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 마음 - 정말지 수녀의
정말지 글.그림 / 쌤앤파커스 / 2014년 7월
평점 :
[바보마음]삶이란....사랑으로 닳아버리는 것!
삶의 목적이 사랑으로 닳아버린다면 세상은 정말 훈훈할 겁니다. 누군가의 삶에 빛을 던져 준다면 세상은 밝게 빛날 것입니다. 누군가의 삶에 기둥이 되어 준다면 세상은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잡아갈 것입니다. 그런 멋진 사람을 만났습니다. 정말지 수녀님.
저자는 정말지 수녀.
17년 간 멕시코 찰코시에서 '소녀의 집' 원장으로 있으며 13,000명 멕시코 소녀들의 엄마랍니다. 한국마리아수녀회가 1991년에 세운 '소녀의 집'은 형편이 어려운 12~18세 소녀 4000 명에게 5년(중등 3년, 고등 2년)동안 무료로 가르치는 기숙학교입니다. 이곳에서는 정규 교과과정은 물론이고 재봉, 컴퓨터, 요리, 회계 등의 취업교육도 합니다. 게다가 태권도, 양궁, 핸드볼, 축고 등의 특기교육과 인성교육까지 한답니다. 이곳은 입학 경쟁률이 5 대 1로 굉장한 인기입니다. 졸업식에는 멕시코 대통령이나 영부인, 장관 등이 참석합니다. 멕시코 정부차원의 고마움 표시랍니다.
저자는 이곳에서 가난한 사람도 최고의 시설에서 최고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랍니다. 희망이 없던 아이들이 꿈과 희망을 찾고 자신감까지 얻어 학교를 떠날 때가 가장 보람 있다고 합니다.
놓아버릴 줄 알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영원할 것 같았던 어제를 떠나보낼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새로운 용기로 오늘과 오늘의 일과 만남에
당당하게 마주서게 하셔서
(중략)
감사합니다.
온 존재를 다하여 사랑하고
그 사랑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바람처럼
놓아버릴 줄 알게 하셔서.
감사합니다.
어둠이 짙을수록
새벽이 가까이 옴을 믿을 수 있게 하셔서.
(책에서)
사랑은 희생이 아니라 감사라는 저자. 온 존재를 다해 사랑하는 순간이 스스로의 실존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이겠죠. 저는 오늘도 영원할 것이라 믿으며 오늘을 시작합니다. 나 자신만을 위한 삶이기에, 문득 부끄러워집니다. 욕심을 조금 내려놓아야겠어요. 더 부끄러워지기 전에.
지금 여기 있는 나를 비키기
일에, 지나친 책임감에, 성공과 높은 점수에,
그 밖의 좋은 평가에 연연하는 사람은
자주 자기 본연의 모습을 잃게 됩니다.
외부환경에 의해 마음의 파장이 굵어지고
감정의 골도 깊어집니다.
눈에 보이는 결과가 허술하면
금방 기운을 잃고 걱정 속을 헤매게 됩니다.
(중략)
우리 영혼이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나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함몰되지 않도록,
그리하여 오롯이 '지금 여기'에 정착할 수 있도록,
남의 시선이나 외부의 평가에 신경을 곤두세우기보다
자기 마음의 소리에 더 집중해야 할 일입니다. (책에서)
과거와 미래를 생각하지 않을 순 없겠죠. 과거는 나의 바탕이고, 미래는 희망이니까. 하지만 오늘이 없는 과거와 미래가 무슨 소용 있을까요. 그런 생각이 들게 하는 시입니다. 과거나 미래를 잊지 않으면서 오늘에 더 집중하기, 눈에 보이는 결과보다 마음이 끌리는 것을 선택하기, 나의 진정한 가치를 찾기, 오늘의 화두입니다.
오래 참으리라는 결심,
낙담하지 않으리라는 결심,
상처받지 않겠다는 결심,
기쁘고 새롭게 다시 시작하리라는 결심,
결국 작심3일로 끝날지라도,
삶과 영혼을 지금보다 더 나은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모든 결심은
축복받아 마땅합니다. (책에서)
저자는 쉽게 용서하고 쉽게 잊어주는 마음을 바보마음이라고 했어요. 바보마음은 대가를 바라지 않고 그저 마음껏 주고픈 마음입니다. 주고 또 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진정한 사랑을 베풀 줄 아는 용기, 낮춤과 고통에도 고상할 수 있는 정신, 슬픔에 공감하고 아픔을 이해할 줄 아는 저자의 마음은 고귀한 마음이네요.
'사랑으로 닳아버립시다.' 라고 외쳤던 소화데레사 성녀님, 아마도 인도에서 가난한 이들의 이웃이 되어준 데레사 수녀님을 말하나 봅니다. 사랑으로 닳아버리는 삶, 자꾸만 되새기게 됩니다.
이 책은 저자가 직접 그림을 그리고, 직접 시를 쓴 책입니다. 예쁜 그림에 끌려서 보다가 아름다운 마음에 녹아드는 시집입니다.
쌤앤파커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한우리북카페 서평단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