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에 핀 꽃들 - 우리가 사랑한 문학 문학이 사랑한 꽃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 속에 핀 꽃들] 한국문학 속 야생화 이야기 ~

 

올해는 봄이 시작하면서 한꺼번에 피어나는 꽃들에 당황스럽다. 그래도 피어나는 꽃들은 언제나 설렘과 환희, 희망이기에 보고 있으면 전율이 인다. 하나도 똑같지 않은 모양새들이 정말 신기하다. 더구나 빛깔과 향기까지 제각각이기에 눈으로 보고 코로 맡는 즐거움은 배가 되는데…….

봄꽃뿐만 아니라 사시사철 피어나는 모든 꽃들이 신기하고 어여쁘다.

문학 속에 핀 꽃들.

문학 작품도 접하고 꽃들도 만날 수 있다니!

일거양득이다. 꿩 먹고 알 먹고, 도랑 치고 가재 잡는 책이다.

식물도감을 따로 찾아 볼 정도로 꽃은 나에게도 늘 흥미로운 대상인데.......

예전에는 김태정의 야생화 관련 책자들을 얼마나 열심히 읽었던가.

문학 속에서 꽃에 대한 묘사가 나오면 유난히 읽고 또 읽고 했었는데…….

더구나 소설 속의 꽃은 상징적인 이미지를 갖기에 더욱 의미가 있지 않은가.

33개의 소설과 100개의 우리 꽃을 만날 수 있다니!

책 소개만으로도 설레기 시작한다.

 

박범신의 장편소설 <은교>.

내가 느낀 소설 속의 은교는 아주 작은 야생화 같았다. 쇠별꽃으로 은교를 표현했기에 더욱 그런지도 모르겠다. 영화를 보지 않았기에 영화에서는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해진다.

내가 쇠별꽃을 알게 된 건 어느 이른 봄날이었다.

팔공산 한티재를 넘어 제2석굴암 근처 어느 길로 들어섰는데 지천에 하얀 쇠별꽃이 만발해 있었다. 친구가 이름을 알려주어 처음 인사했다.

-안녕, 쇠별꼬~~옷!

그 이후론 쇠별꽃이 어디에나 지천으로 있는 우리 풀꽃임을 알게 되었다. 지금 베란다에 있는 화분에도 별꽃이 한 다발 피어 있다. 풀이라며 뽑으라는 엄마를 겨우 말려서 해마다 보고 있다.

명털이 뾰시시한 소녀였다.

턱 언저리부터 허리께까지, 하오의 빛을 받고 있는 상반신은 하얬다.

쇠별꽃처럼. (은교에서)

 

이름난 노시인이 소녀 은교를 처음 본 순간의 느낌을 표현한 문장이다.

쇠별꽃의 앙증맞음과 싱그러움, 청초하면서도 꿋꿋한 모습은 은교의 이미지로 절묘하다고 생각했다. 남의 집 데크에 있는 의자에 앉아 천연덕스럽게 낮잠을 청할 수 있다는 건 배짱일까, 순수일까. 하얀 빛깔의 순수함과 지천으로 피어나는 꿋꿋함과 천연덕스러움이 마냥 닮았다고 생각했다.

 

쇠별꽃은 개망초와 함께 잡초하면 떠오르는 풀이다. 예쁜 꽃 이름은 꽃 모양이 작은 별과 같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쇠별꽃에서 '쇠'는 동식물 이름 앞에 붙어 '작은'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다. (중략)

여주인공을 쇠별꽃에 비유한 소설을 만날 줄은 몰랐다. 소설 <은교>는 절묘하게도 쇠별꽃이 등장하면서 문학적인 성취와 향기를 더한 것 같다. (책에서)

 

책에서는 영화<은교>와 소설 <은교>의 차이, 74세의 괴테가 19세의 울리케를 사랑한 이야기, 쇠별꽃과 별꽃의 차이점 등도 나와 있어 읽는 재미를 준다.

 

별꽃과 쇠별꽃을 구분하는 포인트는 꽃 한가운데 있는 암술대 숫자를 보는 것이다. 별꽃은 암술대가 세 개여서 삼발이처럼 보이지만, 쇠별꽃은 암술대가 다섯 개여서 바람개비처럼 보인다. (책에서)

 

윤대녕의 <3월의 전설>을 통해 이른 봄에 피는 산수유와 생강나무, 벚꽃과 매화의 구분법도 설명하고 있다.

박완서의 <아주 오래된 농담>에서는 능소화가 나온다는데…….

이 소설을 읽어야겠다.

개인적으로 주황색 꽃을 좋아하게 된 것은 능소화 때문이었다. 어느 담벼락에 주렁주렁 피어나던 능소화가 '어사화', 양반 꽃이었다는 책을 읽고 나서 더욱 끌렸으리라.

좋아하는 주황색 꽃으로는 유홍초가 있다. 나팔꽃 모양의 유홍초는 크기가 작아 깜찍한 느낌이다. 씨앗을 구해 화분에 뿌렸는데 지금 화분에서 싹을 틔우고 있지 않을까. 작년에도 봤으니 올해도 볼 수 있겠지.

신선한 충격을 줬던 정유정의 <7년의 밤>, 다시 읽고 싶은 박경리의 <토지>, 김훈의 <칼의 노래>, 공지영의 <봉순이 언니>,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김유정의 <동백꽃>, 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 등 읽은 책들이지만 기억은 가물가물한 책들이다. 다시 읽고 싶어진다.

생강나무, 팬지, 하늘말나리, 아카시아, 동자꽃, 마타리, 까마중, 산수유, 꽈리, 때죽나무, 여뀌, 쑥부쟁이, 수국, 해당화, 얼레지 등........언제봐도 친근한 우리 야생화다.

우리의 꽃과 우리 문학을 함께 알아가는 책이다.

꽃의 이미지가 문학 속에 어떻게 등장하는지 함께 느껴보는 시간이었다.

사진과 글과 식물도감이 함께하는 책이다.

이런 책, 정말 처음이다. 책선물로도 좋을 듯 한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