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가르쳐준 것들 - 자유롭고 유쾌한 삶을 위한 17가지 과학적 태도
이정모 지음 / 바틀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은 믿지 않겠지만, 우리는 모두 한때 과학을 좋아했다.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쯤 열광하고 사랑에 빠지게 만드는 존재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공룡이다. 어린이들이 공룡을 좋아하는 이유는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존재에 대한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공룡에 푹 빠진 어린 시절은 우리 인생에서 가장 처음으로 과학 공부를 재미있게 하던 시기였다. 발음하기 어려운 공룡 이름을 줄줄 외워서 부모에게 알려주고 싶은 소박한 배움의 동기는 아이들을 행복하게 만든다. 어른이 되면 공룡에 대한 호기심만 사라지는 건 아니다. 과학을 공부하는 즐거움도 사라져버린다. 공룡 박사가 되는 꿈을 가졌던 아이는 학교에서 치른 과학 시험의 초라한 성적표에 실망하고, 그때부터 과학 공부를 포기한다.

 

학교에서 배우는 과학은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학생들은 자연현상과 사물을 관찰하는 경험과 과학실험을 하지 못한 채 시험 문제의 정답이 돼버린 과학 이론들을 달달 외운다. 좋은 습관을 갖는 것보다 나쁜 습관을 바로잡는 것이다. 공부하는 습관도 마찬가지다. 한 번 몸에 잘못 밴 습관으로 인해 공부에 대한 흥미와 성취도가 떨어진다. 과학을 기피하게 만드는 잘못된 공부 습관은 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을 만든다. 암기 위주로 과학 공부를 해왔거나 주입식 과학 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과학은 어렵고 재미없는 학문이라는 편견을 가진다. 이들은 호기심이 많았고, 과학을 좋아했던 시절을 생각하지 못한다.

 

과학이 가르쳐준 것들은 그저 과학을 좋아했던 어린 시절의 향수를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이 책의 뒤표지에 보면 우리 안에 숨어 있는 과학자를 끄집어내는 안내서라는 소개 문구가 있다. 우리 안에 숨어 있는 과학자는 과학적 태도를 의미한다. 이 책에 나오는 과학적 태도는 총 17가지다. 실패, 비판적 사고, 질문, 관찰, 모험심, 현실적인 목표, 측정, 개방성, 수정, 겸손, 공감, 검증, 책임, 공생, 다양성, 행동, 협력. 과학적 태도는 과학을 공부해서 습득되는 마음가짐이 아니다. 과학을 공부하기 전에 반드시 기억해야 할 마음가짐이다.

 

과학자는 실패를 밥 먹듯이 하는 사람이다. 너무 쉽게 결과가 나오는 연구 분야를 선호하는 과학자는 그 분야와 관련된 지식에 의심하거나 질문할 기회가 줄어든다.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은 실패할 확률이 높은 연구 분야에 평생 연구해온 사람이다. 그들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의문을 품는다. 조금이라도 지식에 어긋난 실험 결과가 나오면 가설이 자신만의 답이 될 때까지 철저히 검증한다. ‘자신만의 답이 사실로 받아들여진다면 그것은 새로운 지식이 된다. 과학자들의 꾸준한 호기심과 의심은 새로운 과학 지식을 탄생하는 씨앗이다. 그것이 새로운 지식의 나무가 되어 무럭무럭 자라면 과거에 녹음이 우거지던 지식의 나무는 시든다. 저자는 과학을 정답 없는 학문이라고 말한다. 아이러니하게도 학생들은 시험 문제의 정답이 된 과학을 공부한다. 사실 그러한 교육 방식은 제대로 된 공부의 정의에 어울리지 않는다. 진짜 공부는 일시적인 답이 된 지식에 끊임없이 의심하고, 질문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학교에서 하는 공부는 아주 기본적인 과학적 태도인 호기심, 질문, 비판적 사고 등이 허용되지 않는다. 저자는 과학 지식을 습득하는 일보다 제일 중요한 것이 우리의 삶을 자유롭게 해주는 과학적 태도라고 강조한다.

