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베르크 프로젝트 프로젝트 3부작
다비드 카라 지음, 허지은 옮김 / 느낌이있는책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나치 비밀실험과 세계적 컨소시엄의 음모~[블레이베르크 프로젝트]

 

 

나치의 비밀실험과 세계적 컨소시엄의 음모를 파헤친, 실화를 바탕으로 한 팩션 스릴러. 프랑스 프낙 서점 스릴러 최장기 베스트셀러. 시리즈물 3부작의 첫 번째 작품. 영화화하기로 결정. 모험소설분야에서 인정하는 괴물 작가의 작품. 이보다 더한 설명이 필요할까.

 

31살 제레미 노바체크는 금발머리에 얼굴이 꽤나 반반한 미남이다. 그는 월스트리트에서 일하는 잘나가는 주식중개인이며 평생 쓰고도 남을 정도의 돈을 벌었다. 원래이름은 코번이지만 25년 전에 자신과 엄마를 버린 아버지를 증오하며 엄마의 처녀 적의 성을 따라 살고 있다. 몇 달 전 음주운전으로 4개월 된 아이를 죽게 해서 그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

 

어느 날 공군 중장이었던 아버지의 사망소식을 듣게 된다. 그 소식을 전하러 병원에 갔더니 엄마는 의문의 펜던트를 건네준다. 엄마의 펜던트에는 나치문양이 새겨진 작은 열쇠가 들어 있고 암호가 있었다.

아무래도 스위스비밀은행암호 같은데....

 

비밀을 풀려고 급하게 회사로 갔더니 버나드 딘이 나타나서 자신은 제레미 아버지와 친구이며 CIA 비실전요원이라고 해서 놀란다. 버나드는 지금 제레미가 일하는 회사 대표이며 그동안 자신을 아들처럼 극진히 대해 준 사람이다. 그리고 자신과 어머니를 보호하기 위해 아버지가 떠난 것임을 알게 된다. 그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왜 이제야 말하는 걸까.

 

어느 날 엄마는 의문의 암살을 당하고 자신의 목숨마저 위태해진다. 아버지의 흔적을 뒤쫓던 제러미일행은 인류의 목숨이 그들에게 달려 있음을 알게 되는데...... 거대한 컨소시엄의 비밀은 무엇일까.

 

나치가 독일을 점령하던 시절에 한 과학자가 있었다. 유태인인 빅터 블레이베르크 교수는 인간을 개조해 초인을 만드는 게 꿈인 박사다. 뛰어난 실력 덕분에 나치의 유태인 학살 시절에도 그는 살아남는다. 실험용인 모르모토를 위해.

방사능 연구로 인체 변화를 연구하는 미친 과학자 블레이베르크 박사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실험용 쥐가 아니라 동족인 유태인들을 모르모토로 이용했고 많은 이들의 죽음 위에 연구는 발전해 간다.

그의 실험에 수많은 실험인간들이 죽어 나가지만 결국 딱 한 명, 302호만 살아남는다.

302호라 불리는 한 유대인 아이가 돌연변이에 적응을 성공하면서 뛰어난 지능과 탁월한 신체적 능력을 가진 채 살아남는다. 박사는 그 아이와 연구기록들을 다른 조직에 넘기려하지만 아이가 폭탄을 던지고 모든 기록물을 가지고 도망감으로써 난관에 빠진다.

 

한편 모사드 요원인 에이탄은 기밀을 팔아먹은 CIA요원을 암살하고 제레미를 보호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의문의 사나이들이 제레미를 죽이려 할 때 에이탄은 그를 구해 주게 된다. 버나드는 제레미에게 CIA요원인 재키를 붙여 준다.

컨소시엄과 아버지, 에이탄, 블레이베르크 박사의 관계는...

 

-'초인'이 과연 전설일까요?

-302호를 나치의 손에 넘겨줄 수는 없었어요.

-당신은 미쳤어! 초인인지 뭔지, 당신의 그 미친 이야기를 우리가 믿을 것 같아?

-제레미, 말이 많은 편인 것 같은데 302호가 우리 중에 실제로 있다면 당신 입에서 과연 무슨 말이 튀어나올까요? (본문에서)

 

1942년에 한 과학자가 벌인 나치 생체 실험의 결과로 현재까지 그 망령들이 살아서 영향을 미친다면 어떨까. 상상만 으로도 끔찍하다. 일제가 조선인과,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한 것도 용서할 수 없는 만행인데....

앞으로 나올 2, 3편도 기대가 크다.

 

오늘 아침, 맷 데이먼, 조디 포스터 주연의 <엘리시움>을 봤다.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현실이 된다면..... 선택받은 1%가 지구를 버리고 다른 곳에서 살며 버려진 지구를 식민지로 삼는다면.... 두 시간동안 몰입하면서 굉장히 재미있게 봤으면서도 우리가 미래가 정말로 어두울까... 왜 이런 영화가 자주 나오는 건지... 씁쓸한 기분이었는데...

 

<블레이베르크 프로젝트>도 영화로 나온다니까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언제쯤 나올까, 주연은 누구일까. 언제쯤 영화로 만들지는 모르겠지만 영화로 나오면 대박일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