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트렌드 2014
커넥팅랩 엮음 / 미래의창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모바일트렌드 2014]디지털 유목민을 위한 새로운 흐름을 읽다.

 

 

앞으로 모든 비즈니스는 모바일로 통한다고 한다.

세계인구 80억 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정보공유가 가능해진 세상의 중심에는 모바일이 있다.

인터넷이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혁신이었다면 스마트폰은 최대의, 초고속의 혁신인 셈이다.

빨라진 세상, 하나로 통합되는 세상의 중심에 선 모바일의 세계.

 

지금 휴대폰의 주목적은 통화가 아니라 인터넷이 되고 있다.

음성통화가 중심이던 시대에서 네트워크와 데이터 이용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사물과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더니, 스마트폰, 테플릿 PC의 진화로 내 손 안의 모바일 시대가 왔다.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며 즐길 수 있는 모바일 시대.

모바일의 진화로 SNS는 삶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고…….

모바일로 인해 지금은 정보를 소유하는 시대에서 정보를 사용하는 시대라는데…….

 

2013년 모바일트렌드를 돌아보면…….

2013년은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세상인 ALL-IP 이 대세였다.

 

ALL-IP은 한마디로 '언제나 접속되는 인터넷 환경에서 다양한 디바이스로 끊임없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책에서)

 

ALL-IP 이란 TV를 보다가 트위터로 의견을 남기는 것, 밖에서 DMB로 보다가 집에서 TV로 이어서 시청하는 것 등 이라고 한다.

그럼 LTE는 ALL-IP 시대를 연 효자인 셈인데......

왜냐하면 LTE는 3G보다 4배가 빠른 데이터 속도를 지니고 있고 우수한 음성 통화를 데이터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내 손 안의 PC세상.

지금은 멀티태스킹이 일상인 세상이다.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면서 TV를 보고 태블릿PC로 동영상을 보면서 스마트폰으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책에서)

 

디바이스의 다양화는 스마트 위치, 구글글래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일상 속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SF영화에서 보던 첨단 디바이스들이 실현될 날들도 멀지 않았는데…….

 

2013년은 C-N-P-T(contents-network-platform-terminal/device)로 찢어져 있던 모바일 시장이 새로운 거인으로 다시 탄생하려는 조짐을 보인 첫 해이다.(책에서)

 

통신사업자가 네트워크도 보유하고 제조사로부터 단말기를 구입해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고, 콘텐츠를 위임받아 판매하기도 한다.

한국은 세계 최초로 모든 통신 사업자가 LTE 전국망을 구축했고, 세계 최초로 LTE-A 서비스를 시작한 나라여서인지, 한국의 LTE열기는 다른 나라와 수준이 다르다는데…….

새로운 올립 시대의 승자는…….

 

통신사와 모바일 인터넷전화 사업자 간의 요금 논쟁이 끝나지 않은 상태이지만 이제는 서로 협력하는 것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2013년, 카카오는 전격적으로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콘텐츠를 유료로 서비스하겠다고 선언했다. (책에서)

 

2013년은 카카오가 콘텐츠 유료화를 도전한 해이다.

소리바다와 프리챌의 실패처럼, 한국에서는 콘텐츠 제 값 받기 운동이 어렵다는데, 과연 성공을 했을지.

저자들은 카카오페이지의 유료화 전략은 수익은 내고 있으나 성공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모바일에서 광고 매출이 유리할까, 아니면 광고로 도배되는 것을 차단하고 콘텐츠 유료화를 하는 게 유리할까, 앞으로가 주목된다.

 

2014년, 모바일트렌드는 어떨까. 무척 기대가 되는데……

2014년 IT계의 화두는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한다.

모바일 시대의 광고 전략은......

모바일 시대의 비즈니스 대책은…….

 

모바일의 화두는 음성에서 SNS로 변하고 있고, 더 이상 전화로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1:1의 소통에서 다자간 소통으로의 변신하고 있는 점도 특징이다.

음성통화를 하는 시간보다 카카오 톡이나 페이스 북을 이용하는 시간이 점점 더 길어지면서 음성 통화가 부가 기능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주객전도인 셈인데......

여기에는 데이터망의 진화도 한 몫을 했겠지.

ALL-IP시대에는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디바이스에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전 세계 공통의 인터넷 네트워크 위에서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만 통일하면 그 어떤 제약도 받지 않는다. (책에서)

 

음성인식 서비스, 통역기 발달은 상상을 초월한다.

음성인식 기술의 발달은 즉시적인 번역을 가능하게 하고 오프라인 번역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터치스크린 기술에서 음성인식 기술로의 전환은 언어문제까지 해결하고 있다. 신기해져만 가는 세상이다.

 

이 책에는 이런 것들도 있다.

이동통신사는 덤프 파이프로 전락하는가.

통신사의 반격, 음성 무제한으로 승부수를 던지다.

음성 매시업 기술로 전 세계의 언어 장벽을 허물다.

피로사회, 프라이빗 SNS를 탄생시키다.

SNS의 새로운 패러다임, 소셜보다 네트워크다.

2014, 누가 글로벌 소셜 플랫폼이 될 것인가.

기록하는 인간, 호모 스크립투스를 유혹하라.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중국

스크린에 빠진 젊은이들, 콘텐츠 시장을 흔들다.

더 이상 TV를 TV로 보지 않는다.

TV3.0 시대, 콘텐츠 기업의 입김이 세지다.

미디어의 변화가 광고시장의 변화를 이끌다.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파워 게임

......

앞으로 전 세계 광고시장의 미래는 모바일에 달려 있다고 한다.

모바일 광고의 즉시성은 분명 매력적이다. 특히 가장 빠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점은 최고의 장점이다.

모바일 광고에서는 싸고 정확하게 단 한 사람을 위해 광고하는 시대도 예고된다. 개인 맞춤형 광고는 모바일 결재로 이어질 테고.......

생체인식 기술로 가장 안전한 결제가 될 전망인 모바일 결제는 제3의 화폐수단이 될 것인지 궁금해진다.

 

집 전화의 퇴보처럼 집TV의 약세 이야기가 놀랍다.

아이들은 부모님들의 잔소리를 듣기 싫다며 부모님들의 눈을 피해 스마트폰으로 TV를 보기도 한다.

집에서도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전화하고, 스마트폰으로 필요한 TV프로그램을 각자의 취향대로 보는 세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온 식구가 둘러앉아 TV를 보던 시대는 이젠 추억이 될까.

 

확실히 요즘엔 카톡이 아니라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면 후지다는 소릴 듣는다.

카카오스토리를 만들어 책으로 만들자는 친구들도 있고......

디지털유목민이 되려니 빨라야 되는데......

빠른 만큼 더 여유도 없는 것 같다. 따라 가려니 자꾸만 헉헉 거리게 되고......

불편함이 건강함이라는 생각에 좀 후지다는 소릴 듣더라도 느리게 가고 싶다.

아날로그가 그립다.

 

이 책은 9명의 현장 실무자들이 2014년 모바일트렌드를 생생하게 그려본 전망이다.

전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빠른 발전을 이루고 있는 한국의 모바일 산업의 비즈니스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국내의 모바일 관계자들이 믿고 볼 만한 '모바일 병법서' 같은 책이라고 한다.

국내외 최신의 모바일 트렌드가 정리되어 있기에 모바일을 통한 생존 경쟁의 시대, 트렌드를 읽고 시대를 앞서갈 수 있는 혜안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