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송복 지음 / 시루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임진왜란, 서애 류성룡을 통해 배우는 리더십!

 

 

서애 류성룡의 <징비록>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와 함께 임진왜란의 대표 기록물이다.

난중일기는 드라마로도 접했기에 징비록에 대한 글을 읽고 싶었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현재를 직시하고 미래를 간파하는 지혜, 나라사랑에 대한 충정이 비슷했던 두 사람의 이야기는 너무나도 유명한데…….

 

 

임진왜란의 끔찍한 경험을 하고도 '징비'하지 않은 우리에게 역사는 자비롭지 않다. 병자호란, 청일전쟁, 러일전쟁 모두가 하나같이 우리의 지독한 급망증과 우리의 한심한 의존성에 기인하여 생겨난 것이었다. 국민은 자신을 바치는 리더에 감동하는 법이다. 그런 리더가 이끄는 나라는 강해지지 않을 수 없다. 스스로 강해지지 않으면 통일된 미래도 우리 것이 아닐 것이다. 더 나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책에서)

 

 

 

 

 

 

 

 

노학자가 쓴 <유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를 만났다. 읽을수록 몰랐던 이야기들, 잘못 배운 이야기들이 있음을 알게 해준 책이다. 지도자의 리더십, 한반도의 운명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저자는 현재의 한반도 분단의 역사는 1592년 시작된 임진왜란에서 시작한다고 한다.

 

 

임진왜란은 왜의 입장에서 보나 명의 입장에서 보나 '조선분할전쟁'이었다. 왜는 조선 남쪽 4도를 내놓으라는 그들 말로 '조선할지 전쟁'이었고, 명은 그런 왜의 침략을 한강 이남에서 막아 북쪽 4도를 지킴으로써 그 반쪽 조선을 요동방어의 울타리로 삼는, 그들 말로 '번리지전(藩籬之戰), 바로 '조선 울타리 방어 전쟁'이었다.(책에서)

 

-조선을 중국의 울타리가 되게 해야 합니다. -명 급사중 이학중

-나라가 나라가 아닙니다. -율곡 이이

-공론은 국가의 기강입니다. 대신으로서 자신이 죄를 저질렀다는 공론을 받고도 돌아봄이 없이 태연히 국사를 본다면 조정이 어떻게 될 수 있겠습니까. -류성룡 사직상소

 

 

저자는 연세대 명예교수 송복이다. 저자는 임진왜란의 역사인 동시에 전쟁을 치르며 명과 왜의 분할획책을 저지하던 류성룡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서이다. <징비록>1, 2권, <진사록>, <근폭집>, <군문등록>, <녹후잡기>, <서애전서> 등 총 549건의 자료를 빠짐없이 분석해서 이 책을 썼다. 무엇보다도 임진왜란 당시의 정치상황, 국제적 실상 등을  알리고 싶었다고 한다. 

 

징비록(懲毖錄).

조선 중기 선조 때의 재상이던 서애 류성룡(1542~1607)은 임진왜란 당시의 참혹했던 현실에 대한 기록과 반성을 담아 징비록을 썼다. 시경에서 이름을 딴 징비록은 지난 전쟁을 반성하고 후환을 경계하기 위해 당시의 공문서 등 기록물들을 참조하여 엮은 것이다.

 

 

정무 군무 겸직의 전시수상(영의정)과 4도 도체찰사직을 맡은 그는 명과 왜의 조선분할획책을 막아내고 군량미전쟁마저 치러내면서 전쟁에 대한 반성을 하고 다시 나라를 일으키고 싶었으리라. 임진왜란 당시의 왜군의 만행, 백성과 도성을 버리고 도주하는 선조, 위정자들의 시기와 질투, 국제 정세에 어두운 안목에 얼마나 기막혔을까. 군사를 일으켜 나라를 지키겠다던 이름 없는 의병과 의병장들에게는 또 얼마나 감격했을까. 손수 군량미를 모으고 병사를 모으고 명나라 장수들을 달래며 전쟁의 치를 수밖에 시절에 대해 그는 참담한 심정으로 임진왜란에 대한 반성문을 썼을 텐데……. 장수는 녹봉이 없고 병사는 무기가 없었으며, 군량미도 없고 군 체계도 없는 현실이 처참하기만 했을 텐데.

 

 

군졸이 부족해서 근무에 응할 수 없음이 걱정된다면 상번군인수를 줄이시고, 그래도 부족하면 일이 한가한 곳의 군인을 줄이시고, 그래도 부족하면 남방에서 겨울 동안 방비하는 군인 수를 줄이시고 (생략)......(책에서)

 

 

군사를 줄이라는 이율곡의 상소문이다. 조선이란 나라는 나라가 아니었다는 이율곡. 하지만 그의 10만 양병설은 허구라는데……. 율곡의 상소문인 <만언봉사>에는 조선은 날로 썩어져가고 붕괴한다고 했지만 그가 내놓은 대책은 10만 양병설이 아니라 군사 수를 줄이는 것이었다. 실체는 아는데 대책은 현실감이 없는 것이었다.

 

류성룡의 리더십은 이순신 발탁에서도 드러난다. 창과 칼을 쓰던 육군경력의 이순신을 종6품 정읍현감에서 정3품 당상관 전라좌수사로 발탁한 것도 유성룡이었다. 육군이 아닌 수군 사령관으로 등용한 것이다. 그러니 이순신을 역사적 인물로 만든 사람도 류성룡이었다.

 

 

임진왜란 초반에는 서울을 포함한 한반도의 상당부분이 점령되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 권율 장군, 지방 백성들의 자발적이고 조직적인 저항에 부딪쳐 전쟁은 종결될 수 있었다. 그만큼 임진왜란은 조선 최대의 위기였고 동시에 조선 최대의 위기 극복 사례였던 것이다. 임란을 기점으로 조선 전기와 조선 중기로 나눌 정도다. 정치, 경제, 문화, 생활풍속, 언어 등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친 임진왜란은 지금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를 줄 것 같은데......

 

책을 읽으면서 그 시절 서애 류성룡과 이순신 장군이 없었다면 조선은 어찌 됐을까 생각하면 가슴을 쓸어내리게 된다. 병들고 가족생계까지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도체찰사로 전란조정을 이끈 그의 모습은 위기에 대처하는 리더십의 모범이 아닐까. 백성을 위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는 리더와 자신을 위해 백성을 버리고 도망자가 된 리더를 보니, 예나지금이나 사회분위기가 비슷한 느낌이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고도 우리가 오늘날 있는 것은 하늘이 도운 까닭입니다. 아 하늘이 도와서 우리가 다시 일어날 수 있겠습니다. 하늘이 도와서 국가를 다시 만들 수 있겠습니다. -서애 류성룡

 

내게로 온 소중한 책, 모두에게 추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