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의 철학
라르스 스벤젠 지음, 이세진 옮김 / 청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심심해 죽겠어요.”

 

아는 동생이 매일 나한테 전화한다. 수염과 남자에 관하여서평의 서두에 언급된 그 동생이다. 대구에 코로나19 환자가 늘어나면서 나와 동생은 3주째 집에서 지내고 있다. 나는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지만, 동생은 혼자 산다. 동생이 사는 곳은 번화가 근처다. 그러나 지난 달 말에 코로나19가 크게 확산된 이후부터 동생은 외출을 못 하고 집안에만 있다. 이 녀석은 커피를 좋아하고 애연가다. 커피와 담배를 사러 편의점에 가는 것 빼고는 바깥 공기를 오래 마신 적이 없다. 그는 햇볕을 쬐러 밖에 몇 시간 동안 돌아다닐 수 있다. 하지만 밖에 있어도 허전할 것이다. 요즘 사회적 거리 두기’가 강조되는 분위기라서 사람을 만날 수 없기 때문이다.

 

동생은 항상 나랑 전화 통화할 때마다 한숨 푹푹 쉬거나 심심해요라는 말을 여러 번 한다. 이제는 그 말을 계속 듣다 보니 스마트폰 화면에 녀석의 이름이 뜨면 일부러 전화를 안 받고 싶을 때가 있다. 하지만 전화를 자주 하는 그 녀석의 심정이 어느 정도 이해된다. 혼자서 살고 있는 데다가 3주 동안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 며칠 전에 통화했을 때 동생이 , 나올래요? 같이 밥 먹어요라고 말한 적이 있다. 당장 만나서 녀석에게 밥 한 끼 사주고 싶었지만, 내가 외출을 마음대로 할 수 없어서 나갈 수 없다고 말했다. 지금 이 녀석에게는 대화 상대가 필요하다. 그는 분명 친구가 많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대구 전체를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동생은 평범한 일상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그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 매일 외로움에 시달린다.

 

외로움의 철학이라는 책에 보면 혼자 있음(aloneness)외로움의 정의가 나온다. 이 책의 저자는 혼자 있음외로움을 별개의 현상으로 본다. ‘혼자 있음은 말 그대로 사람이 혼자 있는 상황이다. 우리는 타인과의 만남을 선호하면서도 때론 혼자 있고 싶을 때가 있다. ‘혼자 있는 즐거움을 아는 사람은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타인과의 연결 욕구, 즉 타인을 만나서 대화를 나누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외로움을 느낀다. 이런 감정은 우리를 불편하게 하고 때론 괴롭게 한다. 주변에 친구가 많은데도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 아니면 내 동생처럼 부득이하게 외출하지 못해 타인과의 연결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저자는 외로움을 사회적 위축(social withdrawal)또는 사회적 고통(social pain)이라고 말한다. 코로나19가 전파되면서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집에서 생활하는 혼족들이 있다. 혼자 살아온 그 사람들의 생존력이 아무리 강하다고 해도 외로움 참는 일을 힘들어할 것이다. 혼족도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한다. 혼족들이 외로움을 참으면서 생활하는 것은 사회적 고통에 가깝다. 코로나19 전파력이 장기적으로 높아질수록 혼족들이 느끼는 사회적 고통도 더욱 커진다.

 

외로움을 사회적 고통이라고 해서 이 감정 상태를 마음의 병으로 치부해선 안 된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외로움을 느낀다. 따라서 외로움 자체는 병이 아니다. 다만 사람을 피하려는 마음이 너무 지나쳐서 외로움을 느낀다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몸과 마음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이런 사람은 타인에 대한 불신이 강하다. 사실 외로운 사람들은 타인과의 만남을 피하면서도 타인과의 애착을 갈망한다. 저자는 외로움을 안고 살아가는 고통을 줄이려면, 타인을 신뢰하는 법과 타인에게 의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인간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자신의 생활 습관이나 행동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비록 제한적이지만, 인간에게 외로운 감정을 억누를 수 있는 실질적 역량이 있다고 말한다.

 

우리가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원인에는 외부 원인과 내부 원인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존하는 우리는 수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으면서 살지만 친밀도가 높지 않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맺어준 인간관계는 언제 끊어질지 모르는 한 가닥의 실과 같다. 우리는 이런 실들이 무수히 엉켜 있는 것을 인맥이라고 부르며 실이 끊어지지 않도록 애쓴다. 이럴수록 친밀한 관계에 대한 우리의 갈증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심의 세상은 우리를 외롭게 만드는 외부 원인이다. 하지만 저자는 외로움의 원인을 무조건 외부에서만 찾는 관점을 옹호하지 않는다. 내부 원인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기를 제일로 아는 나르시시스트(narcissist)와 타인에 대한 불신이 너무 강한 사람은 외로움을 잘 느낀다. 그런 사람은 외로움을 일으킨 내부 원인을 파악하여 스스로 고쳐 나가야 한다. 또 자신이 만나는 타인에 대한 기대감이 너무 높아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이런 사람은 주변에 친구가 많아도 매번 외롭다면서 투덜거린다. 외로움이라는 이 부정적 감정도 불편해도 결국 내 것이다. 저자는 우리 모두 자신의 감정에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각자의 감정에 책임 있는 우리는 외로움을 덜 느끼며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또 외로움을 어느 정도 안고 살아가는 방법도 알아야 한다. 혼자 있을 수 있는 시간이 나만을 위해 무언가 할 수 있는 토지라면, 적당한 외로움은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비료다. 외로움의 철학은 건강한 고독을 지향하고 있지만, 그런 고독을 누리면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예찬하지 않는다. 타인과 만나는 외향적 활동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Trivia

 

 

* 10

사회적 동물이라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우리는 누군가와 유대가 없는 사회적 공간에 서식하기를 심히 외로워한다. 알렉시 드 토크빌도 일찍이 1930년대에 미국의 민주주의를 연구하면서 같은 지적을 했다.

