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2호선을 타고 퇴근했다.

가끔 바쁘지 않을 때는,
시청역에서 사당역까지
2호선을 타고 삥 둘러 온다.책도 읽을 겸.

이런 질문을 자주 듣는다.

"성대리님은 언제 그렇게 책을 읽으세요? 책 읽을 시간이 있어요?"

대부분 대답 대신 그냥 머쓱하게 웃고 넘어간다.
대답을 하자면....

1.출퇴근길에 읽는다.
차를 팔고 나서 부터, 책을 훨씬 많이 읽게된다.
책을 더 많이 사게 되고, CD를 거의 안 사게 된다.
혼자 음악 들을 시간은 이제 거의 없다.
2. 누구를 기다릴 때 읽는다.
항상 책을 가지고 다녀야 가능하다.

뭐...이 정도 밖에 없다.
그런데....사실 왔다 갔다 하는 시간,
누구를 기다리는 시간,
하루의 짜투리 시간을 세어 보면 어마어마하다.
항상 책을 가지고 다니면, 이 시간 동안 행복한 독서를 할 수 있다.

오늘 지하철에서 혼자 커다란 목소리로 떠드는 아저씨를 봤다.
내가 시청역에서 탔을 때 부터 이미 그 아저씨의 목소리가 라디오 방송 처럼 울러 퍼지고 있었다.

처음에는 핸드폰으로 통화를 하는지 알았다.
그렇게 횡설수설 떠드는 아저씨들 치고,
욕설도 적었고 말하는 내용도 멀쩡했기 때문이다.

" 작가들이 말이야, 그러면 안된다구. 어쩌구 저쩌구....
....... 개새끼들........."

무슨 말을 하는지는 모르겠는데,
계속 "작가들"이란 말이 반복되었다.

그렇게 혼자 떠드는 아저씨들 쳐다 보다가 눈 마주 치면
정말 골치 아프다.
그래서 아무도 그렇게 혼자 떠드는 사람을 정면으로 쳐다보지 않는다.

흘깃 쳐다보니 그 아저씨는 제조업체들의 공장에서 주로 입는 작업복 잠바에 양복바지를 입고 있었다. 외모도 깔끔한게 퇴근하는 사람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었다.

하지만 그 아저씨의 억양 없고, 강약 없는,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는데
"작가들"이 수 없이 반복되는 그 수신인 없는 연설은
2호선이 빙빙 돌듯이 빙빙 돌고 있었다.
내가 사당역에 내릴 때도 그 아저씨는 계속 떠들고 있었다.

사당역에 내리면서 생각했다.
저 아저씨의 목적지는 어딜까? 내려야 할 곳이 있긴 있을까?

어쩌면 그 아저씨는 선릉역, 삼성역, 구의역, 동대문운동장역,다시 시청역까지 빙빙 돌며 계속 떠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떠들기에 2호선은 참 경제적인 공간이다.
계속 빙빙 돌면서 새로운 청취자들이 등장하고,
지하철이 빙빙 도는 속도에 맞추어
자신의 강의 테이프도 계속 "Auto Reverse"를 시키면 되니까...
오늘은 몇 바퀴 돌았는지도 쉽게 알 수 있고,
갈아탈 필요도 없고....

지금은 어딘가 내렸을까?
설마 아직도 그렇게 혼자 떠들고 있는건 아닐까?

도대체 그 아저씨의 목적지는 어딜까?
내려야 할 곳이 있긴 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냐 2004-11-30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랑 책 읽는 시간이 비슷하시군요. 책 읽는 시간을 쪼개는 방식이요......(음, 아저씨 얘기 말구 엄한 소리를 했군요)

kleinsusun 2004-11-30 0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냐님도 출퇴근하는데 시간 많이 걸리세요?

회사는 광화문이라 그러셨던 것 같은데.... 교보문고 자주 가시겠네요.

오늘 출근길은 계속 졸았어요.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