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 개정판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방인]카뮈의 <이방인>, 번역이 뭐기에…….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요즘 가장 핫한 책이 아닐까. 번역논쟁의 전면에서 SNS를 통한 빠르고 신속한 열띤 공방, 블로그를 통한 설전을 보면서 나는 <이방인>을 제대로 읽었던가. 반성하기도 했는데…….

여고시절, 세계 명작이라기에 그저 지적 허영심에서 읽었을까. 그때는 실존주의에 대한 이해도 부족해서였을까. 여하튼 이해하기 어려운 주인공의 행동에 동조하기가 힘들었던 게 사실이다.

기존의 민음사 번역본에 대한 노골적 반박을 앞세우며 등장한 새움 출판사의 <이방인>.

왜 하필 민음사일까. 북로드, 문예출판사, 더클래식 등 다른 출판사도 있을 텐데…….

원작이 불어인데다가 민음사의 번역본을 읽은 적이 없기에 논란에 선 문장들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일부에서는 마케팅 전략이 아닐까 라지만 어쨌든 새움 출판사의 <이방인>은 읽기 편했던 게 사실이다.

잘 짜인 추리소설 같다는 이정서의 말처럼, 이 책은 술술 읽혔다고 할까.

독자의 입장에서는 이런 논쟁이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노골적인 표현 대신에 흥분을 가라앉히고 차분하게 논쟁을 했다면 더욱 좋았을 텐데…….

 

도시 변두리에 혼자 사는 평범한 회사원인 뫼르소는 독장에 갇힌 채 죽음을 앞두고 있다.

살인죄로 법정에 선 그는 왜 사람을 죽였느냐는 재판장의 질문에 그냥 눈부신 태양 때문이었다. 고 진술한다.

문제는 고의적 살인이냐, 우발적 살인이냐 인데…….

사람들은 뫼르소의 성격, 어머니의 장례식에서 그가 보인 행태들을 보면서 고의적 살인으로 추정하게 된다. 그렇다. 객관적 사실이나 증거가 아닌, 개인적인 가치관과 사회적인 상식에 맞춘 편견이요 선입견이었다.

그는 어머니의 장례식에서 시신도 보지 않고 눈물도 흘리지 않았으며, 담배까지 피웠다는 불손함에다가 장례 이후에 해변에서 만난 여자와 정사를 나누었다는 사실이 도덕성 결여로 상승작용했기 때문이다. 객관적 사실이나 정황이 아니라 기득권의 규칙에 맞춰 도덕성 결여니, 범죄 심리니, 고의성이 짙다느니 하며 판결을 내렸다니…….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은 사회의 주변인으로 살아가는 뫼르소였기에 주어진 약자에 대한 편견이다. 외롭고 소외된 약자에 대한 강자의 무자비한 월권인 셈이다.

분명, 개인적으로 봐도 뫼르소와 어머니의 관계, 장례식에서 보인 그의 행태가 이해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뫼르소가 처한 경계인으로서의 상황을 본다면 그리 이해되지 못할 바도 아닌데…….

봄이면 더욱 우울해진다고 했던가. 눈부신 햇살이 더욱 우울하게 할 수도, 충동적이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삶에 대한 애착이 없고 타인이나 사회에 무심한 사람의 경우는 뫼르소 같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물론 죄의 대가는 엄격히 받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범죄자로 몰아가기 전에 그가 처했던 환경에 대한 이해를 한다면 그의 차가운 심장을 조금이나마 따듯하게 하지 않을까.

 

사회부적응자, 소외된 자, 외로운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생각하게 된 소설이다.

번역논쟁, 잘 모르지만 이런 논쟁 찬성이다.

스마트한 시대다 보니 논쟁 또한 빠르게 번져가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는 많은 책들이 번역논쟁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