 

과학이 가르쳐준 것들을 읽으면 과학에 대한 편견이나 오해를 풀 수 있다. 과학을 모르고 살면 행복하지 않다. 과학을 외면하는 사람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을 힘들게 한다. 과학적 사실에 맞지 않는 허위 정보를 믿고 산 사람이 행복한 적이 있던가. 그 사람의 잘못된 믿음은 타인의 목숨을 빼앗는 흉기가 되기도 한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과학적 태도를 가지면서 자랐다. 과학자가 되지 않더라도 과학과 친숙해질 기회는 분명히 있었다. 그런데 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교육 환경이 달라지고, 과학을 바라보는 인식도 달라진다. 모든 과학 교사가 다 그런 건 아니겠지만, 일부 교사들은 우리에게 과학적 태도가 과학 지식보다 얼마나 더 중요한지 알려주지 않았다. 이런 교사에게 과학을 배우는 아이들의 호기심은 죽는다. 과학적 태도를 죽이지 않으려면 토머스(Thomas)처럼 학교를 그만두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호기심 많은 토머스를 학교 교육에 적응하지 못한 아이로 단정한다. 모든 것에 대해 호기심이 넘치고 질문이 많은 토머스는 별난 아이가 아니다. 우리는 토머스처럼 살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런데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행복했던 그 시절의 모습을 잊어버렸다. 우리나라의 토머스들이 과학적 태도를 중시하는 교육을 받았으면 그들 중에 누군가는 에디슨(Edison)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Trivia

 

* 7악장은 수족관입니다. 생상은 수족관을 도대체 어떻게 표현했을까요? 물고기는 소리도 내지 못하는데요. 하모니카가 등장해서 환상적인 멜로디를 연주합니다. 산호초 속을 쏜살같이 달리는 물고기가 그려지지요. 다시 8악장부터는 노새, 뻐꾸기, 큰 새를 연주합니다. (공감, 155~156)

    

 

생상(Saint-Saëns)의 관현악곡 동물의 사육제에 대해서 소개한 내용 일부이다. 동물의 사육제는 인간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표현한 총 14곡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 7악장(7번째 곡)의 제목은 수족관이다. 이 곡을 연주할 때 사용하는 악기는 (입으로 부는) 하모니카가 아니라 글라스 하모니카(glass harmonica).

 

 

 

 

 

글라스 하모니카는 물이 들어 있는 통에 크기가 다른 둥근 유리컵들이 가로로 놓인 형태로 되어 있다. 페달을 밟으면 통이 회전하는데, 젖은 손으로 유리컵을 문질러 소리를 낸다. 이 악기를 발명한 사람은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이다. 하모니카는 관악기, 글라스 하모니카는 체명악기에 속한다.동물의 사육제8악장 제목을 귀가 긴 인물또는 귀가 긴 노새라고 부르기도 한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0-07-08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떤 분이 썼던 글인지 기억이 가물한데 콘트라베이스 악기 이름, 대중들이 잘못알고 있다고 지적한 글 최근 읽었어요. 글라스 하모니카도 전혀 다른 생김새네요. 덕분에 처음 듣고 알게 되었습니다^^

페크pek0501 2020-07-16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답 없는 문제가 우리의 사고력을 발달시키죠. 계속 생각하게 만들거든요.
예를 들면 답이 정해져 있는 단답형 문제는 바로 답만 말하면 되니까 기껏해야
암기력 발달 정도죠.
어느 대학원에서는 오픈북 시험을 친다고 합니다. 책을 보고 답을 쓰라는 시험인데 그만큼 암기보다 중요한 건 답을 찾아내는 능력이라는 것 같아요.

transient-guest 2020-08-17 0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과 수학을 그렇게 차례로 포기한 경험이 있다 보니 말씀하신 잘못된 배움의 습관이 마음에 닿는 것 같습니다.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과학교육, 이치를 가르쳐서 하나씩 깨우침의 즐거움을 주는 수학교육은 암기와 성적위주의 교육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일찍 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한국이 대학-석-박사과정으로 가면서 성과가 떨어지는 건 결국 기초가 탄탄하지 못하고 깊은 배움이 딸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과학은 나이가 들면서 교양으로 갖추려고 책을 읽고 노력하지만 수학은 여전히 대학교 1학년 이후로 건드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2020-08-20 1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1 12: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karalove99 2020-09-14 0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블로그는 안하시나용?!?!

2020-11-24 15: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1-29 13: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1 1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