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의 예찬 - 정원으로의 여행 한병철 라이브러리
한병철 지음, 안인희 옮김 / 김영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원은 마음의 고향이다. 풍요로운 정원에서 꽃의 아름다움을 배우고, 삶에 지친 사람들은 정원에서 쌓인 피로를 훌훌 털어버린다. 정원은 또 인생의 황혼기를 맞은 사람들이 마음의 평화를 닦는 곳이기도 하다. 땅을 파고, 화초를 심고, 잡초를 뽑는 것은 자연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만질 수 있는 원초적인 경험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노동이 주는 카타르시스(katharsis)를 느낄 수 있다. 땅은 매우 현명하고도 관대하다. 땅은 아름다움의 영감과 생의 활력을 불어넣는다.

 

평온하다. 정원 한가운데서 혼자 있는 기분과도 같다. 3년 동안 땅을 일구며 ‘비밀정원’을 완성한 철학자의 기록을 담은 이 책의 분위기가 그렇다. 《땅의 예찬》(김영사, 2018)은 땅과 식물이라는 자연의 연결고리에 향한 열렬한 사랑을 담은 책이다. 재독 철학자 한병철은 정원을 자연과 인생이 어우러진 평화와 사색의 공간으로 가꾸고 싶어 한다. 정원 일을 하면서 철학을 접목한 그의 이야기는 정원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정밀한 사유의 깊이를 보게 된다. 저자는 시간, 행복, 세계의 디지털화, 죽음 등에 대해 명상한다. 아네모네, 미선나무, 크로커스, 옥잠화 등의 살아있는 존재들의 다양한 모습을 써 내려 간 대목에서는 자연의 솔직함이 묻어 있다. 저자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변화하고 성장하는 정원의 비밀을 거울에 비추며 땅의 신비로움, 아름다움, 고귀함의 품격을 보여준다.

 

저자는 땅과 식물로부터 삶의 철학을 배운다. 저자는 정원을 가꾸면서 땅에 더 가까워지고 싶다는 갈망을 느낀다. 그에게 정원 일은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아내는 소중한 과정이다.

 

 

 나는 자주 놀라워하며 땅[흙, 지구]을 만지고 쓰다듬는다. 땅에서 나오는 모든 싹은 진짜 기적이다. 차갑고 어두운 우주 한가운데 지구와 같은 생명의 장소가 있다는 사실이 믿기 어렵다. 보통은 생명이 없는 우주에서 우리는 작지만 꽃이 피어나는 행성에 산다는 것, 우리가 행성의 존재라는 것을 늘 의식해야 한다. [중략] 오늘날 우리는 땅에 대한 섬세한 감성을 모두 잃어버렸다. 땅이 무엇인지 더는 알지 못한다. 고작해야 이나마 유지해야 할 자원으로만 여긴다. 땅을 보호한다는 것은 당에 그 본질을 되돌려준다는 뜻이다. (31쪽)

 

 

저자에게 있어서 정원을 가꾸는 일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바라보는 사적인 행위다. 그가 정원에서 명상하고 글을 쓰는 일은 그 내면세계에서 발견한 진리, 잔인하게 착취하고 파괴된 땅을 다시 살리려는 시도이다. 저자가 생각하는 땅은 ‘행복’의 동의어이다. 한병철은 이미 여러 차례 ‘디지털 세상’을 진단하고 비판했다(《투명사회》, 《심리정치》, 《타자의 추방》). 《아름다움의 구원》(문학과지성사, 2016)에서 그는 숫자로 이루어진 디지털 문화로 인해 사람들이 지향하고 원하는 것들이 공통으로 ‘매끄러움’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매끄러움’이 관통하는 디지털 세상은 비밀과 저항을 없앤다. 사람들은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으려고 디지털 세상에 남과 비슷한 자신의 일상을 전시하고 ‘좋아요(like)’를 많이 받길 원한다. 무한정한 자유가 결국 자기 자신을 착취하는 폭력이 된다. 오늘날에는 누구나 자신을 착취하는 노동자다. 개인의 자기착취를 유도하는 ‘디지털 권력’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자기 착취의 노동자’를 ‘자연(땅) 착취’의 함정으로 몰아넣는다. 결국, 우리 스스로 행복을 파괴하고 있는 셈이다.

