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일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을 찾아 헤매보셨나요? [제7일]

 

 

삶과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앞으로 가는 것에만 몰두해 살다보니 뒤를 돌아보는 것이 미흡했구나 싶다.

죽음 가까이 가보지 않아서 실감을 못하는 걸까.

죽음 뒤에 가는 곳이 어디인지는 몰라도 우리는 늘 죽음의 열차를 타고 하루하루 죽음을 향해 가고 있는데…….

타임머신을 타고 7일간의 여행을 할 수 있다면 내가 가보고 싶은 시절은 언제일까.

 

 

<제7일>

이 책은 <인생>, <허삼관 매혈기>의 작가로 유명한 위화의 작품이다. 인생을 관조하는 작가만의 글의 깊이, 일상을 비트는 유머, 시대를 통찰하며 흔들어대는 위트, 서민들의 생각과 생활을 들여다보는 섬세함까지 갖췄다. 작가 특유의 향이 나는 소설이다. 특유의 중국 허브 향이다.

 

첫째 날은 주인공 앙페이가 화장터인 빈의관으로 오라는 통지를 받으면서 시작한다. 무언가가 무너지면서 얼굴이 엉망인 채로 매몰된 그의 죽음 앞에 화장터로 오라는 쪽지와 독촉하는 휴대폰 벨소리. 저승사자가 없고 현대적이다.

 

화장터에 가보니 거기서도 빈부의 차이를 느끼게 한다.

소파에 앉은 사람과 플라스틱에 앉은 사람, 화려한 수의를 입은 사람과 수수한 수의를 입은 사람, 비싼 유골함을 준비한 사람과 싼 유골함을 준비한 사람, 묘가 있는 사람, 없는 사람…….

양페이는 염도 않고 단장도 하지 않았고 수의가 아닌 잠옷 차림이다. 그에겐 유골함은 켜녕 묘지조차 없음을 알고 씁쓸히 빈의관을 떠난다.

 

양페이는 자신이 왜 죽었고 어떻게 죽게 되었는지 궁금해서 낯익은 거리를 배회한다.

복잡하게 얽혔을 자신의 기억을 풀어내려면 삶의 마지막 장면인 자신의 기억의 끝부분을 찾아야 했던 것이다.

흐릿한 도시의 광경 속에는 강제 폭력 철거에 항의하는 사람들이 보이고 가정교사 자리를 구해 첫 수업을 가는 자신의 모습도 보이고, 강제 철거로 붕괴된 집터 위에 덩그러니 앉아서 부모를 기다리는 아이도 보인다.

 

양페이는 기차가 낳은 아이였다.

만삭의 어머니가 외할머니 댁을 가다가 달리는 기차에서 아이를 낳았고 아이는 곧 철로 위에 떨어져서 젊은 철로원이 아이를 받아서 키우게 된다. 그렇게 양페이는 양부인 진뱌오를 만나게 되고 친 부모와는 생이별을 하게 된다. 결혼도 마다하고 아이를 키우는 일에 정성을 다하면 키우는 양부는 나중에 자신이 불치의 병을 앓게 되자 아들에게 부담을 지우기 싫어서 집을 떠나게 된다.

 

 

리칭이라는 예쁘고 능력 있는 아내와 결혼했지만 결혼은 양페이의 몫이 아니었을까.

착하고 성실하고 믿음직하지만 야망이 없는 남자와 능력 있는 예쁘고 야심 많은 여자와의 결혼은 짧을 수밖에 없었는지도 모른다.

이미 6개월 전 부터 두 사람이 헤어질 거라는 예감이 점점 강하게 들어 왔기에 그들의 이혼은 순조로웠다.

-우리 이혼해요.

-그래.

-여전히 당신을 사랑해.

-나는 영원히 당신을 사랑해. (본문에서)

 

 

 

아내가 떠나고 자신을 길러준 아버지마저 떠나자 양페이는 자신을 길러준 양부를 찾아 헤매다 아버지와 함께 갔던 음식점에서 신문을 통해 갑부가 된 아내의 자살소식을 듣게 된다. 그리고 식당 주방의 가스폭발로 자신도 그 자리에서 죽게 된다. 신문을 보다가 죽은 남자. 황망한 죽음이지만 사실 죽음은 예고가 없는 법이다.

 

죽어서야 사랑하는 양부를 다시 만나게 되고, 아내 리칭도 다시 만나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떨어질 수는 없나 보다.

 

창세기의 7일이 안식일인 것처럼 여기서도 제 7일은 안식을 의미한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두루두루 만나고서야 편안하게 화장터로 향하는 주인공을 보며 마음이 짠해진다.

 

죽음 후 7일간의 여정이라기에 어둡고 칙칙할 줄만 알았는데 그 속에는 인정도 있고, 풋풋한 사랑도 있고, 의리, 동정, 인심이 곳곳에서 흘러넘친다. 중국적인 분위기를 맛볼 수 있는 색다름도 있다.

 

 

발전이라는 명목하게 짓밟힌 서민들의 터전의 붕괴, 산업화 도시화에 밀린 인간성 소멸의 현장, 빈익빈 부익부의 현실, 빈부의 차가 죽어서도 구역을 상황이 그대로 현재진행형인 소설이다.

 

짧은 듯 긴 인생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들을 콕~ 잘도 끄집어내는 작가의 예리함, 서민적인 따뜻한 마음이 어떤 것인지, 권력과 사랑과 황금에 눈 먼 현대 중국인들의 심리와 세태를 잘도 표현한 소설이다. 위화만의 향이 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