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자식 구성인 이 소설은 실제 인물의 '원고'라고, 실제 이야기라 무섭고 슬프다고 너스레를 떨며 크리스마스 이브에 시작한다. 챕터도 0이라고 되어있으니 진짜 이야기는 아직이다. 그리고 챕터1에서 다른 '나'가 나오며 이야기는 펼쳐진다.
그러니까 이 소설에는 두 명의 '나'가 있다. 원고 속의 '나'와 더 큰 틀의 '나'. 프랑켄슈타인과 비슷한 구조이지만 헨리 제임스 소설은 더 꼬여서 진짜 사건은 독자로 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원고의 나와 그 원고를 전하는 소설의 나 사이에도 단계가 여럿이다.
1.원고 '나'
2. 원고 저자와 더글라스의 만남과 원고 전달
3. 더글라스의 원고 낭독
4. 소설 큰 틀의 화자 '나'는 원고 낭독 듣고 원고 건네 받음
5. 세월이 흐른 후 더글라스가 병사함
6. 소설 큰 틀의 화자 '나'가 정확한 복사본 제작
7. 독자가 전후사정과 함께 묶은 원고 복사본을 읽음
갓 스무살이 된 원고 저자, 여성 '나'는 시골 외딴 저택에서 두 어린이 (열 살 마일스와 더 어린 여자 아이 플로라)를 맡는 가정 교사가 된다. 자신을 고용한 남성, 런던에 거주하는 매력적인 독신남은 자신을 귀찮게 말라며 고액 임금과 함께 전권을 위임한다. 가난한 목사의 세째딸 '나'는 경력도 없이 덜컥 이 일을 맡았고 극한 긴장감에 짓눌린다. 유월 초여름, 저택에서 여러 인물들과 아름답고 매력적이지만 기대에서 빗나가는 아이들의 행동에 맞닥뜨린다. 더하기 유령.
마침내
붕괴하는 '나'와 아이들.
어쩌면 애초에 망가져 있던 저택과 아이들, 그 상황에 무력하게 던져진 가정교사.
마일스와 퀸트라는 거친 사나이 사이에, 마일스와 이 가정교사 사이에, 퀸트와 전직 가정교사 사이의 이야기가 얽히며 (더해서 마일스의 교우관계) 어린이를 정서적 (그리고 아마도 성적으로) 학대하는 상황이 암시된다. 마지막에 멈춰버린 심장의 고동은 이 비극의 마침표일까.
하지만 다시 챕터0으로 돌아오면 애초에 이 원고를 들고 오는 인물인 더글러스가 의아하다. 그는 이 원고가 자신보다 열살 위 여성, 자신의 여동생의 가정교사가 쓴 글이라고 했다. 마일스와 겹치는 프로필이다. 마일스네 비극이 끝나고도 이 여성은 버젓이 다른 어린이를 맡아서 가르쳤다는걸까. 분명히 더글러스와 이 여성은 가까운 관계가 되었고, (마일스가 '나는 나와 같은 사람을 원해요'라는 말로 계급차이를 드러내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 원고를 그에게 넘기고 그녀는 '죽었다'.
그리고 다시 이 원고를 친구인 소설 큰 틀의 '나'에게 넘기고 더글러스도 시간이 흐른 후에 죽는다.
끝까지 모르겠는 사람속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겹으로 싸고 접고 묶어서 우리 앞에 놓은 헨리 제임스. 더해서 우리글 번역본의 파파고 문장이 독자의 독서와 몰입을 방해하며 이야기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나는 한겹 더 접은 영화 버전으로도 만났다.
다행히 이 영화에는 더글라스나 그 친구 '나'는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90년대로 설정된 시기의 가정교사는 케이트라는 이름이 있고 그녀에겐 저택 바깥에 멀쩡한 친구도 있다. 하지만 아주 안 멀쩡하게 부서진 정신 상태의 엄마도 있다. 영화의 마일스는 중학3년생 쯤으로 보이는 소년이라 케이트와의 사이에 생기는 긴장감이 더 명확히 보인다. 말이나 행동뿐 아니라 체격으로도 케이트를 누를 수 있을 것만 같다. 케이트는 저택의 비밀을 파헤치는 탐정이 되고 저택에서 아이들을 구출해 내는 (혼자만의) 임무를 가지고 분투하지만 우선 자기 자신 부터 구해야한다. 저택을 나가도 엄마가 있는 세상에서 케이트가 갈 곳은 많지 않다. 택시처럼 보이는 그녀의 노란 자동차는 눈에 확 띄어서 숨을 수도 없고 그녀를 어디 멀리로 데려가기엔 너무 낡았다.
영화는 케이트와 저택을 케이트 엄마의 그림 속으로, 수영장을 닮은 작업실 속으로, 저택 옆의 인공 호수 속으로 여러 겹의 물 이미지에 담가 놓았다. 나사를 더 여러번 돌려 놓아서 풀기가 어렵다.
잠깐, 그러니까 영화나 소설의 마지막이 어땠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