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 보지 않을 권리 - 당신의 숨통을 조이는 부모, 연인, 상사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법
닐 라벤더 & 알란 카바이올라 지음, 최승희 옮김 / 미래의창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눈치 보지 않을 권리]통제적 완벽주의자에 주눅 들지 않고 대처하는 법~

 

시시콜콜 간섭하는 상사, 상대에게 무리하게 요구하고 잔소리하는 배우자가 옆에 있다면 절대 편안하지 않다. 지나치게 참견하는 부모, 무슨 일이든 참견하는 친구, 나름 완벽을 추구한다는 일 중독자가 곁에 있다면 마음은 어딘가 불편하다. 왠지 모르게 주눅 들게 하거나 눈치 보게 하는 사람들이니까.

만약 상사, 부모, 친구, 이웃이 완벽주의자이고, 그들과 함께 있다면 누구나 무의식중에 행동이 달라진다고 한다.

왜 그럴까.

세상은 완벽주의자를 선호하고 칭송하는데 그들과 함께 있을 때, 왜 늘 그들의 눈치를 보며 마음이 불편해질까.

눈치를 보게 하는 완벽주의자의 정체를 밝히는 책을 만났다.

이 책에서 말하는 완벽주의자는 비현실적인 목표를 위해 다른 사람들까지 몰아붙이는 부류의 완벽주의자들을 말한다. 통제적 완벽주의자들이다.

 

이들은 업무 체계를 만들거나 우선순위를 매기는 일에는 도통하지만 사소하거나 자신과 관련 없는 일에는 다른 사람에게 의존한다.

겉으로는 자부심이 강해 보이나 속으로는 자기 불신과 자기경멸이 가득한 사람들이다.

대개 통제적 완벽주의자는 사회적으로 성공한다. 하지만 성공을 가져다주었던 그런 측면들로 인해 주위 사람들은 불편을 넘어 고통을 받게 된다.

 

누군가 시시콜콜 간섭하게 되면 스스로 자존감에 상처를 받게 되고 자신이 무가치하게 느껴진다. 통제적 완벽주의자 곁에 있으면 누구나 스스로 부족한 사람이라 느끼게 된다.

사실 이들은 조직에서 성공을 해서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 사회도, 조직도 그런 사람을 요구하기에 기세등등해 한다.

하지만 넘어서는 안 될 선을 넘어 남들에게 상처를 준다면 문제가 있는 사람이다.

실제로 부모가 비판을 일삼거나 아동의 반응과 경험을 무시하는 환경은 아이들에게 우발적인 이상행동을 하게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통제적 완벽주의자들의 모습이 모두 똑같지는 않지만 대체적인 특징들은…….

완벽함에 대한 욕구가 지나쳐 삶에서 행복이나 만족감을 성취하려는 욕망과 충돌한다.

사물에 대한 소유욕이 강하다.

다른 사람들의 업무 수행이나 행도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대나 기준을 가지고 있다.

규칙, 목록, 조직, 질서 정연함에 대한 집착이 너무 강해서 흔히 행동이나 임무의 본질을 놓치는 것처럼 보인다.

자신의 방법이 유일한 방법이라 고집한다.

업무를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기를 꺼린다.

흑백논리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이나 지나치게 양심적이거나 도덕적 관점에서 세상을 본다.

다른 사람을 지배하려는 욕구가 강하며 자신의 방식이 맞고 타인의 방식이 틀렸음을 증명 하고 싶어 한다.

 

어쩌면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통제적 완벽주의자가 아닐까.

통제적 완벽주의자에는 직업상의 통제적 완벽주의자, 파워 엘리트형, 맹목적 신념형 등이 있다.

 

통제적 완벽주의자에 대처하는 방법은…….

그 사람은 바뀌지 않기에 자신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다. 그런 사람으로부터 받은 비난에 기분 나빠하거나 분노할 필요가 없다. 그의 비난이 당신과 별 관계가 없고 오히려 그의 인격적 문제와 더 관계있다고 생각하라.

때로는 그를 내버려 두고 당신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것이다.

때로는 싸움의 주도권을 쥐고 참을 수 없음을 분명히 말해야 한다. 하지만 자기주장을 할 때와 갈등을 피해야 할 때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터무니없는 대우를 받았을 때 당신이 좀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음을 적극 알려야 한다. 스스로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의 권리를 찾는 것이다.

부드러운 태도로 하고 싶은 말을 한 다음, 그 자리를 벗어나야 한다.

…….

 

주변 사람들에게 눈치를 주고 완벽하기를 요구하는 이들이야말로 타인과의 관계 맺는 능력이 부족하고 겉보기와 다르게 성격적 결함이 있는 사람들이다.

지나치면 인격 장애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당사자들은 이런 결점을 오히려 장점이라고 여기기에 치료받을 생각을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오히려 이들에게 상처받은 사람들이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책은 통제적 완벽주의자, 심리학적으로는 강박적인 성격장애로 분류되는 사람들, 다른 사람들에게 극도로 비판적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은 심리학을 실생활에 접목한 책이다.

실제 사례와 함께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처방법들을 서술하고 있다.

완벽주의자나 강박적 성격을 지닌 자에 대한 이해와 대처법도 제시하고 있다.

 

깐깐한 완벽주의자가 성격적 결함을 갖고 있다니!

사회적으로는 성공한 이들에게 볼 수 있는 특징이라니!

어쩌면 직장에서는 만나는 깐깐한 상사, '시'자 들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닐까.

깐깐한 완벽주의자에 대한 대처법을 알고 스스로 자존심을 회복하고 그들이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걷어내는 것이 중요함을 생각한다.

서로의 능력과 관심이 다르기에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 배려해야 함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부족해도 당당하고 자신 있게 살 수 있는 세상이길 소원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