 여러 남자를 만나게 된다.

 

- 더 이상 불행하지 않을 거야. 남들이 쳐놓은 어둠의 그물에 갇혀 있지 않을 테니까. 누더기 먹옷 같은 기억 따윈 벗어 버려.

- 너는 이제까지의 어우동이 아니야.

- 지금 이 순간부터 네 이름은 현비(玄非). (49)

 

그리고 그녀는 사헌부 아전 오종년으로부터 시작해 양반과 노비, 길 가던 소년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욕망에 끌리는 대로 정을 통하게 된다. 심지어는 팔촌 시아주버니인 수산수 이기, 육촌 시아주버니인 방산수 이난과도 근친상간을 저지르게 된다.

 

그녀는 사랑을 확인하는 징표로 문신을 요구하기도 한다. 양반이 극소수의 세상에서 여러 조관들과 유생들과의 섹스스캔들은 순식간에 부풀려져 한양에 퍼지게 된다. 발 없는 말이 빨리 가듯, 그녀에 대한 추문은 한양을 뜨겁게 달구게 된다. 그리고 성종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되고…….

 

결국 사헌부의 상소문, 연루자의 증가로 인해 대사헌이 직접 나서 사건을 조사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반가의 아녀자, 종친의 며느리인 그녀가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음란행위를 했음을 밝히게 된다. 성종은 유배를 권하는 신하들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어우동을 교형( 목을 매다는 형벌)에 처하게 된다. 성리학적 질서를 잡고 해이해진 사회기강을 바로 잡으려고 그 본보기로 극형에 처햇다고 한다.

   

어린 시절 부모의 불화, 남편의 방탕한 기질이 없었다면 그녀의 음탕행위를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 모든 범죄에 핑계가 없으랴마는 그녀의 불우했던 가정이 자꾸만 떠올라 그녀에 대한 측은지심을 갖게 한다.

 

작가는 부정적이고 음탕한 이미지를 가진 어우동의 방탕을 이유 있는 방탕으로 그렸다. 그녀의 일탈적인 행동의 원인이 비정상적인 가정에서 비롯됨을 알리고 있다. 그녀 역시 불우한 가정의 희생자임을, 그런 행동으로 나올 수밖에 없음에 초점을 두고 그려냈다. 그리고 조금은 성적 자유주의자인 페미니즘의 시각으로도 그렸다.

 

어우동 스캔들을 읽으면서 그녀의 내적 아픔이 느껴지기도 하고, 이유 있는 방탕으로도 여겨지지만 그래도 지나치지 않나 싶다. 아직까지도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오르고 있는 어우동 스캔들은 한국사에서 최대스캔들이 아닐까.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신분의 벽을 넘을 수 있다니, 그 시절 한양 사람들의 수군거림이 들려오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