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드와 마들렌
지난 주 독서모임을 위해서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을 재독하게 되었다. 처음 읽었을 때는 사춘기 시절을 겪게 되는 제롬과 알리사가 서로 간에 느끼게 되는 사랑 감정의 서정적 묘사를 눈여겨 보지 못했다.
이들의 애틋한 사랑보다는 제롬과 알리사의 사랑보다는 청교도적 금욕주의라는 종교적 교리를 내세워 자신보다 나이 어린 사촌동생 제롬의 구애를 여러 번 거절하는 알리사의 ' 돌성녀 '(?) 와 같은 이미지가 내 머릿속에는 제일 강하게 자리잡았다. 그래서 독서모임을 위해서 <좁은 문>을 다시 읽기에는 썩 내키지 않았다. 이미 이들의 사랑이 어떻게 끝났는지 알고 있었고 알리사를 향한 ' 좁은 문 ' 에 들어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제롬의 모습이 읽는 내내 무척 안쓰러웠기 때문이었다.
소설의 제목이 신약성서의 누가복음 속 문장인 '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 (13장 24절) 에서 따온 것은 너무나도 유명한 사실이다. <좁은 문>에는 성서 속 문장이 자주 인용되기도 하며 제롬과 알리사는 청교도적 교리가 강조되는 가정에서 자랐다. 실제로 <좁은 문>은 작가인 앙드레 지드가 유년 시절의 경험을 토대로 쓴 소설인데 제롬이 앙드레 지드의 소설 속 분신이라고 하면 알리사는 그의 사촌누이이자 부인인 마들렌 롱도인 것이다.
노르망디 퀴베르빌에 위치한 앙드레 지드와 마들렌의 묘
지드가 26살이 되던 해인 1895년에 자신보다 두 살 연상인 사촌누이 마들렌 롱도와 결혼을 하게 되는데 그들의 행복한 결혼 생활은 오래 가지 못했다.
<좁은 문>의 제롬처럼 지드가 정신적으로 유약했던 것도 있었지만 어린 시절 때 영향을 받은 청교도적 사상은 성인이 된 지드의 결혼 생활에 걸림돌이 되었다. 지드와 마들렌은 평생 정신적인 사랑을 추구하는 백색결혼 상태로 지내게 되었다. 결국에는 이들 간의 관계는 서서히 금이 가기 시작하게 되었고 1914년부터 지드는 파리에, 마들렌은 1938년에 사망할 때까지 노르망디 교외에 위치한 작은 마을인 퀴베르빌에 따로 지냄으로써 24년 동안 별거 생활을 해야했다.
마들렌을 향한 지드의 소심한(?) 경고
재미있는 사실은 <좁은 문>은 지드와 마들렌이 결혼하고 난 뒤인 1909년에 발표되었다. 실제로 지드는 마들렌을 향한 연정 끝에 결혼을 하게 되었지만 정작 <좁은 문>에서는 제롬과 알리사는 끝내 사랑의 결실을 맺지 못했다는 점이다.
<좁은 문>이 창작되기 이전에 지드와 마들렌의 사랑의 감정은 이미 식어가고 있었던 것일까? 아니, 어쩌면 지드와 마들렌은 제롬과 알리사처럼 절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였을지도 모르겠다.
정작 지드 자신은 자신보다 두 살 많은 사촌누이와의 결혼이라는 인생의 ' 좁은 문 ' 을 통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분신인 제롬에게는 ' 좁은 문 ' 을 통과하지 못하게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좁은 문> 초판 당시, 첫 페이지에는 ' 마들렌에게 ' 라는 짤막한 헌정 문구가 적혀 있다.
이 짧은 헌정 문구에는 결혼하기 전의 연애 감정이 사라져버린 마들렌을 향한 지드의 무언의 경고가 담겨져 있다. 결혼을 하여 부부 관계가 성립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들렌은 알리사처럼 눈에 보이지 않은 절대적인 존재인 신의 사랑을 여전히 추구했던 것은 아닐까?
지금도 지드가 알리사를 통해서 맹목적인 종교 심취를 비난한 것인지 아니면 알리사의 종교적 자기희생을 강조하는 것인지 집필 의도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지만 만약에 지드가 전자의 의도를 가진 상태에서 작품을 구상했다면 작품 속 짧은 헌정사를 통해 마들렌에게 경고를 보내는 지드의 행동이 소설 속 제롬 못지않게 소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롬은 초식남이다
독자는 <좁은 문>의 내용을 토대로 지드와 마들렌의 실제 결혼 생활에 투영하여 소설 속 알리사의 행동을 비판하는 관점을 취할 수도 있겠지만 제롬과 알리사가 사랑의 결실을 이루지 못한 직접적인 원인을 단순히 맹목적인 종교에 빠져버린 알리사의 책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제롬 역시 청교도적 교리가 지배하는 가정에서 태어났기에 알리사와의 사랑을 지극히 주관적이면서도 맹목적인 플라토닉 러브로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내가 아직 어린 나이였다고는 하지만 사랑이라는 말을 입에 담고, 사촌 누이에게 느끼는 감정을 그렇게 부른 것이 잘못된 일일까? 그 뒤로 내가 겪은 어떠한 감정도 사랑이라는 이름에 이보다 더 합당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없었다. 그뿐 아니라 육체적인 욕구로 인해 더욱 뚜렷하게 정서적 불안을 겪을 나이가 되었을 때조차도 내 감정은 본질적으로 달라지지 않았다. 이를테면 아주 어려서 오로지 그녀에게 어울리는 사람이 되기를 바랐던 마음보다 더 직접적으로 그녀를 소유하고 싶다는 열망을 느껴본 적이 없었다는 이야기다. 나는 공부, 노력, 경건한 행동 따위의 것들을 모두 맹목적으로 알리사에게 바쳤다.
