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의 진화 - 연애의 주도권을 둘러싼 성 갈등의 자연사
리처드 프럼 지음, 양병찬 옮김 / 동아시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는 다윈(Darwin)《종의 기원》이 출간된 지 160주년이 되는 해이다. 다윈은 이 책에서 인간은 신에 의해서 창조된 것이 아니라 영장류 조상으로부터 진화되었다는 이론을 주장했다. 기존의 세계관을 뒤흔들어 엎은 이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은 지금도 중학생 정도면 다 아는 과학 이론이 되었다. 《종의 기원》이 나오고 12년이 지난 후에 다윈은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이라는 책을 펴냈다. 그는 ‘성 선택(sexual selection)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고, 성 선택이 자연 선택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은 철저히 외면당했고, 다윈을 지지하던 진화론자들도 이 책을 비난했다. 하지만 다윈이 더욱더 뼈아팠던 것은 따로 있다. 다윈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진화론을 증명하여 그와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한 앨프레드 월리스(Alfred Wallis)가 성 선택을 공격하는 선봉장으로 나선 것이다.

 

조류학자인 다윈주의자 리처드 프럼(Richard O. Prum)이 쓴 《아름다움의 진화》는 백여 년 동안 진화론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 잡은 자연 선택에 밀려 제대로 주목받지 못한 성 선택에 관한 책이다. 저자는 조류의 짝짓기와 수컷 조류의 구애 행동을 연구하면서 새로운 연구 주제에 도전하게 된다. ‘조류의 성 선택이 진화의 다양한 측면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성 선택은 간단히 말하면 수컷은 배우자가 될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자신의 모습을 과시하고, 암컷은 배우자 수컷을 고른다는 주장을 발전시킨 이론이다. 수컷은 자신의 유전자를 물려줄 자식을 늘리기 위해 섹스(교미)에 집착하고, 성적 욕구가 있는 암컷은 (자신이 보기에 섹시하고 멋진) 수컷을 고르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수컷에 대한 암컷의 성적 선호와 이런 선호를 충족시켜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수컷의 깃털 장식들이 진화를 이끈 원동력이 되었다. 암컷의 성적 선호는 다음에 태어날 암컷에게 대물림되고, 수컷의 깃털 장식들은 점점 더 세련되고 화려해진다. 프럼은 이 과정을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성 선택에 의한 미적 진화(aesthetic evolution)라고 부르면서 배우자가 될 수컷을 ‘성적 욕구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암컷의 미적 감각과 짝짓기 행위가 이루어지면 자기 결정권을 갖는 암컷의 태도에 주목한다. 암컷을 반하게 만드는 수컷의 몸에 난 장식들, 즉 크고 화려한 깃털은 ‘성적 상징물(sexual ornament)이다.

 

성 선택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성적 상징물은 수컷 공작의 화려한 깃털이다. 공작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수컷 조류들도 각자 암컷을 유혹하는 성적 상징물을 하나씩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암컷 앞에서 교태를 부린다. 따라서 수많은 조류에서 나타난 암컷의 배우자 선택과 수컷의 성적 상징물의 공진화는 다양한 ‘성적 아름다움’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자연 선택을 지지하는 다윈주의자들은 여전히 다윈이 생각해낸 성 선택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진화론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자연 선택과 성 선택으로 갈라진 다윈주의자들의 모습을 보면서 이를 ‘진화론의 허구’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로 본다. 진화론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생각보다 복잡한 진화론 논쟁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진화론자들끼리 서로 대립하는 모습이 의아하게 느껴질 것이다. 《아름다움의 진화》는 자연 선택의 한계를 밝혀내 성 선택에 더 많이 주목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연 선택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모든 생물의 진화를 자연 선택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저자의 입장은 다윈이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을 쓰게 된 의도와 관련이 있다. 다윈은 자연 선택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생물들의 특성에 주목했고, 진화론의 빈틈이 되는 부분을 메우기 위해 성 선택을 제시했다. 따라서 《아름다움의 진화》에 나오는 ‘자연 선택 지지자와 성 선택 지지자 간의 논쟁’을 ‘진화론을 틀린 이론으로 만드는 프레임’으로 삼는 것은 난센스다.

 

성 선택을 비판하는 자연 선택 지지자들은 암컷이 성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힘들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성 선택이 짝짓기에 너무 초점을 맞춰서 설명한다고 말한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성 선택으로 모든 생물의 진화를 설명하게 되면 인간도, 생물도 모두 본능적으로 섹스를 선호하는 존재로 부각된다. 이러한 자연 선택 지지자들의 반응은 백여 년 전 다윈이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을 발표했을 때 나온 대중들의 반응과 거의 비슷하다. 다윈과 동시대에 살았던 사람들, 즉 유독 성에 대해 보수적인 반응을 보인 빅토리아 시대(Victorian era) 사람들은 암컷이 섹스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는 성 선택에 분노를 드러냈다. 성 선택은 암컷에게 짝짓기를 주도적으로 임하는 ‘성적 자기 결정권’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이론이다.

