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드스타킹 공식 인스타그램에도 공개된 글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공식 후기를 써보네요. 《경계 없는 페미니즘》은 한동안 절판된 책이었는데요, 몇 달 전에 레드스타킹 멤버 한 분이 여성문화이론연구소(여이연) 출판사에 직접 전화를 해서 재고가 남아 있다고 물어본 적이 있어요. 그때 출판사 측은 재고가 남아 있지 않다고 답변을 했었는데요, 다행히 그 분의 의견이 출판사 측이 반영했는지 지난달부터 알라딘에 책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언제 절판될지 모르니 관심 있는 독자는 꼭 구입하시길.
추위와 따뜻함이 반복되는 변덕스러운 봄 날씨는 감기에 걸리기 쉬운 날씨입니다. 제 주변에 감기나 몸살 증세를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이 글을 보고 있을 분들 모두 감기 조심하시기를 바랍니다.
지난 월요일(25일)은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Chandra Talpade Mohanty)의 《경계 없는 페미니즘》 첫 번째 읽기 모임이 있는 날이었습니다. 첫 번째 시간에는 1부 1, 2장을 읽었습니다. 모한티는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도 출신의 여성학자입니다. 그녀는 미국 내 유색인 여성 차별 문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책 제목인 ‘경계 없는 페미니즘(Feminism without borders)’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일단 먼저 ‘경계’가 무슨 뜻인지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경계는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 종교, 장애 등 인간의 일상생활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해주는 기준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여러 가지 경계선을 가지고 세상을 구분합니다. “세상을 둘로 나누어 본다”는 강력한 믿음은, 일상생활을 가로지르는 투명한 ‘경계’에서 나옵니다. 이 경계는 때론 차별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피부 색깔로 인종을 구분하는 인종차별주의입니다. ‘국민-비(非)장애인-이성애자-정상’과 ‘난민-장애인-성 소수자-비정상’으로 나누어 판단하는 것 또한 보이지 않는 경계가 만들어내는 이분법적 구분입니다. 이러한 구도는 모한티가 허물려고 하는 ‘장벽’입니다. 따라서 ‘경계 없는 페미니즘’은 수많은 개인과 사회집단의 경험을 관통한 다차원적인 경계들을 극복하는, ‘해방의 잠재력을 지닌 페미니즘’[주1]입니다.
저자는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페미니즘의 분석 방법으로 탈식민주의와 반자본주의적 비평을 제시합니다. 탈식민주의는 ‘서구-비서구’를 가르는 틀, 그리고 서구의 제국주의가 피식민지 비서구를 바라보며 재현하는 방식 등을 비판하는 이론입니다. 반자본주의 비평은 사회 전반에 걸쳐 작동하고 있는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하고 반대하는 비평 방식입니다. 그래서 탈식민주의는 ‘제3세계’로 명명되는 비서구를 착취한 서구 제국주의 및 식민지 문화를 문제 삼는다면, 반자본주의적 비평은 제3세계를 착취하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에 주목합니다.
흔히 ‘제3세계’라고 하면 가장 많이 떠오르는 이미지는 ‘아프리카’, ‘가난한 나라’, ‘(정치적으로, 또는 성적으로) 억압받는 민족’입니다. 그런데 저를 포함한 대부분 사람은 한국이나 일본, 중국과 같은 아시아를 제3세계 국가라고 인식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레드스타킹 멤버 중에 대학원에서 여성학을 공부하는 분이 있습니다. 그분이 배우고 있는 제3세계 여성을 다룬 과목은 중국 · 재중동포(조선족) 여성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구 여성, 서구 페미니스트들이 생각하는 제3세계 여성 이미지는 주체적으로 자기 권리를 주장하는 서구 여성 이미지와 대비됩니다. 저자는 제3세계 여성을 ‘서구 식민화의 피해자’, ‘남성 폭력의 피해자’, ‘가부장적 친족체제에 벗어나지 못하는 종속적인 여성’ 등으로 일방적으로 규정해버리는 서구 페미니즘 담론을 비판합니다. 이러한 서구식 담론은 제3세계 여성의 주체적인 목소리와 그녀들 고유의 역사를 생략해버립니다.
제3세계 여성을 ‘피해자’로 묘사하는 서구식 담론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에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레드스타킹 멤버들은 우리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서구식 제3세계 담론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면서 멤버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예는 국제 구호단체의 기부금 모집 광고였습니다. 구호단체의 광고를 보면 굶주림에 시달리거나, 절망 어린 눈빛을 한 중동 · 아프리카 난민들의 모습이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피해자로서의 난민’ 이미지를 지나치게 부각하는 광고는 ‘가난하고 꾀죄죄한 난민’이라는 고정관념을 만듭니다.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 성행하고 있는 ‘여성 음핵 절제술’은 제3세계 여성의 생명권을 위협하는 악습입니다. 여성 음핵 절제술 근절에 앞장서는 서구 페미니스트들의 관심과 참여는 훌륭한 일입니다. 하지만 여성 음핵 절제술의 위험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제3세계 여성을 ‘남성에 의해 성적으로 억압받는 무기력한 피해자’로 규정하는 입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저자는 제3세계 여성에 대한 온정주의적 태도에 ‘서구가 우월하다는 이념의 헤게모니(hegemony)’[주2]가 스며들어 있다고 말합니다.
《경계 없는 페미니즘》을 함께 읽은 레드스타킹 멤버들은 제3세계 여성을 설명하는 서구식 담론과 헤게모니에 익숙해진 것에 대해 반성을 했습니다. 그리고 제3세계 여성 같은 타자의 정체성을 일방적으로 단정하게 만드는 ‘일상 속 권력’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가해자’의 위치에 서서 연대해야 할 타자를 ‘피해자’로 대상화했을 수도 있습니다. 무지는 연대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만들 뿐 아니라, 타자들의 고통을 가중하는 커다란 함정이 됩니다. 이 책에 언급된 ‘성찰적 연대(reflective solidarity)’[주3]에 공감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연대의 필요성을 말하기 전에 ‘나’와 ‘타자’의 관계가 제대로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성찰’해야겠습니다. ‘성찰’이 빠진 연대는 타자의 아픔을 제대로 품을 수 없습니다.
[주1]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 문현아 옮김, 《경계 없는 페미니즘》, 여이연, 14쪽.
[주2] 같은 책, 69쪽.
[주3] 같은 책, 22~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