 

생명이 있는 곳엔 그 어디든지 아름다움의 비애가 있다. 아끼던 화초가 죽어 가는 모습을 안타깝게 지켜봐야 하는 순간이 있다. 정원보다 더 심오하게 탄생과 죽음, 시작과 끝, 그 소멸의 주기를 보여 주는 게 있을까? 하지만 정원사는 영원한 성장에 대한 믿음이 있다. 그들은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정원을 잠재우고 있을 때도 봄이 되면 새 생명이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안다. 정원을 사랑하는 한병철에게 흙을 만지는 일은 연애, 노동, 성찰이다. 《땅의 예찬》은 정원에서 그가 자연을 만나 사랑하고 일하고 생각한 것들에 대한 내밀한 기록이다.

 

이 책의 '옥에 티'꽃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지식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오독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문장)이다.

 

 

부용은 한국의 국화(國花)다. 한국어로는 무궁화. (101쪽)

 

 

부용은 무궁화와 비슷하게 생긴 꽃이다. 부용과 무궁화는 쌍떡잎식물 아욱목에 속하는 식물이지만, 학명이 다르고 생김새에 약간 차이가 있다.

 

 

 사프란 꽃 한 송이를 꺾어서 보드리야르의 책 《유혹에 대하여》에 꽂아두었다. 겨울밤 사프란 크로커스는 그 자체가 유혹이다. 138쪽과 139쪽에 아름다운 꽃모양이 찍혔다. 다음의 구절들이 사프란 색깔을 입었다.

 

 모든 범죄도 그렇지만 유혹의 과정에도 무언가 비개인적인, 어딘지 제의적(祭儀的)인, 주체를 넘어선, 초감각적인 요소가 있다. 현실에서 유혹자나 그 희생자의 체험은 그런 요소의 무의식적 반영에 지나지 않는다. 형식의 주체들이 소모되어 없어지는, 그런 형식의 제의적 연습. 그래서 전체는 미적 작품의 형태와 아울러 제의적 범죄의 형태를 포함한다.

 

 아름다운 소녀의 유혹하는 힘, 그녀의 자연적인 아름다움은 유혹자의 인위적인 연극론과 전략에 의해 희생되고 파괴되어야 한다. 심리학, 영혼, 주체성 등이 없이 나온 유혹자의 기술이 아름다운 소녀의 자연적인 유혹하는 힘을 이긴다. 유혹자는 유혹의 제의(祭儀) 과정에 자신을 바친 사제다. (119~120쪽)

 

 

‘아름다운 소녀의 유혹하는 힘’은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왜 희생되고 파괴되어야 할까? 왜 나는 ‘아름다운 소녀의 유혹하는 힘’이라는 표현을 보면서 순수한 모습으로 남성을 유혹하는 ‘롤리타(Lolita)’ 이미지가 생각나는 걸까? 아무튼 이 문장은 계속 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8-07-02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류시화 시인이 발견한 문장이 생각납니다. ‘정원사가 있으면 정원이 있다’ 고, 정원이 있고 정원사가 있는 게 아니고...즐거운 한주 시작하세요!

cyrus 2018-07-02 17:17   좋아요 0 | URL
정원사가 없는 정원에는 잡초가 많아질 거예요. 그만큼 정원사의 역할이 아주 중요합니다. ^^

2018-07-02 12: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7-02 17:17   좋아요 1 | URL
정원을 잘 가꾸셔서 정원의 세계를 담은 사진집 한 권 내셔요. ^^

레삭매냐 2018-07-02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 쌩뚱맞지만 최근 읽고 있는 하버드 중국사
시리즈에 나오는 서구의 도전과 아시아의 응전
이라는 도식이 떠오릅니다.

자연을 개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서구의 그것
과 자연동반 혹은 친화적인 동양의 아이디어
차이에서 출발하는 게 아닐런지요.

그나저나 부용이 한국의 국화라는 말은 정말
처음 들어 보네요.

cyrus 2018-07-02 17:24   좋아요 0 | URL
<땅의 예찬>에서는 자연을 ‘개발의 대상’으로 보는 서구 중심적 시각에 대한 저자의 비판의식이 드러나 있지 않아요. 땅을 소중히 여기자는 저자의 주장에 공감했습니다만, 자기 성찰에 골몰하는 것 같아서 뭔가 아쉬운 느낌이 많았습니다. ‘부용은 한국의 국화’라는 문장을 보자마자 저는 무궁화와 부용이 같은 꽃인 줄 알았어요. ^^;;

카스피 2018-07-03 0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도시에서는 정원란 말을 이제 더이상 듣기 힘든것 같아요.제가 살던 곳도 요 몇년새 작은 마당(혹은 정원)이 있던 단독주택들이 모두 빌리로 바뀌더군요ㅜ.ㅜ

cyrus 2018-07-03 06:56   좋아요 0 | URL
옥상에 작은 텃밭이나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양을 생각하면 옥상 텃밭도 단점이 있는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