 

과학적으로 성 선택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왜 수컷은 자신의 생존에 불리한 거추장스러운 성적 상징물을 가진 채 살아가게 되었냐고 따진다. 그들의 주장도 일리가 있다. 이를테면 수컷 공작의 깃털은 적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깃털이 지나치게 커서 적의 눈에 띄기 쉬운 수컷 공작은 생존할 확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짝짓기를 할 확률도 낮아진다. 사실 성 선택을 주장한 다윈도 이 문제에 직면했다. 그는 ‘실용성 없는 성적 상징물’의 기원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그러나 저자는 성적 상징물의 무용성을 근거로 성 선택을 비판하는 입장을 다시 반박한다. 그는 성 선택이 종의 쇠퇴와 멸망을 초래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짝짓기를 하는 데 유리한 이점이 분명히 있다고 주장한다. 적에게 잡혀 죽을 위험이 있더라도 수컷은 암컷의 선택을 받기 위해 점점 더 아름다워지도록 노력할 것이다. 유성생식을 하는 동물들에 짝짓기는 생존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수컷일수록 짝짓기에 유리하다는 성 선택을 재미있게 비유해서 설명한 저자의 말이 인상적이다.

 

 

 ‘잘생긴 용모를 가졌지만 무모함 때문에 요절한’ 제임스 딘(James Dean) 스타일의 수컷이 ‘책만 파면서 여든 살까지 생존한’ 범생이 스타일의 수컷보다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다.  (201쪽)

 

 

‘아름다움이 무기’라는 말이 있다. 요즘 이 말은 여성에게 아름다움을 강요하게 만드는 강압적인 말이 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미디어가 만들어 낸 틀에 박힌 ‘강요된 아름다움’을 탈피하고, 다양한 형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면 아름다움도 개인을 돋보이게 만드는 훌륭한 이점이자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름다움의 진화》가 강조하는 미적 진화론은 모든 존재가 아름다움을 즐기며, 아름다움을 선호하는 욕구를 가진 성적 주체라는 사실을 증명해준다. 인간은 사회적으로 진화하는(social evolution) 존재이다. 진화 속도가 더디지만, 과거에 최고로 여겨지던 아름다움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아름다움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다. 우리 사회가 화장이나 성형을 하지 않아도 되고, 조금은 부족해도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아름다움을 선호하는 사회로 진화되길 바란다.

 

 

 

 

 

※ Trivia

 

* 482쪽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두더지와 여우(The Hedgehog and the Fox)>라는 에세이에서 이러한 지적 분열을 탐구했다.

 

→ 두더지가 아니라 ‘고슴도치(hedgehog)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7-06 00: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9-07-08 17:46   좋아요 0 | URL
네, 간혹 진화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형태의 생물들이 발견되곤 하죠... ^^;;

AgalmA 2019-07-07 19: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번에 커크 월리스 존슨 『깃털 도둑』을 읽으며 극락조 생태에 대해 좀 찾아보니 1년이 거의 짝짓기 준비더군요ㅎㄷㄷ 공작의 화려함만큼이나 극락조도 성 선택 이론의 표본 아닌가 싶습니다.
미의 추구를 인간의 예술적 감각으로 생각하는 인본주의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데, 모든 존재가 미적 욕구로 가득한 성적 주체라는 폭넓은 시각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아름다움의 진화』사놓고 아직 안 읽고 있었는데 곧 읽어봐야겠어요^^


cyrus 2019-07-08 17:48   좋아요 1 | URL
<아름다움의 진화>에도 극락조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수컷 극락조가 구애하는 모습을 찍은 컬러 사진도 있는데, 스마일 표시가 있는 커다란 깃털을 펼친 모습이에요. <깃털 도둑>이라는 책도 읽어봐야겠어요. ^^

AgalmA 2019-07-12 15:42   좋아요 0 | URL
극락조 중 그 새 사진 신기하다고 인커넷 커뮤니티에서 종종 보여요ㅎ 정말 신기하죠. 우리 인간이 유사를 보려는 특성이 있긴 하지만 극락조 구애 무늬가 웃는 모습이라니ㅎㅎ!

테레사 2020-08-11 1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재밌죠? 저도 참 재밌고 즐겁게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