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보행을 위한 모임들, 통행을 위한 투쟁들
마이클 코언이 뮤어에 관해서 쓴 책 『나지 않은 길: 존 뮤어와 미국의 황무지 (The Pathless Way:John Muir and the American Wilderness)』에도 그 일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오지 취향은 문화적으로 결정되는 특권, 곧 미국인 중에서 안락한 계급의부모를 가진 사람들이라야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는 사실을 직접 깨닫게된 일이 우리에게는 충격이었다. 이런저런 야외 활동들을 통해 유토피아적 공동체 감각을 기를 수 있으려면, 이미 어떤 기본 가치들에 동의하는긴밀한 집단이 있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시에라 클럽과 기타 단체들은 그런유의 경험을 매개하는 데 더 유리한 ‘도심 원정‘을 후원해왔다.) 우리 셋은 산등성이를 내려오는 길에 등산로에서 벗어나 크로스컨트리를 시작했다. 검은절벽 아래 숨어 있는 탓에 더 깊어 보이는 작은 호수 근처를 거닐기도 하고, 녹색 달래가 촘촘히 자라고 진홍색 인디언 붓꽃이 군데군데 피어 있는 질척질척한 습지를 조심스럽게 지나서 블러디 캐니언을 굽어보는 바람 부는 비탈까지 가보기도 했다. - P253
귀족들의 정원에서 시작된 취향의 일종이 사유재산이라는 절대적권리 내지 특권에 대한 공격으로 끝난다는 것은 시골 땅을 걸은 역사의위대한 아이러니(혹은 권선징악)이다. 보행 문화가 시작된 장소였던 정원과사유지 공원은 폐쇄된 공간(많은 경우 담장이 세워져 있거나 해자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 극소수의 특권층에게만 개방되어 있는 공간, 경우에 따라 인클로저로 점유된토지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영국 정원이 만들어진 과정에는민주주의의 원리가 내재해 있다. 첫째, 나무들과 물과 땅이 기하학적 형태를 강요받는 대신 자유롭게 있는 그대로의 모양을 펼칠 수 있고, 둘째, 담장이 없어지는 등 공간의 격식이 점점 사라졌고, 셋째, 공간의 격식이사라짐에 따라 점점 자유로운 보행 경험이 가능해졌다. 자연 속을 걷고싶어 하는 취향이 확산되면서, 정원을 거닐던 귀족의 후손들은 이런 정원에 내재된 원리를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아직 영국 땅 전체가보행자들에게 열려 있는 것은 아니다. - P272
보행을 위해 단체를 조직하는 것은 얼핏 보기에는 이상하다. 실제로 보행을 중요시하는 사람이 자주 언급하는 독립, 고독, 자유는 조직과통솔이 없는 데서 온다. 하지만 밖으로 나가 걸으면서 즐거움을 얻으려면세 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자유로운 시간, 자유롭게 걸을 장소, 질병이나 사회적 속박에서 자유로운 육체가 그것이다. 이 기본적 자유는 무수한 투쟁의 목적이 되어왔다. 힘든 투쟁을 통해서 자유로운 시간(8시간, 또는 10시간 노동, 그리고 이어서 주 5일 노동)을 쟁취해낸 노동자 단체들이, 그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싸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자유롭게 걸을 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싸우는 사람들은 또 있었다. 이 장에서는 오직 자연과 시골 공간을 위해 싸운 사람들을 주로 다루었지만, 도심의 공원 조성과 관련해서도 풍요로운 역사가 있다. 예컨대 센트럴 파크는 뉴욕을 떠날 만한 여유가 없는 도심 주민에게 전원의 미덕을 선사한다는 민주적·낭만적 기획이었다. 한편 자유로운 육체는 자유로운 시간이나 자유롭게 걸을 장소에 비해서 미묘한 주제다. 초창기 시에라 클럽에서 샤프롱을 동반하지 않은 여자들이 반바지를 입고 등산을 하거나 솔가지를 모아 침대로 삼았듯, 캘리포니아에서는 육체의 자유를 위해 걸었다기보다 걸음으로써 육체가 자유로워졌다. - P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