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존재감은 어디서 오는가 - 실력을 성공으로 바꾸는 최고의 비결
실비아 앤 휴렛 지음, 황선영 옮김 / 진성북스 / 2014년 9월
평점 :
[ 리더의 존재감은 어디서 오는가]성공 리더 이미지인 존재감을 키워라!
살다보면 한 리더의 존재감이 정말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꼭 필요한 사람, 반드시 있어야 될 사람이 함께하는 것만으로도 그 조직은 대단한 조직으로 보이니까.
어쩌면 실력보다 이미지로 굳혀진 존재감이야말로 생존기술일지도 모른다. 더구나 실력 있는 리더가 존재감까지 있는 리더가 된다면 상대를 압도하는 힘은 대단할 텐데.

실비아 앤 휴렛은 진정한 리더는 존재감부터 키우라고 한다. 내면의 잠재력을 어필하는 탁월한 이미지는 상대를 내편으로 만드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한다.
그녀는 20년간 글로벌 재능개발관련 일을 해온 경제학자이며 컬럼비아 비즈니스스쿨 여성리더십 프로그램의 공동 책임자라고 한다. 그녀는 여성, 소수자, 소외그룹이 직면한 ‘차이의 힘’, 그리고 도전과 기회에 대한 연구와 강연을 해왔다. 이 책은 리더십에 대한 그녀만의 오랜 경험과 연구의 결과물이다.
존재감이란 다분히 복합적으로 이뤄질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진정한 리더의 존재감이란 행동하는 방식으로서 진지함, 말하는 방식으로서 의사소통, 보이는 방식으로서 외모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고위 간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67%가 진지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의사소통능력이 28%, 외모가 5%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조직과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존재감의 요소로 진지함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다.
진지함의 기반에 있는 것들은 무엇일까.
진지함의 요소에는 지적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깊이와 영향력이 있다는 것, 자신감과 신뢰감이 있다. 여유와 위기대처능력, 어려운 시기에 리더가 차분하고 자신감 있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 위기가 고조에 이르렀을 때 믿음을 주며 신뢰감을 주는 것 등이 모두 진지함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진지함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요소가 있다.
자신감 또는 심한 압력에도 평정심을 유지하는 태도, 결단력 또는 결정력을 드러내는 적극성, 진실성 또는 권력자에게 진실을 말할 용기, 감성 지능 드러내기, 명성과 평판 및 출신 배경 관리하기, 비전과 카리스마 등이다.
진지함에 깊이를 더하고 싶다면 다음을 명심하는 것이다.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고 자신보다 더 뛰어난 사람들을 주위에 둔다.
승리의 공을 도움을 준 모든 이들에게 돌려야 한다.
직접 겪은 것, 구체적인 일화가 있는 것만 말하라.
자신의 실수와 실패, 결점을 인정하는 겸손함을 보여라.
행복과 호감, 에너지를 주려면 더 자주 웃어라.
자신의 존재감을 확립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의 존재감을 활용하라.
패배의 문턱에서 승리를 움켜쥐어라.
변화에 휩쓸리기 변화를 먼저 주도하라.

책에서는 존재감 있는 리더가 되기 위한 말하는 법에 대한 기술들, 보여 지는 이미지 관리에 대한 소소한 것들, 결과에 대해 피드백 하는 법 등에 대한 방법과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부록에는 ‘존재감 자가 진단‘이 들어 있다.
실비아 앤 휴렛은 자신의 연구결과와 경험을 살려 진정한 리더로 거듭나기 위해 존재감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리더의 존재감은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마인드를 바꾸고 스스로의 노력하고 가꾸는 데서 살아남을 보여주고 있다.
평범한 사람이라도 당당하고 자신 있는 태도를 취하면서도 신중하고 진지한 모습을 보인다면 누구나 존재감을 발산하겠지. 진지함, 의사소통, 외모에서 지나치게 부족하지 않고 어느 하나가 강점을 갖는다면 누구나 존재감을 키우게 될 것이다. 언제나 존재감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야말로 가장 필요할 것이다.
언제 어디에서나 존재감 있는 사람은 성공하기도 쉬움을, 인정받기도 쉬움을 일상에서도 체험하고 있기에 공감 가는 이야기가 가득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