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Scientific Name)은 만국공용어에 해당하는 생물 이름이다. 인간의 학명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생물 종의 학명을 붙일 경우 이명법(二名法)을 따른다. 라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속명(genus)과 종명(species)을 조합하는 방식이다. 학명의 ‘Homo’는 속명이고, 학명의 뒤에 오는 것이 종명이다.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 종명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김영사, 2017)

 

 

 

올해 국내에 출간된 유발 하라리(Yuval Harari)의 저서 제목은 호모 데우스. 번역본을 펴낸 출판사는 호모 데우스‘Homo Deus’로 표기했다. , 그렇다면 이 단어 표기는 맞는 것일까, 틀린 것일까?

 

학명 명명법에 따르면 ‘Homo Deus’는 틀린 표기다. (god)을 뜻하는 라틴어 ‘Deus’는 종명이다. 종명의 첫 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을 따르면 ‘Homo deus’라고 써야 한다.

 

지금까지 알라딘에서 제목 표기를 날카롭게 지적한 리뷰를 두 편 봤다. 옳은 지적이다. 처음에 나는 그 의견에 동의했다. 그런데 ‘Homo Deus’가 틀렸다고 할 수 없다.

 

 

 

 

* ‘Homo Deus’가 틀렸다고 할 수 없는 이유 1 :

호모 데우스원서명은 ‘Homo Deus’.

 

 

 

 

 

 

 

라틴어 표기가 틀렸다고 해서 번역본을 만든 김영사가 잘못된 것일까? 그러한 문제 제기는 김영사 출판사 입장에선 억울하다. 원서를 펴낸 출판사에 라틴어 표기 문제를 따져야 한다. 아니면 호모 데우스를 처음으로 만든 유발 하라리에게 따지든가.

 

 

 

 

* ‘Homo Deus’가 틀렸다고 할 수 없는 이유 2 :

‘Homo Deus’는 정식 학명이 아니다.

 

‘Homo Deus’는 학명의 속명(Homo)‘Dues’를 결합한 합성어. ‘Homo Deus’는 유발 하라리가 만든 학명이 아니라 신조어. 학명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국제 명명규약을 따른다면 ‘Homo Deus’ 표기는 틀렸다. 그렇지만 ‘Homo Deus’는 명명규약을 따를 필요 없는 신조어이며 정식 학명으로 등록되지 않았다. 호모 데우스는 학명이 아닌데, 학명 명명법대로 표기할 필요가 있을까?

 

 

 

 

* ‘Homo Deus’가 틀렸다고 할 수 없는 이유 3 :

‘Homo Deus’는 하라리가 의도한 ‘Deus Homo’의 패러디일 가능성이 있다.

 

 

 

 

 

 

 

 

 

 

 

 

 

 

 

 

 

 

 

 

 

가톨릭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가톨릭에 관한 모든 것(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7)‘Deus Homo’을 설명한 항목이 있다. ‘Deus Homo’예수를 가리키는 라틴어다. 예수는 (Deus)과 인간(Homo)의 특성을 동시에 지닌 신인(神人)이다.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볼 때 ‘Homo Deus’신이 된 인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수가 신이 된 인간인지 아니면 인간이 된 신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여기까지 파고들면 글이 엉뚱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니 이 문제는 제쳐 두자. 예수를 신이 된 인간으로 본다면 ‘Deus Homo’‘Homo Deus’는 표현상 같은 의미다. 그러나 하라리가 만든 ‘Homo Deus’의 진짜 의미(정보와 데이터를 숭배하는 미래의 인류, 호모 사피엔스의 능력을 초월한 인류)를 생각한다면 가톨릭 용어와 무조건 같다고 하면 안 된다. 본질적으로 의미가 같은 두 단어는 서로 다른 갈래에서 설명해야 한다.

 

 

 

 

 

 

 

 

 

 

 

 

 

 

 

 

 

 

*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김영사, 2015)

    

 

 

나는 하라리가 ‘Deus Homo’에 착안해서 책 제목을 정했을 거로 생각한다. 하라리의 주장에 따르면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의미 있는 발명이라고 했다. 인간이 인본주의를 지향하기 전에는 종교에 의지했고, 자신들이 창조한 (Deus Homo)’을 숭배했다. 호모 데우스는 신도, 인간도 아닌 데이터를 숭배한다. 이제 미래의 인류는 신 대신 기술에 의존한다. 호모 데우스의 은 노화와 죽음을 극복하는 불멸의 존재, 성서에 등장하는 신이 아니다. 미래의 'Deus'는 현실에서 가능할 법한 신이다. 이 견해는 개인적인 추정이므로 반론이 제시되면 폐기될 수 있다.

 

 

 

 

 

 

* annotate (입력: 20171123일 PM 16:27)

 

‘Homo Deus’‘D’가 대문자로 표기된 이유는 너무나도 간단했다. 책 제목으로 사용된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syo님의 의견) 호모 데우스원서의 본문에 ‘Homo deus’로 표기된 것을 psyche이 확인했다. 따라서 책 제목의 ‘Homo Deus’ 표기는 문제 될 일이 아니다. 그러나 필자의 두 번째 의견과 세 번째 의견은 무용하게 되었다. 아주 간단한 이유가 있는데도 미처 알지 못했고, 헛다리를 짚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1-23 1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7-11-23 13:03   좋아요 0 | URL
유발 하라리의 책을 철저하게 평가하려면 책 한 두번 읽어선 안 될 거예요. ^^

syo 2017-11-23 1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건 그냥 궁금해서 여쭤보는건데요,
원래 책 제호는 of 같은 것만 빼고 단어마다 다 첫글자를 대문자로 쓰지 않나요?

제가 원서를 못봐서 그러는데, 책에서 제호를 나타내는 게 아니라 그냥 명사로 사용할 때도 D를 대문자 표기하고 있나요? 유발하라리 홈페이지에서는 구분을 하고 있는 것 같긴 한데...

cyrus 2017-11-23 13:09   좋아요 0 | URL
맞아요. 책 제목의 단어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전치사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해요.

유발 하라리 공식 웹사이트를 확인해봤어요. 책 제목을 ‘Homo Deus‘라고 표기했지만, 책 내용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Homo deus‘라고 나와 있어요. 프시케님 말씀대로 원서 본문에는 ‘Homo deus‘라고 적혀 있군요. ^^

psyche 2017-11-23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의 표기법에 대해서도 이렇게 깊은 생각을 할수있군요. 저는 암 생각 없었는데... syo 님의 말씀이 맞는거 같아요. 제목이기 때문에 첫글짜를 대문자로 쓴거 같은데요? 혹시 해서 아마존에서 이북 샘플 가서 확인해봤더니 본문에는 Homo deus 라고 되어있어요.

cyrus 2017-11-23 13:12   좋아요 0 | URL
저도 syo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책 제목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어요. 글을 수정할 때 syo님과 프시케님의 의견을 반영하겠습니다. ^^

표맥(漂麥) 2017-11-23 2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읽고 있는 책인데... 한번도 이런 방향으로 생각조차 못했답니다... 부럽(?)습니다...^^

cyrus 2017-11-24 11:27   좋아요 0 | URL
부러워해야 할 일이 아니에요.. ㅎㅎㅎ 알아두면 쓸데없는 내용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