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의 감각 - 새가 된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팀 버케드 지음, 노승영 옮김, 커트리나 밴 그라우 그림 / 에이도스 / 2015년 2월
평점 :
장자가 혜자와 함께 호수 근처를 지나가고 있었다. 장자가 말했다. “물고기가 한가롭게 헤엄치고 있소. 이게 물고기의 즐거움이오.” 혜자가 말했다. “당신이 물고기가 아닌데 어떻게 물고기가 즐겁다는 것을 안다는 말이오?” 장자가 말했다. “당신은 내가 아닌데 어떻게 내가 물고기가 즐겁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안다는 말이오?” 혜자가 말했다. “나는 당신이 아니니까 물론 당신을 알지 못하오. 당신은 물고기가 아니니까 물고기를 알지 못한다는 것이 확실하다는 말이오.” 장자는 “당신은 이미 내가 안다는 것을 알고서 물었기에, 나도 물고기의 즐거움을 알았소”라고 응수했다.
《장자》추수(秋水)편에 나오는 장자와 혜자의 논쟁은 나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의 느낌과 생각, 더구나 인간과는 종이 다른 생명체를 이해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던져준다. 철학자 토머스 네이글은 <박쥐가 된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질문을 던졌다. 박쥐는 고주파의 빠르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어 주변의 사물들에서 반사되어 오는 것을 포착해서 주위 사물들의 배치를 알아낸다. 박쥐의 두뇌는, 쏘아 보낸 고주파와 반향 되어 온 미미한 파동들을 받아들인다. 만약에 인간이 박쥐처럼 음파 탐지 장치로 세상을 지각한다고 상상해보라. 그때 박쥐가 된 인간은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네이글은 박쥐에 대해 아무리 많은 것이 밝혀진다고 해도, 우리가 박쥐의 경험을 절대로 이해할 수 없을 거라고 주장하였다. 박쥐의 두뇌가 입수된 정보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 모든 것이 알려진다고 해도 그것이 박쥐에게 어떻게 드러나는지는 우리가 알 수 없으리라는 것이다.
우리는 인간만이 생각하고, 감각을 가진 월등한 존재라는 착각 속에 산다. 하지만 ‘동물=본능, 인간=사고’란 고정관념은 동물행동학이 발달하면서부터 여지없이 허물어진다.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동물의 신비스러운 습성이 많지만, 동물도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생각하고, 지각하는 것을 학계가 인정하고 있다. 《새의 감각》의 저자이자 동물학자인 팀 버케드는 네이글의 논문 제목을 패러디한 부제를 강조하면서 새가 된다면 어떤 느낌인지 들려준다. 오래전부터 인간은 새가 되고 싶었다. 독일 민요 ‘이 몸이 새라면’의 노랫말처럼 하늘 높이 뜬 흰 구름까지 날아갈 수 있다. 이처럼 새의 날개는 ‘인간의 지극한 동경심’을 상징한다. 그렇지만 새가 인간처럼 다섯 가지 오감과 정서를 느끼는지 생각하지 않는다. 새를 인간의 입장으로 생각했을 뿐, 정작 새의 입장이 어떤지 상상조차 해보지 않았다. 새가 오감을 통해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알게 되면, 인간으로 태어난 것에 감사함을 느끼게 된다.
새는 종족을 번식하기에 적당한 곳을 찾으려고 무리 지어서 이동을 한다. 공중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일은 먹잇감을 노리는 천적에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한 여정이다. 새의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천적의 위협을 벗어나는 방법으로 안전하게 비행한다. 오리, 매, 갈매기는 한쪽 눈만 뜬 채 잠을 잔다. 유럽칼새나 수리갈매기는 잠을 자면서 비행을 할 수 있다. 이렇듯 새들의 행동도 인간처럼 두뇌의 편측화(특정한 기능이 두뇌의 한쪽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새의 감각 능력은 인간의 감각을 훨씬 능가한다. 우리는 매우 뛰어난 시력을 ‘매의 눈’이라고 한다. 흔히 김제동의 눈처럼 작으면, 시야도 좁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안구의 크기는 시력과 시야 확보에 비례하지 않는다. 매는 사람보다 4~8배 멀리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매는 상이 맺히는 부위인 눈오목을 두 개나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바다오리는 청력이 뛰어나다. 온갖 잡음 속에서도 자신의 새끼가 내는 울음소리를 구분하여 알아들을 수 있다.
만약에 토머스 에디슨이 발명가가 아니라 동물학자가 되었다면, 자신이 어린 시절에 달걀을 직접 품었던 일이 실패로 귀결되는 이유를 알았을 것이다. 알을 무조건 따뜻한 곳에 보관한다고 해서 부화하는 것은 아니다. 알은 어미 새에게만 있는 ‘육반’이라는 피부 부위의 자극으로 부화한다. 산란기에 접어든 어미 새의 몸에 깃털이 빠지는 부위가 생긴다. 그 곳을 중심으로 혈액 공급이 증가하는데, 이 부위가 바로 알의 온도를 조절하는 육반이다. 이때 육반이 생성되면, 뇌하수체에서 프로락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어미 새의 뇌에서 분비하는 프로락틴은 임신한 여성의 몸에서 나오는 프로락틴과 상당히 유사한 기능을 한다. 임신 여성의 프로락틴은 뱃속 태아를 보호하는 양수에 들어 있다. 양수 내의 프로락틴은 태아의 탈수를 방지한다. 정말 신기하지 않은가. 어미 새와 엄마의 몸속에 있는 호르몬이 새끼와 태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새의 감각》은 인간이 새의 지각 능력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미덕이 있다. 현재까지도 새의 지각 능력에 관해서 풀지 못한 수수께끼는 많이 남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장자처럼 새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고 강조하는 저자의 모습이 지나치게 감상적이라고 오해하지 않아도 된다. 혹독한 자연의 시험을 견디기 위해서 특별한 지각 능력을 갖췄을 뿐이다. 자유롭게 훨훨 날아다닐 것 같은 새들은 인간이 모르는 삶의 방식으로 24시간 치열하게 살아간다. 책 속에 소개된 새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알면 그들의 강한 생존력에 연민이 느껴진다. 동물학자 최재천 교수의 소박한 신념을 다시 강조해본다. ‘알면 사랑한다.’ 팀 버케드는 새를 알면 새가 세상을 보고, 듣고, 맛보고, 이해하는지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새의 감각》을 읽을 때는 오감을 활짝 열어놓으시길.
※ 215쪽에 '동물은 꽤ㅈ 먼 거리를'이라는 문장 일부가 잘못 인쇄되었다. (내가 읽은 책은 2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