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의 화장법
아멜리 노통브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적의 화장법>(아멜리 노통 지음/성귀수 옮김/문학세계사)를 읽다.

명상 초심자에게 있어서 제일 괴로운 순간은,
졸리는 것도 아니고 허리가 아픈 것도 아니다.

가장 괴로운 순간은,
내가 보고 싶지 않은
내가 인정하고 싶지 않은
다 잊었다고 생각했던
정말이지 피하고 싶은 "영상"을 보는 거다.

도대체 내 모습이라고 고개 끄덕일 수 없는,
나 아니라고 부정하고 싶은 그런 내 모습을 보는 거다.

그럴 때 명상에서 깨어나고 만다.
그 순간을 견뎌야 하는데 그냥 자리에서 벌떡 일어서고 만다.

나 아니라고 부정했던 어색한 내 모습을 보는 것,
유령 처럼 나타난 꽁꽁 숨어있던 내 모습을 보는 것,
그것은 "두려움"이다.

<적의 화장법>을 읽으면서,
명상의 순간에서 깨어날 때의 "두려움"을 느꼈다.

끝까지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서 철저하게 "논리"로 무장한,
그러다가 스스로 파멸해 버리는 주인공 앙귀스트를 보면서
"동병상련"을 느꼈다.

난 <적의 화장법>을 읽으면서 아멜리에게 반해 버렸다.

아멜리는 밤마다 찾아오는 자살의 유혹에 대한 "대결(confrontement)" 수단으로 글을 쓴다고 한다.
그래서 그렇게 치.열.한걸까?

아멜리의 글쓰기에는 "느슨함"이 없다.
아무런 군더더기 없이 치고, 박고, 빠지고 다시 치고....
날렵하고 영리하다.
긴장 속에서도 유머를 놓지 않는다.
웃을 수 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만들어 낸다.

아무래도 나는 아멜리의 전작주의자가 될 것 같다.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아멜리.
하지만 <적과의 화장법>을 읽는 내내....
힘들었다.
피하고 싶은 내 모습을 봐야 하는 낯설음과 두려움.
이 소설을 읽는 기쁨과 함께 부록으로 받아야 하는 스트레스다.

수선이의 도서관

www.kleinsusun.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