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악산
김태진 지음 / 푸른향기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모악산]전주사대부 후예들의 전쟁 같은 삶의 기록~~
나라의 흥망성쇠를 다룬 역사 이야기도 좋아하지만 한 집안의 흥망을 다룬 역사도 좋아한다. 물론 한 인간의 삶을 관통하는 희로애락 이야기도 좋아한다. 모두 지나간 일이지만 과거를 통해 깨침을 주기 때문이다.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어야 성공하는 것처럼 과거의 허물을 통해 중요한 것을 배울 수 있어야 미래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전주사대부의 이야기를 담았다기에 처음부터 끌렸던 책이다. 한국에는 많은 가문들이 있지만 이렇게 문중을 다룬 이야기가 흔치 않기에 더욱 소중했다고 할까. 개인적으로 사육신 집안의 후손이기에 이렇게 집안 이야기를 소설로 쓴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언젠가는 누군가 하지 않을까.
전주시와 김제시, 완주군에 걸쳐 있는 모악산. 모악산이 전주이씨의 신당이 있는 곳임을 처음 알았다. 조선 왕조를 세운 전주이씨 집안이 역사의 부침과 함께 세상 속으로, 서민으로 변화해 가는 모습을 그렸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기에 한 집안의 부귀영화도 영원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이 소설은 전주사대부의 몰락이라기보다 한 집안의 시대적 변천사 같다.
소설은 액자소설인 <갑오국>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집안 대대로 문중 땅을 관리하면서 신당 또는 암관좌를 찾던 김참판은 자신의 땅에서 암관을 발견한다. 암관은 산신령이 바위 사이에 만들어 두었다는 관이다. 때가 되면 암관 스스로 개토되고 시신을 끌어들인다는 신당이다. 문제는 암관이 이미 자신의 집안사람이 아닌 다른 이의 관이 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후 김참판은 은둔을 결심하고 집안을 임실로 옮기게 된다. 김참판 집안과 혼인을 약속한 이 진사 집안은 전주에 남게 되고…….
세상에는 천기와 천운이 있는 걸까. 명당과 풍수지리가 있는 걸까. 시대의 변화를 감지하지만 결과를 예측하기는 어려운 걸까.
9살 소년 금아의 눈에 비친 전주 사대부 김씨 문중의 변화는 그대로 우리의 역사다. 6.25전쟁의 참상, 아군과 적군의 대치, 부산에서의 피란민 생활, 수복 후 서울에서의 생활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그 과정에서 호남 제일의 부자 집안의 몰락, 대가족이던 집안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상처와 고통이 그려져 있다.
이리(솜니 또는 익산), 김제, 군산 지역의 문화와 일제의 침탈, 역사 속에서의 변화들을 볼 수 있는 책이다. 대가족의 모습, 인민군 치하의 모습, 이념이 광기가 되어 인간성과 가족 관계를 해치는 과정도 적나라하다.
시제 떼의 전주 분위기, 집안에 있던 별도의 사당, 장원,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혁명이 과정들, 석빙고와 한증막, 서울 수복 후의 서울 풍경, 전주 효자비각이 임실로 옮겨진 사연 등을 처음 알게 되었다.
650여 쪽에 이르는 이야기에는 사방 삼백 리의 영지를 잃고, 목숨을 잃고 혈육을 잃는 이야기가 가슴 아프게 전개된다. 학문과 체통으로 살았던 양반가, 대대로 전해진 집안 유산으로 명맥을 유지하던 양반 풍습과 문화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는 모습이 그대로 우리 역사 같다. 몰락한 전주 사대부의 가족사를 담은 자전적 이야기기에 혈육, 조상, 집안, 가풍 등을 생각하게 된다. 사대부 반가의 역사, 가풍, 예절 들이 잘 묘사되어 있기에 양반문화를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자신의 뿌리에 대한 집요한 탐구는 본능이요, 핏줄에 대한 끌림이다. 다큐멘터리도 보고 싶은 전주사대부 집안에 대한 대서사시다. 기부와 나눔으로 집안의 가치를 높인 경주 최부자집과 비교되는 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