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 시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오후 네시>(아멜리 노통 지음/김남주 옮김/열린 책들)를 읽다.

<오후 네시>, <적의 화장법> 두 소설에 공통점이 있다.
자신이 몰랐던 자신의 모습을 만난다는 것,
그리고 경악에 빠진다는 것...
자신이 이해해 왔던 자신의 모습은 "실체"가 아니었다는 것.
자신의 억압된 또는 숨겨져 왔던 모습을 보고 주인공은 파멸로 치닫는다.

이 소설을 매사에 딱딱 부러지는 사람이 읽는다면,
누구의 어떤 부탁에도 미안해하지 않고 "No"라고 말할 줄 아는 사람이 읽는다면,
아주 아주 분명하고 논리적인 사람이 읽는다면 짜증이 날지도 모른다.
" 왜 이런 말도 안되는 일 가지고 고민을 하지? 도대체 이게 고민할 거리가 된단 말이야? 거 참 프랑스 소설이란게 프랑스 영화 처럼 늘어지고 말도 안되네." 할지도 모른다.

무슨 내용인데 그러냐고?

한평생 라틴어 교사를 하다 정년퇴직을 한 에밀과 동갑내기 부인 쥘리에트는 평생 소원이었던 시골마을에 정착을 한다. 그리고 그들이 한평생 꿈꾸어왔던 둘만의 한가한 생활 속에서 완벽한 행복함을 느낀다.

그런데....
어느날 앞집 남자가 불쑥 찾아온다.
그 남자는 이사한 이웃에게 인사를 하러 온게 아니었다.
그 다음날도, 또 그 다음날도, 또 그 다음날도 매일매일 오후 4시가 되면 노크를 한다.
불쑥 들어와서는 아무 말도 없이 두시간 동안 그들의 거실에 앉아 있다가 간다.

찾아 온 사람이 말도 꺼내지 않고,
애써 묻는 질문에도 "예","아니오"라는 단답형 질문만 한다.

매일 오후 4시가 되면 어김 없이 찾아오는 이 불청객 때문에 에밀과 쥘리에트의 행복은 깨진다. 오후 네시가 다가오는 것이 두렵다.
말도 하지 않으면서 매일매일 찾아오는 이 불청객에게 에밀과 쥘리에트는 "오지 마세요!" 라고 말하지 못한다.

그러니 이 소설을 읽으면서 짜증이 나는 사람도 있겠지....
" 한번만 더 오면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말을 하던지,
다신 오지 말라고 확실하게 말을 하던지,
그것 때문에 고민을 해? 거참..."
이렇게 말할 수 있는 행복한(?)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에밀은 평생 "예의"를 지키며 살아온 소시민이었다.
누구에게도 기분 나쁜 얘기를 하지 않았으며,
자신이 기분 나쁜 소리를 들을 필요도 없는
너무도 조용하고 질서있는 삶을 살아왔다.

에밀은 주위 사람을 "배려"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린다.
이러한 소시민적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에밀은
정작 자신의 행복을 해치면서도
매일 매일 찾아오는 이웃에게 "오지 마세요!"라는 말 한마디를 하지 못한다.

착하디 착한 에밀과 쥘리에트.
그들은 불청객을 피해 오후 네시가 되기 전 산책을 간다.
불청객의 방문을 피했음에 기뻐하면서 들어온 선량한 부부.
하지만 긴 산책 덕분에 쥘리에트는 감기에 걸린다.
( 이 부분은 거의 코미디에 가깝다.)

그런데 난 이 부분에서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오지 마세요!"라는 말 한마디를 못하는,
그렇게 괴롭고 싫으면서도
"이웃하고 잘 지내야 한다"는 어렸을 때 부터 교육받은 규율과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소시민들의 모습.
산소가 부족해 죽을 것 같은데도 "예의"라는 굴레 속에 차렷 자세로 서 있는 사람들의 모습.
그건 내 모습이기도 했으니까.

그러기에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나도 앞집 사람에게 말을 못하고 끙끙 거리고 있었을꺼다.
어떻게 하면 그 사람이 안올까? 온갖 궁리를 하면서...

착한 사람들은 부탁을 거절하지 못해 온갖 핑계를 궁리하고,
죄책감을 느끼면서 기어 들어가는 모기 목소리로 "No"라고 말한다.

"싫다"라는 한마디면 단방에 끝나는 수많은 상황들에서...

<오후 네시>로 좀 더 확실해 진다.
곧 아멜리의 전작주의자가 될 나의 모습이... 

 수선이의 도서관

www.kleinsusun.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