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4.11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샘터 11월호/샘터]좋은 이야기, 힘이 되는 이야기들~

 

11월은 미틈달, 예쁜 이름이네요.

산에는 벌써 단풍이 지고 낙엽이 쌓이고 있던데요.

선선한 가을바람 맞으며 억새밭을 거닐고 싶네요. 지금 전국은 억새축제가 한창이라던데요.

    

 

샘터 11월호는 영원한 청년 작가, 최인호 선생님을 기리고 있네요.

최인호 1주기이랍니다.

118일까지 서울 평창동 영인문학관에 가면 최인호 작가의 집필실 모습이 그대로 재현되어 있답니다.

 

최인호 작가는 침샘암으로 투병하면서도 죽는 날까지 글을 쓴 대단한 작가죠. 항암치료로 손톱이 빠지면 고무 골무를 끼우고 매일 글을 썼다니, 글에 대한 지독한 사랑이네요.

 

마지막 장편소설인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집필한 앉은뱅이책상이 소개되어 있군요. 예전에 샘터에서 연재하던 <가족>, 저도 읽은 적이 있어요. 작가의 다른 소설들은 읽어보지 못했기에 <별들의 고향>, <지구인> 등을 읽고 싶네요.

   

악법도 법이다란 말은 없었다니, 이게 무슨 뜻일까요?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남긴 말이 아니랍니다. 허걱~~

 

그리스 말에서 이란 낱말은 정의를 의미한다. ‘악한 정의라는 말이 성립되지 않듯이 그리스어에서는 악법이란 말이 성립되지 않는다. ‘못 생긴 미녀란 말처럼 맞지 않는다.

소크라테스가 이 말을 했다고 거짓말을 한 사람은 일본의 법철학자 오다카 도모어. 1967년에 출간된 <법철학>에서 그는 소크라테스가 감옥에서 순순히 독배를 받은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정법을 따르는 것을 시민의 의무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궤변을 늘어놓았다. 소크라테스가 가장 싫어했던 궤변이다. (12)

   

악법과 정의는 절대 공존할 수 없는 것이죠. 여태 왜 우린 아무런 의심 없이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을 명언처럼 사용했을까요?

문제는 일본의 식민 시대였답니다. 일제 강점기에 경성제대 법학부에서 오다카 도모오는 한국인 제자들을 가르쳤어요. 그는 일본 군국주의 옹호자였기에 악법도 법이다는 말을 이용해야 했지요. 한국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말이죠.

하지만 일제 때부터 일본이 서울대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들을 우린 왜 아직도 벗지 못하는 걸까. 지금도 한국의 주류 사학자들이 식민사관 교육을 받은 후예들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기에 씁쓸해집니다. 잘못된 사실이나 역사를 바로 잡는 일이 왜 이렇게 더딜까요.

    

책에서는 모델이자 화가였던 쉬잔 발라동의 이야기, 경기 안산시 단원구 신부동에 정착한 고려인들이 정착하는 이야기, 서민 교수의 기생충 이야기, 신성우의 드라큘라공연이야기, 추어탕은 추억탕이라는 할머니의 부엌수업 등이 있답니다.

   

책을 읽다 보면, 샘터는 이름도 예쁘지만 늘 좋은 일을 알리고, 좋은 이야기를 퍼뜨리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