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 디비전 1 샘터 외국소설선 10
존 스칼지 지음, 이원경 옮김 / 샘터사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휴먼 디비전] 노인이 젊은이로 회춘한 SF소설, 색다르네!

 

 

앞으로 건강백세시대로 간다더니 역시 SF소설은 한 걸음 앞서 나간다.

우주에서 회춘하는 프로그램이라니…….

지구에서 한 평생을 살다가 우주에서 또 다른 생을 살아간다는 설정이 참신하다.

기력이 다한 노인이 다시 젊은이로 새롭게 변신하다니…….

하지만 젊음의 낭만은 없고 온통 전쟁이야기 뿐이다. 우주전쟁 이야기.

 

<노인의 전쟁>시리즈 3부작을 잇는 새로운 이야기다.

<노인의 전쟁>에서는 주인공 존 페리가 75세의 생일에 죽은 아내와 작별하고 75세 이상만 지원 가능한 우주개척방위군(CDF)에 입대한다. 지구라는 고국에서는 사망자 처리됨과 동시에 우주기지의 최첨단 유전공학 기술로 초인적 능력을 갖춘 강화된 젊은 신체로 다시 태어난다. 초록색 피부를 가지고 뇌에서 뇌도우미라는 컴퓨터가 내장된 젊은이로 회춘한 것이다. 뇌도우미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에 입을 사용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지구에서의 습관처럼 입으로 말하는 초록인간들…….

 

<노인의 전쟁> 시리즈 3부작과 <조이 이야기>까지 끝나고 연결되는 이야기가 <휴먼 디비전>시리즈인데 이야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노인의 전쟁>을 읽어보진 못했지만 이 책에 '노인의 전쟁' 줄거리가 있어서 대략적인 흐름은 이해가 된다. 하지만 먼저 읽었더라면 흥미는 배가 되었을 텐데…….

 

지금은 우주전쟁의 시대다. 우주에 살고 있는 여러 생명체들과 연합하거나, 새로운 곳을 개척해야 한다. 우리의 지구도 지구개척방위군을 만들어 우주개척에 나선다. 하지만 '유령여단'이라는 특수부대가 존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혼란에 빠진다. 지구개척방위군을 위한 용병을 제공하면서도 CDF에 배신당한 것을 안 지구는 현재 CDF와 결별 상태다.

우주에서의 외교적 음모와 반역자 속출과 정체성 혼란에 빠지는 주인공들 이야기가 전편의 이야기다.

우주전쟁이냐, 우주외교냐, 개척이냐, 퇴보냐……. 행성들은 생존을 위해 선택을 해야 하는데…….

 

 

우주선 함교인 폴크 호가 수십 광년을 도약하여 은하계의 한쪽 팔을 가로지를 때, 인간은 별들의 풍경이 살짝 바뀌는 것으로만 그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도약은 우리가 우주의 어느 지점에 있다가 도약 추진기가 순간 마술처럼 다른 지점에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최첨단 물리학은 일반인들에겐 마술처럼 보이죠. (본문에서)

 

 

CDF소속 폴크 호가 우주를 날 때 정체불명의 적함 미사일이 날아오고…….

외계 생명체인 우체일까, 다른 연맹일까.

폴크 호는 파괴 되면서 폴크호의 블랙박스는 우주의 먼지처럼 떠도는데......

 

폴크호로부터 62광년 떨어진 파르누트 행성.

이곳에서 개척연맹 외교선 클라크 호의 윌슨 중위, 슈미트, 아붐웨 대사는 갑작스런 호출을 받고 떠난다. 외계 생명체인 우체와 외교적 협상을 하라는 지시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폴크호의 블랙박스를 찾으라는 지시도 받는데.....

 

그동안 지구는 행성들의 인구를 빠르게 늘려주기 위해 개척연맹에게 개척 이주민을 보냈고, 개척방위군 병사를 보충해주면서 새로운 행성확보의 힘이 되어 주었는데…….개척연맹이 지구를 착취했다고 믿은 지구는 배신자 CDF에 등 돌리게 되고..

지구와 개척연맹의 별거...

 

 

서로 싸우던 400개의 외계 종족으로 이루어져 이제는 거대한 정치적 공동체로 변모한 콘클라베는 걸림돌이 되고...

이들은 블랙박스를 찾을 수 있을까.

외계생명체인 우체와의 협상은 어떻게 진행될까.

지구와 개척연맹의 관계는 회복이 될까.

개척연맹과 우체와의 협상을 결렬시키려는 음모는 누가 꾸민 걸까.

거대 연합 콘클라베는 얼마나 더 힘을 키울 것인가.

 

전편인 <노인의 전쟁>시리즈를 읽지 않았어도 충분히 매력적인 소설이다.

 

빛보다 빠른 우주선의 존재…….가히 SF소설답다.

우주의 법칙을 깨뜨리지 않고 지름길로 가는 것이 공간도약이라는데…….

진짜 마술 같다.

홍길동처럼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할 수 있다니. 축지법 정도는 비교도 안 된다.

아인슈타인이 깨어난다면 상대성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으려나.

우주함대 폴크 호가 떨림이나 소리도 없이 순식간에 몇 광년을 여행한 것에 대해서 말이다.

유전자조작으로 노인들을 초록의 젊은이들로 다시 태어나게 한다는 설정이 정말 기특하다.

 우주전쟁의 용병만 아니라면 말이다. 

외계인의 침을 얼굴로 받는 외계인 인사법.

개척 이민 1세대 나이지리아 태생 아붐웨 대사.

…….

구석구석 재미있는 깨알 표현들에 크크 웃게 된다.

 

거대한 규모의 장면들이 때로는 빛의 속도처럼 빠르게 전개되기도 하고 외교전과 심리전을 펼치는 모습에서는 세세한 감정묘사가 펼쳐진다.

영화로 나온다는 <노인의 전쟁>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