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브 데이즈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파이브 데이즈] 우리는 서로 마음을 나누고 있을까.

 

 

<빅 픽쳐>를 읽으면서 작가인 더글라스 케네디의 팬이 되어 버렸다.

더글라스 케네디의 소설에는 인물에 대한 치밀한 분석, 직업과 사물에 대한 지식의 깊이, 마지막까지 반전이 있는 이야기가 있기에 저절로 집중하며 읽게 되는데…….

<파이브 데이즈>에서도 영상의학과 문학, 언어, 시, 인물의 심리분석 등이 뛰어나기에 읽는 재미는 배가 된다. 역시 더글라스 케네디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 통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서로의 공통된 관심사일까? 서로를 인정해주는 태도 때문일까? 아니면 자신에게 없는 전혀 다른 그 무엇이 호감을 가지게 할까?

가족들에게서 이런 통하는 마음을 가질 수는 없는 걸까?

내 마음을 알아주고, 내 마음을 열어 보이는 시간이 누구에게나 필요한데…….

 

잘못된 결혼인 줄도 모르고 그럭저럭 행복하다고 살아왔던 로라는 결혼 23년차인 워킹 맘이다. 현명한 아내, 지혜로운 엄마, 능력 있는 직장여성이라는 3박자를 잘 맞추고 있다고 생각하면 살아왔다.

하지만 로라는 왠지 스트레스가 쌓이고 이성을 잃는 순간도 생기고 어딘지 우울하다.

남편과의 사이도 별로인 것 같고 아들과 딸과의 대화도 껄끄럽고 가족들의 인정도 받지 못하는 듯하다.

 

어느 날 영상의학과 학술대회에 참석했다가 보험세일즈맨인 코플랜드를 알게 된다. 비슷한 습관을 가진 남자 코플랜드를 만나면서 몇 년 동안 자신을 괴롭힌 가장 근원적인 생각을 말하게 되면서 자신의 상태를 알게 된다.

로라는 그동안 가족들에 맞춰 사느라 정작 자신을 돌 볼 시간이 없었음을, 자신을 위해 아무것도 해 본 적이 없었음을, 가족들과 통하는 대화 한 번 제대로 못해 봤음을 깨닫게 된다.

 

인생에서 가장 커다란 희망이 될 수 있는 일이라면 살아가면서 부딪히게 될 온갖 역경을 함께 이겨낼 수 있는 사람을 만나는 게 아닐까요? 물론 동화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겠지만……. 너무 비현실적인......(책에서)

 

로라는 코플랜드와의 대화를 통해 남편의 실직이 가정의 균열을 가져왔음을, 아들과의 대화가 일방적이고 강요적이었음을, 딸의 신뢰를 전혀 얻고 있지 않음을 알게 된다.

 

바캉스 갈 때를 빼곤 생활공간이 집과 직장뿐인 생활이었다. 사생활도 전혀 없이 오직 가정과 직장에 충실히 살아오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코플랜드와의 대화를 통해서야 스스로 인생의 한계를 정해 놓고 살아온 세월들을 돌아보게 된다. 인생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 있는데 주변을 둘러보지도 못했고 일상탈출은 생각도 못하다니…….

 

아들과 딸, 남편, 직장동료 앞에서 늘 긍정의 가면을 쓰고 살아온 세월들을 돌아보며 자신의 가정이 진정으로 화목한 적이 있었는지를 되묻게 된다.

긍정의 가면 뒤에 숨은 진실을 한 번도 들여다 본적이 없다니!

자신을 들여다 본 시간이 없었다니!

자신의 집을 대출로 마련하면서도 좋았던 기억이 전혀 없었다니!

 

그동안 무엇을 위해 살아 왔을까?

얼마나 가식으로 살아온 걸까?

서로가 서로에게 손 내밀지 못하고 위로한다고 꺼낸 말이나 사랑한다는 말은 오히려 상대의 마음을 굳어버리게 만들었다는 기억뿐인데…….

마음을 통하며 산다는 게 이리도 어려운 걸까.

 

로라와 코플랜드는 5일간의 일정동안 서로의 허점을 들어 내보이며 서로의 상처를 치유해 나간다.

일상탈출을 꿈꾸던 로라에게 해피엔딩은 무엇일까.

더글라스 케네디답게 이 소설도 예외 없이 반전이 기다리고 있는데…….

 

이 소설은 진정한 나를 찾는 5일간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행복을 정말 손에 넣고 있는지, 지금 사는 게 만족스러운지를 반문하게 하는 소설이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이야기다.

스스로 한계를 짓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하게 된다.

 

 

 

상대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심리를 잘 그려낸 소설이다.

상대의 말을 존중해주고 상대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 게 생각보다 어렵다는데…….

매일 마음을 나누고 살고 있을까를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