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순에 친구들과 식사한 이후로 식당이나 술집에 가본 적이 없다. 마지막으로 식당에 간 날은 대구에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을 때였다. 식당에 간 지 한 달 지났지만, 식당에서 친구들과 주고받은 대화는 지금도 기억한다.
그날 A와 B라는 친구와 함께 식당에 갔다. 밥 먹고 있다가 A가 사래에 걸려 기침을 했다. B는 기침한 A를 보면서 이렇게 말했다. “야, 너 코로나에 걸린 거 아니야? 너 이제 가까이 오지 마.” B는 장난으로 A를 피하는 시늉을 했다. A는 웃으면서 밥 먹다가 기침한 것뿐이라고 말했다. 나는 B에 “A가 중국에 간 적이 없는데 코로나에 걸렸겠냐? 농담하지 말고 밥이나 먹어”라고 말했다. 다행히 B의 말은 씨가 되지 않았다. 현재 A와 B 모두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다.
잔기침하거나 가벼운 발열 증상만 느낀 사람들은 코로나19 확산 때문에 마음이 아찔했을 것이다. 코로나19에 걸리면 ‘확진 환자’라는 사회적 낙인이 찍히기 때문이다. 본인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까 봐 외출을 꺼리게 된다. 외출을 꼭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마스크를 쓰면 된다. 그렇지만 마스크는 연이어 나오는 기침 소리를 막지 못한다. 감기 환자는 버스나 지하철을 타기가 두렵다. 버스 안에서 기침하면 버스를 탄 사람들의 시선을 한 번에 받는다. 이런 상황은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김영철 분)가 했던 대사를 떠올리게 한다.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궁예는 기침한 관료에게 ‘네 머릿속에 마군(魔軍: 불도를 방해하는 악을 비유한 말)이 가득 찼다’면서 호통을 친다. 그런 다음 관료를 죽이라는 명령을 내린다. 모든 사람이 코로나19에 상당히 예민해진 시기에 잔기침 한 번 했다가는 주변 사람들의 눈총을 받기 쉽다. 누군가가 낸 기침 소리를 듣는 순간 우리 모두 궁예가 된다. ‘이 시국에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는가? 저 사람의 몸에 코로나19가 있다.’ 궁예가 된 사람들은 잔기침한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 다만 눈빛으로 잔기침한 사람을 쏘아붙인다. ‘집에나 있지 왜 밖에 나온 거야?’
* 장 자크 상뻬 《얼굴 빨개지는 아이》 (열린책들, 2018)
소리가 나는 쪽을 쳐다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하지만 이 시선이 낙인을 찍기 위한 용도가 돼선 안 된다. 기침과 재채기를 코로나19와 관련된 ‘위험 신호’로 단정할 수 없다. 사소한 오해는 타인과의 정서적 거리를 멀게 만든다.
장 자크 상뻬(Jean Jacques Sempe)의 그림책 《얼굴 빨개지는 아이》(열린책들)에 주위 사람들의 시선을 견디지 못해 외톨이가 된 두 소년이 나온다. 마르슬랭 카이유는 시도 때도 없이 얼굴에 빨개진다. 그의 친구 르네 라토는 계속 재채기를 한다. 사람들은 얼굴 빨개진 마르슬랭을 볼 때마다 한마디씩 한다. ‘저 아이는 병에 걸린 게 틀림없어요.’ 마르슬랭은 남들과 다른 외모 때문에 늘 혼자 다닌다. 그는 자신과 똑같이 남들과 구별되는 아픔을 안고 사는 르네를 만나게 된다. 두 소년은 서로에게 연대감을 느껴 자연스럽게 친구가 된다. 둘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아무 얘기도 하지 않고 있을 수 있을’ 만큼 친해진다.
《얼굴 빨개지는 아이》는 우리가 잘 보지 못하는 편견을 그림과 텍스트로 보여준다. 코로나19가 언제 사그라질지 알 수 없지만, 코로나19가 만들어 낸 정서적 거리 두기는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다. 감기에 걸리면 코로나19의 증상인지 스스로 의심해야 하고, 확진 판정을 받기도 전에 자신의 몸 상태를 주위 사람들에게 들킬까 봐 노심초사해야 하는 상황이 오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날카로운 편견의 시선은 생각보다 아프고, 무섭다. ‘낙인’이 된 편견은 상당히 오래 간다. 그것은 한 사람을 외톨이로 만들어 가두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