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천재적인
베네딕트 웰스 지음, 염정용 옮김 / 단숨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거의 천재적인]베네디트 웰스, 천재정자은행을 통해 만난 아버지이야기

 

 

거의 천재적인.

제목이 절묘하다.

천재가 아닌데 잔머리는 거의 천재수준이라는 느낌이 들어서 왠지 슬픈 엔딩을 예감하게 되는데…….

내 예감이 적중할까? 아니면 빗나갈까.

책을 펼치기 전, 한참을 제목만 바라보며 생각하는 시간은 이젠 즐거운 독서습관이 되었고, 예감의 적중률도 상당히 높은데…….

베네딕트 웰스가 독일 문단에 혜성처럼 등장한 신예라는데, 어느 정도 이기에 이런 찬사를 듣게 되는 걸까.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시기가 인생에서 얼마나 있을까.

어두운 현실이라면 탈피하고 싶은 마음이 절절할 텐데…….

 

17세 소년 프랜시스 딘의 현실은 암담하고 우울하다.

17년간의 루저 생활은 삶의 의욕마저 꺾어 버렸고, 앞으로 남은 삶도 루저의 밑바닥을 도저히 벗어날 것 같지 않은 예감만 드는데…….

 

의붓아버지와 이혼한 엄마는 지금 조울증으로 정신병원에 있고 몇 년 째 빈민촌 같은 트레일러 주택에서 살고 있다.

어느 날 신경이 예민하고 우울한 엄마는 자살기도를 하게 되고 유서를 남기게 된다.

편지에는 친아버지에 대한 이야기가 적혀 있는데…….

 

넌 시험관 아기였단다, 프랜시스. (책에서)

 

엄마가 남긴 편지에는 정자 기증자가 하버드대를 졸업하고, 첼로도 멋지게 연주할 줄 아는 IQ 170의 천재였다는 것이다.

프랜시스는 천재인 친아버지의 존재를 찾아 로스앤젤레스로 떠나게 된다.

친구인 앤메이와 그로브와 함께.

 

앤메이 가드너는 유명 건축가의 딸이다. 하지만 아버지에게 성폭행을 당하면서 정신적인 충격을 받아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였다.

예전에 살던 동네의 이웃 친구였던 그로브는 집안이 부유하고 똑똑하지만 지나치게 내성적인 친구이다.

 

프랜시스는 친아버지를 찾는 여행이 인생의 전환점이 되길 바라고 있다.

루저를 벗어날 절호의 기회가 되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천재정자은행을 통해 만나 친아버지의 실체는 충격 그 자체였다.

천재 유전자를 물려받았기에 너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엄마의 말은 사실이 아니었다.

자신의 기원을 찾아 떠나는 여행길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현실은 거짓과 속임수, 사기와 배신이 난무하기만 한데…….

친구들과의 우정에도 변화가 생기게 되고......

 

충격을 받은 프랜시스는 한 방을 터트릴 수 있는 곳을 찾게 된다.

현실에서 한 방 터트리기가 가능할까. 터닝 포인트는 필요하겠지만 비정상적인 한방 터트리기는 불행만 몰고 올 뿐인데…….

 

천재정자은행 프로젝트이야기가 충격적이다.

좋은 유전자도 중요하지만 좋은 환경은 더 중요한 법인데…….

 

가정의 의미, 부모의 역할, 존재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된다.

어른들의 무책임함, 올바르지 않은 사고는 자식들에게도 피해를 줌을 생각한다.

자신의 존재는 결국 스스로 만들어 감을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있을 법한 이야기지만 반전이 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