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나는 제자리인가 - 1년 후가 불안한 당신이 꼭 알아야 할 7가지 성공기술
헤더 서머스 & 앤 왓슨 지음, 신승미 옮김 / 마일스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당신의 잠재력을 깨우는 기술!!―왜 나는 제자리인가
이 책은 세계적인 저널리스트인 저자들이 오랜 기간 분석한 놀라운 잠재력의 힘을 공개한 책이다.
수만 명의 평범했던 사람들을 성공으로 이끈 공통 데이터는 무엇일까.
저자들은 7가지 습관만 들이면 성공습관이 스며든다고 한다.
성공기술 터득이 그리 쉬운 일이었으면 누구나 성공했을 것이다.
남들에게는 쉬운 일이 자신에게는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
'모든 게 습관들이기 나름'이란 말처럼 습관들이는 데도 시간과 용기와 방법이 필요한 법이다.

이 책에는 '성공기술행운지수 측정 설문지'가 있다.
먼저 나의 성공습관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해 본 다음에 책에 소개된 성공습관들을 익혀보고 적용해 보도록 하고 있다. 그대로 따라 한다면 7일후에 자신의 운 흐름이 달라진다고 한다. 그렇다면 행운을 부르는 습관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환경이 우리를 지배하도록 내버려둘 수도 있다.
아니면 스스로 주도권을 쥐고 내부로부터 자신의 삶을 지배할 수도 있다.
-얼 나이팅게일
상황을 유리하게 주도하는 통제력
통제력이란 아무리 어려운 사건이나 상황에 맞닥뜨리더라도
그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스스로 선택하고 조정하는 능력이다.
통제력을 키우면 냉정한 운명의 영향력에 대해 덜 투덜거리게 되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유리하게 반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삶의 주도권을 잡는다.
통제력이 있으면 선택하는 위치에 있게 되고
주체적으로 행운을 끌어들이는 사람이 된다.
많은 자녀 전문가들은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게 만들라고 한다. 직접 행동하고 스스로 주도권을 쥐고 직접 해결하게 하는 습관을 어렸을 때부터 들이는 것은 성공의 중요습관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스스로 잘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실패한 사람들은 주변에, 환경에 핑계를 댄다.
죽음, 재난, 질병, 사고, 강도, 날씨, 파산 등 통제 불능의 상황에서도 사건 자체는 통제할 수 없지만 그 상황에 대한 자신의 반응은 통제할 수가 있다.
상황 + 반응 = 결과
상황과 반응이 합해져서 결과로 나온다. 그러니 상황대처반응은 중요하다.
기회를 알아보는 눈을 길러라. 귀찮다고 방관하지 말고 해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을 긍정적으로 선택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흔히들 통제력이 부족할 때 남 탓을 하거나 핑계를 댄다. 그러니 통제력을 키우는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자신이 한 말을 뒤늦게 후회한 적이 있다면 그 상황을 떠올리며 후회했던 말을 하기 전에 '멈춰!'라고 외쳐라. 그리고 그 상황에서 자신이 원한 결과나 최상의 선택을 위한 말과 행동으로 바꿔라. 그래서 후회 없는 대화를 하도록 힘써야 한다.

몸속의 긍정에너지를 끌어올리는 방법은 무엇일까.
몸을 최대한 쭉~ 펴고 똑바로 서서 시선을 위로하고 미소를 짓는 연습을 한다. 몸 상태가 좋으면 마음도 좋아진다. 기대이하의 결과가 나왔다면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할 수 있었던 일을 적어서 늘 참고하도록 한다. 상상력을 발휘한 시각화 활동은 통제권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자신이 영화감독이라고 생각하고 유쾌하지 않았던 상황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만들어 본다. 그리고 배경을 마음껏 삭제하고 편집한다. 늘 꿈꿔왔던 장면, 멋진 배경, 매력적인 색을 입히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멋진 이야기를 끌어간다. 영화가 완성되면 필름을 되감아 처음부터 틀어놓고 훌륭한 결말을 예상하며 편안한 마음으로 마음껏 누려보는 것이다. 이러한 흥미진진한 상상의 리허설은 성공적인 결과라는 설정을 우리 신경계에 심어 놓게 된다. 이 방법은 효과가 탁월하다고 한다. 가상연습의 힘이랄까.

언어를 사려 깊게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부정적인 말에는……
나는 이 일을 해야 해./ 나는 이 일을 하면 안 돼.
그 일을 했어야 했는데..../그 일을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
그 곳에 가야 해./그 곳에 가면 안 돼.
나는 그 일을 할 필요가 있어.
목표달성을 위해 시도할 거야!
이런 말들은 남에게 명령하는 말투이거나 남에게 영향을 받는 말투이여서 강압적이다. 그러니 부담과 스트레스를 준다.
이것을 긍정적인 언어로 바꿔 보면...
왜 이 일을 하면 안 되는 거지?
누가 그런 말을 하는데?
내가 그 일을 하면 무슨 일이 생길까?
내가 그 일을 하지 않으면 무슨 일이 생길까?
내가 그 일을 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내가 그 일을 하지 않으면 무슨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이런 말들은 자신이 통제권을 쥐고 있기에 주위의 억압보다는 근본적인 해방감을 준다. 말은 습관이라서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중요한 순간에 행복한 사진을 보고 나면 마음이 느긋해지고 주변 환경과 하나가 된 듯 편안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차분하고 편안한 느낌이 최고조에 달한 사진을 찍어서 마음속에 스캔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볼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 책에는 이 외에도 끝까지 해내고 마는 인내력,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위험감수능력, 순간의 기회를 포착하는 감지 능력, 평생 시들지 않는 활동 에너지 사회성, 부정을 긍정으로 바꾸는 인지력, 스스로를 명확히 판단할 줄 아는 자기인식 능력 등에 대한 설명들이 있다.

개인적으로 통제력 점수가 높았는데도 새로운 것들을 배우게 된다.
상상 리허설, 주도적인 표현들, 최고조의 행복한 사진을 마음에 심는 것....
자신의 감정 조절을 잘하게 되면 대단히 유익하다는 사실에 공감한다. 그런 사람은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덕분에 상황을 손쉽게 통제하고 그 과정에서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행운을 불러들이는 점들이 탁월하다고 한다. 엄~청 동감이다.
한계는 스스로 짓는 것이 아닐까. 누구나 내재한 잠재력의 힘은 굉장하다는 생각을 늘 했었는데.....이 책을 보면서 나의 잠재력을 더 끌어 올려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힘을 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