 

‘1830년대로 고쳐야 한다. 프랑스의 정치학자 토크빌(Tocqueville)19세기에 태어난 사람이다. 그는 18315월에서 18322월까지 아홉 달 동안 미국을 여행했고, 프랑스로 돌아와서 미국 사회의 모든 면을 분석한 미국의 민주주의를 발표했다.

 

 

 

* 14

이런 유의 외로움을 영화에서 찾아보자면, 마틴 스코세이스 감독의 택시 드라이버의 주인공 트래비스 비클이 떠오른다.

 

오식인가, 아니면 번역자가 나름 생각이 있어서 저렇게 표기한 것인가? 예전에는 마틴 스콜세지로 표기했는데, 요즘은 마틴 스코세이지로 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 164

  크리스티안 가르베는 두 권짜리 저작 사회와 고독에 대하여(1979~1800)에서 균형 잡힌 시선을 제시하려 했지만 실상은 사회의 중요성에 좀 더 치우치는 감이 있다.

 

연도가 잘못 적혀 있다. 크리스티안 가르베(Christian Garve, 1742~1798)는 독일의 철학자이다. 사회와 고독에 대하여(Über Gesellschaft und Einsamkeit)1797에 처음 나왔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anca 2020-03-12 09: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우, 안타깝네요. 지금은 다들 사회적 거리 두기 시점이라 저도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이랑 만나고 얘기하고 함께 밥먹고 이게 사회적 동물인 사람들이 사는 데에는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cyrus 2020-03-12 11:37   좋아요 0 | URL
나 한 사람 때문에 다른 사람이 코로나19에 전염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면 괴로워도 밖에 나가지 말아야 해요. 코로나19 확산 이후로 사람을 만나고 대화하는 일이 정말 소중하다는 걸 깨닫게 되네요.

2020-03-12 09: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20-03-12 11:40   좋아요 0 | URL
집에 책이 많아서 심심하지 않아요. 책 읽다가 집중력이 떨어지면 다른 책 보면 되잖아요. 요즘 저는 책상에만 앉아 있으면 안 될 것 같아서 집에서 운동을 해요. 제 입으로 운동이라고 말하긴 그렇지만, 어쨌든 살찌지 않으려고 자주 움직여요.

프레이야 2020-03-12 1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집에서 할 일이 많아 심심하다는 느낌은 없지만 많이 먹고 살은 확 찌고 있어요. 사람이 사회적 동물이구나라기보다 사회적 동물이어야 하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가끔 들어요. 요즘 기저질환자, 사회적 거리두기 등 신조어도 있어 처음 듣는 용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도 봐요. 왜 꼭 어려운 말로 쓰나고 흥분하더군요 ㅎㅎ 이와중에도 유머 잃지 않는 사람들로 한번씩 웃고 넘어갑니다. 힘든 분들 많은 이 재난상황에 그런 외로움 정도는 좀 견뎌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cyrus 2020-03-12 19:53   좋아요 0 | URL
솔직히 ‘기저질환자’라는 말을 최근에 알았어요.. ㅎㅎㅎㅎ
사람 만나는 일도 좋지만, 제일 중요한 건 외롭지 않게 혼자서 지내는 법을 알아둬야 할 것 같아요. 나 혼자 즐길 수 있는 일이나 취미가 많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stella.K 2020-03-12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동안 알라딘에서 너를 볼 수가 없어 너야말로 알라딘과 거리두기를 한건가
했는데 봇물이 터졌나? 그동안 글 안 쓰고 어떻게 살았니?ㅋ
남자도 외롭다고 하는구나. 나 같이 혼자서도 잘 지내는 사람도
요즘엔 좀 답답한데 활동적이고 외향적인 사람은 오죽할까 싶어.
근데 웃긴 건 답답한데 하루는 너무 빨리 가고 있다는 거야.
나는 이러다 코로나19가 소멸됐다는 소식은 언제 어떻게 전해질지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좀 궁금해진다.ㅋ

cyrus 2020-03-12 20:00   좋아요 0 | URL
그냥 책만 읽으면서 지냈어요. 저는 가족과 함께 살고 있고, 혼자서 시간을 보내는 일상에 익숙해서 크게 외롭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요. 삼일 지나면 한 달의 반이에요. 정말 시간이 참 빨리 지나가네요.. ㅎㅎㅎ

저는 코로나19가 사라지고 난 후가 걱정 되요. 대구 사람들을 바라보는 다른 지역 사람들의 시선이 벌써부터 두려워요. 대구에 젊은 사람들의 일자리가 많이 없어요. 그래서 대구를 떠나 타 지역에 가서 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아마도 타 지역에서 직장을 구하고 생활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요. 대구에서 왔다고 하면 먼저 ‘신천지’인지 아닌지 확인할 걸요. 좀 과장된 우스갯소리지만, 대구 사람과 결혼하지 않으려는 타 지역 사람들이 많아질 거예요.

stella.K 2020-03-13 13:51   좋아요 0 | URL
ㅎㅎㅎ 그런 불행한 일이 있으면 안 되지.
그런 일 있을까봐 코로나19가 다른 지역까지
퍼뜨리고 돌아다녀 주시잖니. 특히 서울.
전염병은 정말 연대하지 않으면 물리치기 어려울 거야.
요즘처럼 지구촌이란 말이 실감 나는 때도 없지.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