- 앙드레 지드 <좁은 문> 펭귄클래식코리아, pp 34 -
그리고 알리사가 병으로 세상을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제롬은 그녀를 쉽게 못 잊어한다.
" 오빠는 훌륭한 가장이 될 거예요! " 쥘리에트가 웃어 보이려고 애쓰며 말했다.
" 결혼은 언제 하려고 그러고 있는 거예요? "
" 이런저런 일들을 잊게 되면 ..." 그녀의 얼굴이 빨개지는 것이 보였다.
" 오빠가 얼른 잊어버렸으면 하는 게 뭔데요? "
" 언제까지나 잊고 싶지 않은 것. "
- 같은 책, pp 204 -
제롬은 알리사가 이 세상에 없다는 현실을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그녀의 존재 그리고 유년시절 때의 사랑을 영영 못 잊고 있다.
한 때 제롬을 좋아했던 알리사의 여동생인 쥘리에트는 언니를 잊지 못하는 제롬의 모습에 대해서 탐탁치 않게 여긴다.
" 그럼 오빠는 희망 없는 사랑을 그렇게 오래도록 마음속에 간직할 수 있다고 믿는 거예요? "
" 그래, 쥘리에트. "
" 그걸 간직한 채 하루하루 숨 쉬고 살아갈 수 있다는 거군요? "
- 같은 책, pp 205 -
알리사라는 희망의 부재 속에서도 제롬은 그녀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하고 있다.
<좁은 문>에서의 알리사를 향한 제롬의 마음은 ' 인내 ' , ' 기다림 ' 이라는 단어로 압축 표현할 수 있다.
제롬은 학업과 군 복무 생활을 하게 되는데 그 기간동안에 제롬과 알리사는 오랫동안 떨어져서 지내야만 했다. 두 사람에게는 사랑 감정의 끈을 이어질 수 있는 유일한 매개체는 편지다.
제롬은 자신에게 처한 학업과 군 복무라는 생활이 인내를 수반하는 알리사를 향한 ' 좁은 문 ' 의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알리사에게는 제롬과 떨어져지내는 상황을 견디기가 무척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알리사도 천상 여자다. 자신의 곁에 존재하지 않는 제롬의 부재가 길면 길어질수록 그녀의 마음은 더욱 혼란스러워지고 절박해졌을 것이다.
네가 불안해할까 봐, 내가 너를 얼마나 기다리는지 말을 꺼내기가 두려워, 너를 다시 만나는 날까지 참고 견뎌야 하는 하루하루가 내게는 너무도 힘겹고 고통스럽게 느껴져. 아직도 두 달이나 남았다니! 너와 떨어져 지낸 그간의 시간보다도 훨씬 더 긴 것 같아! 기다리는 지루함을 달래보려고 온갖 시도를 다 해보지만 그저 터무니없는 임시방편으로만 여겨져서 아무 것에도 마을을 기울이지 못하겠어.
- 같은 책, 알리사의 편지 내용 일부, pp 120 -
국방의 의무를 위해서 군대로 떠나보내야만 했던 연인을 그리워하다가 끝내 고무신 거꾸로 신어버리는 여성의 심정처럼 알리사는 스스럼없이 기댈 수 있고 의지할 수 있는 제롬의 부재 속에 살아가는 삶이 버거웠을 것이다.
끝내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알리사가 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는 존재를 제롬이 아닌 자신에게 종교적인 영감을 제공한 보이지 않는 절대적인 존재, 즉 신으로 전향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국 제롬과 알리사, 이들의 사랑은 애초부터 이루어질 수 없는 운명이었다.
제롬은 교회 목사가 낭송하였던 '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 라는 성경 속 구절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자신의 사랑이 이루어질거라 단정지어 버렸다. 제롬 역시 청교도적 사상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무엇보다도 제롬과 알리사와의 관계가 소원해지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제롬의 부재 속에 겪어야했던 알리사의 정신적인 고통이었다. 제롬은 알리사의 뜻 깊은 심적 고통을 알지 못한 채 오로지 그녀의 종교 심취를 못마땅하게 여긴 채 그녀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 강요적으로 설득시켰다.
자신은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서라면 참고 기다릴 수 있다고 해도 상대방의 진심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사랑을 강요하는 자세는 이별이라는 관계의 상처를 입히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순진하기 짝이 없는 ' 초식남 ' 제롬은 그런 중요한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