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섬옥수
이나미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섬, 섬옥수(纖獄囚)

 

 

 

 

처음에 얼핏 봤을 땐, 책의 제목이 곱고 가느다란 여자의 손을 말하는 섬섬옥수인 줄 알았다. 자세히 보니 섬, 섬옥수다. 점 하나의 효과에 전혀 다른 뜻이 되어 버림을, 한자어의 사용으로 의미가 확연히 달라짐을 보면서 작가의 우리말을 비트는 솜씨에 놀랐다.

섬에 갇힌 죄수들. <섬, 섬옥수>

 

굳이 섬이 아니어도 우리는 스스로의 감옥을 만들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수인 같을 때가 있다. 더구나 외딴 섬에 산다는 것은 공간적인 폐쇄성과 특수성으로 더욱 갇힌 느낌이 든다.

 

태생지인 섬에서 나고 자라 바다에 순응하며 모진 삶을 이어온 원주민들, 스스로를 유폐시키려고 찾아들었거나, 생존을 위해 먹고살려고 모여든 외지인들이 섬이라는 특수성과 폐쇄성 때문에 보이지 않는 창살에 갇힌 채 서로 부대끼며 갈등, 대립, 오해를 겪다 결국 사랑으로 구원을 모색하는 이야기를 적나라하게 쓰고 싶었다. (작가의 말에서)

 

 

7편의 연작이라지만 내용들이 잘 맞물려 있어서 연작임을 눈치 채지 못하고 읽었다. 자애의 눈으로 바라 본 섬사람들의 생태를 그린거구나 싶었다. 그건 아마도 처음과 나중에 나오는 인물이 자애라는 한 인물이어서 그런 것 같다.

 

방학을 맞아 잠시 민박하러 왔던 자애는 섬에 있는 절의 요사채에 머물게 된다. 남편과의 사이에 아이가 생기지 않아서 연결고리가 점점 느슨해지는 느낌이다. 서로 관심이 없는 부부가 되어가는 것이 새삼 서럽다. 10년을 대학 강사로 있었지만 정교수 자리는 요원하고, 지도교수는 재임용 다섯 번으로 10년을 채운 그녀에게 많은 혜택을 준 것이라며 은근히 나가 달라는 눈치를 준다. 게다가 교수들 간의 알력 다툼과 종 부리듯, 도제를 대하듯 하는 은사의 권위가 이제는 몸서리쳐진다. 학기 중에 선생과 친하게 지내면서 적당히 리포터로 좋은 학점을 기대하는 학생들, 성적이 나쁘게 나오면 선생의 강의도 낮은 점수라며 협박성 문자를 보내는 학생들을 보며 가르치는 것에 대한 회의를 품는다. 사제지간이 있기라도 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의 맹렬한 비난조의 메일을 받는 것도 정말 지쳤다. 그래서 방학을 맞아 도망치듯 서울을 떠나 찾아든 땅끝섬.

 

개발되기 전에 토착 섬주민들 만의 공간이었을 때의 땅끝섬은 정을 나누던 행복한 섬이었다. 그러나 섬과 섬 주변이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외부에 알려지자 관광객들이 몰려오고, 이익이 된다 싶으니까 외지인들이 정착하게 된다. 그러면서 이전에 없던 문제들이 생겨나고 나중에는 파도처럼, 폭풍처럼 섬을 휩쓸어 버린다.

자치회장 재범이, 물질하는 막순할머니와 현 씨 할머니, 현씨 할머니의 막내딸의 죽음 등이 애달프게 다가온다.

 

골프카와 짜짱면의 등장은 이권에 눈먼 섬사람들의 모습이다. 그리고 이후에 다가 올 재앙의 전조이기도 하다. 기득권을 누리려는 섬토착 주민들과 자신의 권리를 가지려는 새로운 사람들의 갈등과 다툼은 뺄 것도 없이 그대로 우리의 모습이다. 뭍에서 족보 있는 명견들을 경쟁적으로 들여오는 마을 남자들의 과시욕. 마을에서 주인의 위상 따라 서열이 정해지는 개들의 모습까지……. 정말 이럴지도 몰라. 라는 생각이 들게끔 묘사를 해 놓았다.

 

사제지간, 가르친다는 것의 회의에 힘이 빠지고 맥이 풀리기를 거듭하다보니 이제는 지쳤나 보다. 결국엔 학교에 사표를 던진 자애는 남편과 함께 다시 땅끝섬으로 찾아오면서 관계를 회복한다. 역마살이 낀 공처사는 긴 방황을 끝내고 주지스님이 되어 있고 마을의 골프 카도, 개들도 사라지고 말끔하다.

 

모든 것이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 이 소설은 해피엔딩이다. 아마도 자연을 훼손하지 말자는 로망, 인간의 그대로의 순수함을 간직하고 싶은 작가의 소망이 담겨 있으리라.

 

외지고 작은 땅끝 섬이 배경이라서 소설 속에는 물질, 낚시, 횟집, 바다에 대한 이야기가 세밀화처럼 그려진다. 서울 태생이라는 작가가 걸쭉한 제주 방언을 풀어 놓기도 하고 낚시할 때의 손맛을 그려내는 모습, 섬에 사는 개들의 권력다툼, 섬의 태생적인 폐쇄성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것을 보고 놀랐다.

 

섬이 유토피아일수도 있고 감옥일 수도 있음을 시사 하는 소설이다. 있는 그대로의 섬을 보존하는 것만큼이나 우리의 일상도 본래의 모습에 만족하며 욕심이 없는 삶을 살자는 메시지 같다. 개발이나 발전이 반드시 좋은 것이 아님을, 자연 그대로의 수수함이 더욱 행복임을 생각나게 한다.

 

섬의 개발로 일어나는 과정들이 그대로 우리의 일상이기에 현실을 마주하는 느낌이 들 선명하다. 재미있게 읽은 소설, 훈훈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