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임금 잔혹사 - 그들은 어떻게 조선의 왕이 되었는가
조민기 지음 / 책비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조선 임금 잔혹사]왕으로 선택된, 왕이 되길 원했던, 왕이 되지 못한 남자이야기!

 

처음부터 끌렸던 책이다. 조선 왕들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들을 조각조각 꿰맬 수 있을 거라고 여겼으니까. 결론은 기대 이상!

평소 역사책을 보면 아쉬운 점이 한둘이 아니었다. 특히 조선 왕권을 휘두르던 절대 권력자 왕들이 좀 더 현명하고 힘이 있었더라면 나약한 군주가 없지 않았을까. 왕이 되기 위한 교육을 좀 더 철저히 받았더라면 중심을 잡은 정치로 중신들과 백성들의 신뢰를 받았을 텐데...... 왕자들에게 왕위를 두고 경선을 붙였더라면 방황하는 왕권이 되지도 않았을 텐데 …….

 

조선 시대 왕의 역사를 보면 혼돈과 불안의 역사다. 장자라고 해서 반드시 왕이 된 것도 아니고, 실력이 출중하다고 해서 왕이 된 것도 아니었다. 때로는 왕이 되어도 온전히 권력을 누리지 못하고 죽었고, 권문세가나 사대부의 휘둘림에 시달리기도 했다. 때로는 가족의 손에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 이렇게 왕의 목숨이 바람 앞의 등불 같았던 조선이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그 와중에 성군이 있었다는 것이 위로였다.

 

성군의 기준을 세운 임금, 세종.

 

역사의 모든 악업은 내가 짊어지고 간다. 주상은 성군의 이름을 만세에 남기라.-태종

 

4년 동안 아버지 이 방원(태종) 밑에서 정치를 익힌 세종은 아버지의 유언대로 조선의 문화를 꽃피운다. 조선의 모든 왕들이 세종과 같았더라면, 세종보다 더 훌륭했더라면…….

세종은 어린 시절부터 방대한 독서 습관을 가진 천재였다. 다른 왕족들이 무인의 피를 물려받아 사냥이나 격구 같은 운동을 즐긴 반면에 세종은 책을 다양하게 읽으면서도 꼼꼼히 읽었다. 아버지 태종이 장자이자 방탕아인 양녕대군을 폐위하고 충녕대군(세종)을 세자에 앉힐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충녕대군의 뛰어난 학문과 어진 성품이 워낙 출중했기 때문이었다. 세종의 안정적인 정치를 위해 외척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아준 것도 평소 절대왕권을 원했던 태종이었다. 야심가에 지략가였던 방원(태종)은 두 차례 왕자의 난을 거치면서 왕이 되었기에 왕권강화의 필요를 알았다. 그래서 자신의 처남들에게 사약을 내리고 세종의 장인인 심온에게도 역모의 죄를 덮어씌워 사약을 내렸다. 물론 심온의 아내와 딸들도 노비가 되었고 아들은 귀양을 보냈다.

 

그런 불행한 가족사를 딛고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세종은 학문과 제도와 문화를 꽃피운 조선 최대의 왕이 된다. 세종에게 있어서 가장 현명한 선택은 집현전 설치라고 생각한다.

처음 집현전 설치를 건의한 사람은 태종의 심복이던 박은이었다. 학문을 사랑했던 세종은 집현전의 기능을 정치적 역할이 아닌 왕의 자문 역할, 정책 개발 연구에 두었다. 그리고 뛰어난 수재들을 집현전 학사로 뽑았다. 세종은 자신의 분신처럼 집현전을 관리하면서 조세·재정·형법·교통 들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재정비 했고 윤리·농업·지리·수학·약재 등 실용서적 등의 많은 책들도 편찬했다. 과학기술에 관심이 많았던 세종은 서운관(천문학 연구)을 설치했고 혼천의와 자격루도 만들었다. 박연을 등용해 아악을 정비하고......

 

하루아침에 노비로 전락한 처가 식구들을 위한 배려였을까. 세종은 백성들을 위한 정치, 노비 처우 개선법까지 신경을 썼다. 심지어 관비의 출산휴가를 100일로 연장하고 남편에게도 1개월의 출산 휴가를 내리는 것을 법제화 할 정도였다. 노비에게 혹형을 가하지 못하도록 하고 노비를 죽인 주인을 처벌하는 등의 법도 만들었다.

 

공부는 좋아했지만 운동을 싫어했고, 고기를 좋아했지만 채소는 싫어했던 세종이었다. 그러니 비만, 풍질, 당뇨(소갈병), 시력 저하는 당연한 결과였으리라. 애석하고 안타까운 일이다. 책을 좋아했다는데 운동 서적은 왜 없었을까. 세종은 몸이 나빠지면서 세자(문종)에게 정치를 맡겼고 자신은 훈민정음 창제에 몰입했다고 한다. 훈민정음 창제 후 3년 만에 정식으로 반포하게 되었다.

 

세종에게서 아쉬운 점은 세자교육이나 직계후손교육이 아니었을까. 그의 승하 후 병약한 첫째 아들(문종) 역시도 이른 죽음을 맞았다. 이후 어린 손자 단종이 즉위하자 둘째 아들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을 일으키며 왕(세조)가 되었으니. 아들과 손자들에게 후계자 교육, 제왕학 공부를 철저히 시켰더라도 수양대군의 야심을 꺾기는 힘들었을까. 애초에 몸이 약한 첫째보다 야심차고 총명한 둘째를 왕으로 세웠더라면, 피비린내로 고통을 받지는 않았을 것을……. 세조의 왕위찬탈을 반대하던 집현전 학자들의 죽음 이후 학문을 연구하던 집현전이 폐쇄되었다는 것은 정말 애통한 일이다.

이 책에는 평소 드라마나 영화로 많이 다뤘던 왕들이 나온다.

역사가 사랑한 성군의 두 얼굴의 성종, 총애를 담보로 정치를 펼친 군주 중종, 당쟁을 이용해 왕권을 누린 임금 선조, 미완으로 사라진 성군의 영혼 광해군, 가장 최악의 군주 인조, 예정된 비극이 만들어 낸 화려한 폐허 연산군, 숙종, 정조, 소현세자, 사도세자, 효명세자까지…….

 

이전의 책에서는 단편적인 조선 왕들의 비극만 알았다면 이 책에서는 총체적인 조선 왕들의 비극 사를 알 수 있었던 책이다. 출생과 왕위 계승의 배경, 문화 창조의 바탕을 알 수 있었던 책이다. 글자 하나하나의 의미까지도 놓칠 수 없었던 책이다. 그런 왕들의 잔혹사가 있었기에 조선의 역사도 비참하게 흘러갈 수밖에 없었으리라.

 

예전에 몰랐던 이야기들, 단편적인 지식들을 맞추어 주는 이야기들, 조선의 역사가 그리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 수 있는 책이다. 역사는 우연보다 필연이라고 생각한다. 왕이 바로서지 못한 나라, 왕권이 백성을 위해 실력 발휘를 못하는 나라, 세도가들이 백성을 위해 정치를 하지 않는 나라에는 불안과 파멸, 피비린내가 진동함을 깨칠 수 있는 책이다. 거대한 역사의 흐름을 조선 임금 잔혹사로 꿰뚫어 볼 수 있는 책이다. 정말 추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