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의 사회학 - 실패, 위기, 재앙, 사고에서 찾은 성공의 열쇠
메건 맥아들 지음, 신용우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실패의 사회학/메건 맥아들/처음북스] 실패, 위기, 재앙, 사고에서 찾은 성공의 열쇠

 

살다 보면 성공보다 실패가 더 많은 게 인생이다. 정확성보다 오류가 더 많은 세상이다. 많은 시행에는 실수가 넘쳐난다. 하지만 실수나 실패에 대해서 격려와 위로를 받기 보다는 비난이 쏟아진다. 만약 실수나 실패에 대해 격려와 위로를 받는다면 성공률이 더 높을까.

 

저자는 실패, 실수, 실험을 구분해야 하며 정당한 실패는 권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발전과 퇴보의 차이점은 실패를 받아들이고 실패를 딛고 일어나느냐 않느냐에 있다. 실패학에서는 실패 인생에서 배우고 깨쳐나가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한다.

 

저자는 말한다. 실패는 다른 기회라고. 이른 실패는 더 빠른 성공을 가져온다고. 여기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한다. 두려움 없는 용기는 어디에서나 긍정적인 작용을 하겠지.

 

무능한 사실이 들어날까 봐 공포를 느끼는 것을 가면증후군이라고 한다. 성공한 사람들 중에도 가면증후군을 겪는 사람은 많다고 한다. 이들은 자신의 위치에 대해 불안해하며, 어느 순간 능력이 들통 날까 봐 공포에 떤다고 한다. 실패를 두려워 한다는 의미다. 실패를 딛고 일어서는 용기와 두려움 없는 용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자기불구화 현상은 스스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전한다는 것이다. 그럴 땐 업무에 방해되는 행위를 의도적으로 하여 스스로 잘하지 못하는 핑계를 만든다고 한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능력보다 노력을 칭찬하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능력을 칭찬받은 아이보다 노력을 칭찬 받은 아이들의 결과가 더 성공적이라는 결과도 있다. 노력을 칭찬받은 아이는 어떤 일이든지 자신감을 갖고 도전하게 된다고 한다. 올바른 칭찬은 실패를 딛고 일어설 힘을 준다는 말이다.

 

심리학자인 드웩은 말한다. 부모와 선생이 아이들을 칭찬할 때 지능이나 재능, 외모를 언급하는 대신 노력을 칭찬하라고 한다. 학교에서는 성공은 과정이며. 능력은 변한다고 강조해야 하고, 성공보다는 노력을 가르치라고 한다. 새로운 것을 배우려 노력할 때 신경조직에 새로운 연결이 생겨나며, 반복을 통해 지적능력이 발달한다고 한다.

 

수렵채집과 농업사회를 거치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인류다. 실패에서 올바른 가르침을 배워 왔다. 미국은 유럽보다 새로운 사업에 대한 열정을 높이 산다. 미국은 실패도 열심히 한 노력한 대가라고 본다.

 

재앙이나 사고의 경우도 우연히 발생하지만, 경험을 통해 타당한 근거로 예상할 수 있어야한다. 사고는 경험을 기반으로 한 피할 수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위험을 피할 수도 있다. 무수한 실패의 경험을 성공에 활용하는 것이다.

 

저자는 말한다. 실패에 대해 성급한 판단을 하지 않도록 말이다. 인간의 행동에는 항상성 문제이기에, 때로는 엄한 처벌이 실패를 막기도 한다. 엄한 처벌이나 처벌은 교육을 위함이지 복수를 위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실패를 인정하는 가족, 실패를 인정하는 사회, 그 속에서 배움을 얻고 일어나는 것을 가르치는 사회가 발전의 열쇠를 쥐고 있다는 데 동감이다.

누구나 실패를 경험한다. 작은 실패로 가득 찬 경험들이 우리의 인생을 채우고 있다. 물론 실패가 영광스런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죄악도 아니다. 실패는 실패일 뿐이다. 스스로 회복해서 나아질 수 있는 회복력이 있다면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기도 하니까.

 

실수에서 배운다는 말에 공감이다. 실패를 딛고 일어서는 법을 터득해야 성공할 확률도 높다고 생각한다. 작고 감당할 수 있는 무수한 실패에서 용기를 내고 지혜를 얻는 것이 성공의 열쇠임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