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월 - 모든 종을 뛰어넘어 정점에 선 존재, 인간
가이아 빈스 지음, 우진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1월
평점 :
평점
3점 ★★★ B
지렛대가 있으면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전해 내려오는 일화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Archimedes)는 자신에게 충분히 긴 지렛대와 그 지렛대를 받쳐줄 받침만 있으면 지구도 들어 올릴 수 있다고 했다. 인간이 지렛대로 지구를 들어 올리는 일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지금의 인간은 지구 환경을 바꿀 힘을 가진 ‘초월적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지구 역사상 인간처럼 개체 수를 늘려온 영장류는 없었다. 인류의 시대(인류세, Anthropocene)로 들어서면서 지구는 변하기 시작했고, 이 변화의 속도는 점점 빨라졌다. 인류의 발전 속도는 돌이킬 수 없는 지구 생태계 파괴를 담보로 하고 있다.
과학 저술가 가이아 빈스(Gaia Vince)는 지구를 개척하는 인간이 ‘호모 옴니스(Homo omnis, 전능한 인간)’로 되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의 두 번째 책 《초월》(Transcendence, 2019)에서 ‘전능한 인간’의 진화를 이끈 네 가지 생활양식을 소개하면서 인류의 시대로 들어서는 역사적인 과정을 살핀다. 인간은 네 가지 생활양식의 장점을 이용하면서 지구를 바꾸는 힘을 키우게 되었다. 이 네 가지 생활양식은 ‘호모 옴니스의 지렛대’다. 전능한 인간은 지렛대에 힘을 실어 지구를 바꿀 뿐만 아니라 아예 지구를 들어 올리려고 한다.
‘호모 옴니스의 지렛대’는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이다. 그것은 바로 불(fire), 언어(language), 아름다움(beauty), 시간(time)이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이 생활양식들을 자연스럽게 터득한다. 불은 문명 발전의 가장 큰 원동력이다. 인류는 자연에서 발생한 불을 보관하다가 나중에는 불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불로 음식을 익혀 먹기 시작하면서 식생활이 변화했고, 인류의 건강 수준과 생존율이 높아졌다. 언어는 타인과의 상호 교류를 위해서 만들어진 다리다. 인류는 언어를 사용하면서 타인을 이해했고, 타인과의 유대감을 형성했다. 우리는 언어로 아름다운 것을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인류는 아름다운 것을 발견하거나 직접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인간이 만들어낸 아름다움의 정의는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고, 더 나아가 문화를 공유하는 사회가 만들어졌다. 시간은 ‘측정 가능한 객관적 규범’이다. 시간이라는 규범이 없으면 세상은 혼란스러워진다. 우리가 현재 어느 시점에 있는지 알 수 없으며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고, 미래를 예측하지 못한다.
인간은 타인에게서 생활양식을 배우면서 자라는 존재이다. 그리고 생활양식을 모방할 줄도 안다. 대대로 전해 내려온 생활양식은 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문화’가 되고, 계속 축적된다. 따라서 ‘호모 옴니스의 지렛대’는 집단 지성을 이용할 줄 아는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도구이다. 이것은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모든 종을 뛰어넘은 전능한 존재로 만들어주었다. 하지만 우리는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라는 속담을 기억해야 한다. 도끼를 잘 쓴다고 해도 방심하면 다칠 수 있다. 오만한 호모 옴니스가 지렛대에 힘을 너무 많이 주면 지구는 뒝싸진다(‘뒝싸지다’는 ‘뒤집어지다’를 뜻하는 제주도 사투리다. ‘죽어버리다’의 속어이기도 하다.). 믿는 지렛대에 지구가 뒤집어진다. 인류는 지구를 끝장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이미 본인의 첫 번째 책 《인류세의 모험》(곰출판, 2018)에서 인류의 시대 속에 시름시름 앓고 있는 지구의 현 상태를 목격하면서 지구와 인간의 미래를 고민했다. 그는 대안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노력 속에서 ‘살기 좋은 인류의 시대’로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그는 《초월》에서도 미래를 낙관한다. ‘살기 좋은 인류의 시대’가 되려면 지구의 운명이 달린 우리의 힘을 줄일 필요가 있다.
《초월》은 작년에 영국 왕립학회 과학 도서상 최종 후보에 오른 책이다. 그렇지만 이 책이 어째서 영국 왕립학회 과학 도서상 최종 후보까지 오르게 되었는지 의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천문학 용어를 잘못 썼다.
* 408쪽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에서 발견된 1만 7000년 전의 화려한 천문도는 대단히 놀라운 유물이다. 그 유물에는 29일 주기로 움직이는 달의 움직임을 둥근 점과 사각형 등으로 새겨놓은 것을 비롯해 많은 내용을 담겨 있었다. 이 둥근 점 위로는 13개의 점이 한 줄로 늘어서 있는데 겨울이 오고 플레이아데스(Pleiades) 별자리(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 - 옮긴이)가 처음 나타났을 때부터 달의 모양이 바뀌는 것을 보고 이를 계산해 말이 망아지를 가져 쉽게 잡을 수 있을 때를 알려주는 것 같다.
[원문]
The ambitious astronomical maps found at the Lascaux cave complex in France are remarkable, including a lunar map, dating back 17,000 years, that depicts the 29-day cycle of Earth’s satellite in groups of dots and squares. Above these dots is a row of 13 dots, representing the quarter moons – counting from the first winter rising of the Pleiades constellation to 13 brings the time when the horses are pregnant and easy to hunt.
‘constellation’은 별자리, 성좌를 뜻하는 단어다. 그러나 국제천문연맹(IAU)이 공인한 총 88개의 별자리 중에 ‘플레이아데스 별자리’라는 명칭은 없다. 올바른 명칭은 플레이아데스성단(Pleiades cluster)이다. 플레이아데스성단은 일곱 개의 별이 퍼져 있는 황소자리의 산개성단(Open Cluster)이다. 황소자리가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다. 플레이아데스성단은 메시에 목록(Messier’s catalogue)에 포함되어 있어서 ‘M45’라고 부르기도 한다. 저자가 명칭을 잘못 쓰는 바람에 역자도 플레이아데스성단을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라고 잘못 설명했다.
저자는 또 이성의 가치를 강조하면서 중세를 문화적으로 퇴보한 ‘암흑시대’로 규정하는데(437쪽), 객관성이 떨어지는 편협한 입장이다. 중세를 암흑시대로 보는 해석은 오래전부터 비판받아온 견해이다. 오히려 중세도 나름 역동적으로 발전했던 시대로 보는 입장이 주목받고 있다.
* 455쪽
인간은 직접 증거를 확인하고 결정하기보다 타인의 의견을 그대로 복제함으로써 지식과 믿음을 쌓아가도록 문화적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모형을 복제하는 이 같은 문제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저자가 말한 대로, 인간은 타인의 의견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은 채 그대로 복제하는 일에 익숙하다. 저자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는 ‘똑똑하고 합리적인 동물’이라고 자랑할 수 없을 정도로 허점이 많고, 취약하다.
※ 교열 보이 cyrus의 Mini 미주알고주알
* 189쪽
적응 사레 → 적응 사례
* 286쪽
[주] ‘박애’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원문은 ‘Fraternité’다. 하지만 이 단어는 ‘우애’ 또는 ‘동지애’를 뜻한다. ‘박애’는 여전히 고쳐지지 않은 오래된 오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