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22년 10월 16일 흐림



마늘을 심은 곳 옆에 상추 씨앗을 뿌렸다. 고추를 뽑은 곳에 퇴비도 주지 않은 채 일단 상추씨만 뿌려 둔 것이다. 겨울이 오기 전 싹이 났다가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봄이 되면 다시 싹을 틔워 먹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른바 월동 상추이자, 누군가는 부활절 시기 즈음 먹을 수 있다 하여 부활 상추라고도 부른다. 이게 가능하려면 겨울을 잘 나도록 보온해 주고, 봄 즈음에 퇴비를 주어야 할 것이다. 


상추만이 아니라 시금치나 배추 등도 월동을 해서 먹을 수 있다. 지난 번 심어두었던 배추는 결구가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잎은 처참하다. 



잎벌레가 온통 다 먹어치운 바람에 구멍이 송송 뚫려 있다. 모종을 심고 나서 결구가 시작되기까지 물을 두어 번 주는 것 말고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았으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잎벌레를 찾아 잡아주어야 하는데, 이제는 배추가 너무 많이 커버려서 벌레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농사에도 시간과 정성을 기울여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시간과 정성을 얼마만큼 주었을 때 효과적인지는 따져보아야 한다. 농사도 결국 경제 논리를 따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한계생산성체감의 법칙은 농사에도 적용된다. 여기에 노동의 투입 대신 자연의 힘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부분이라 여겨진다. 자연의 힘을 최대한 이용함으로써 노동에 들어가는 시간과 정성을 줄여갈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지 않을까. 숲이 노동없이 무성해지듯이 말이다. 어슬렁거리며 농사짓기. 꼭 이뤄보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상추도 월동이 되는거군요?
신세계 ~~ 저도 배추는 벌레가 생겼다가 날이 좀 추워지니 괜찮던데요 배추가 처참하네요 ㅠ 약을 안주니 어쩌면 당연한 결과죠! 저도 올해 텃밭에 키우는 작물들에 벌레와 전쟁을 벌였어요 나무젓가락들고 아침마다 잡다가 잡다가 나중엔 포기.. 안되더라구요

하루살이 2022-10-26 16:13   좋아요 0 | URL
한랭사, 끈끈이, 이도저도 안된다면 천연농약을 활용해보아야 겠죠? 자연이 주는 선물을 만끽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
 

22년 10월 16일 흐림 14도~21도



2주 전에 심었던 씨마늘에서 싹이 올라왔다. 싹을 틔우지 않고 바로 심었기에, 혹여 싹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했다. 하지만 그야말로 기우였다. 마늘이 예쁘게 싹을 내민 것이다. 조건만 맞는다면 기어코 싹은 나는 것이다.



내친김에 지난 주에 퇴비를 뿌려 둔 곳에 남은 마늘씨를 심었다. 구멍을 뚫고 마늘씨를 넣은 후 흙을 살짝 덮어주고 물을 듬뿍 주었다. 이번 주 날씨가 춥다고 했는데, 잘 견뎌내고, 다음 주 쯤 싹을 내밀었으면 좋겠다. 


마늘밭 옆에 고구마를 조금 심어두었던 곳의 고구마 줄기도 다 거두었다. 그리고 고구마가 혹시 달렸을까 삽질을 해보니...



정말 핸드볼공만한 고구마가 땅에 박혀 있다. 아마도 대여섯개 정도 되는 고구마가 분리되지 않고 뭉쳐져 버린 듯하다. 땅이 진 탓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고구마를 수확하기에는 땅이 다소 찰흙에 가까워 조금 더 땅을 보드랍게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주어야 할 듯 싶다. 물론 이런 진 땅에서 잘 자라는 작물을 심는 것도 방법이긴 하다. 어찌됐든 이렇게 큰 고구마를 어떻게 먹어야 할지. 대략 난감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벼가 누렇게 익어가고, 한쪽에선 콤바인이 쌀을 수확하고 있다. 햅쌀이 이곳저곳에서 나오는 시기다. 밥을 지어먹을 때면 묵은쌀보다는 햅쌀이 맛있다. 다 이유가 있다. 


쌀을 도정하고 나면 쌀에 포함된 지방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해서 산도가 올라간다. 이때 냄새가 나면서 밥맛도 나빠진다. 그러니 도정된 쌀은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폐된 용기에 담아야 한다. 여기에 더해 온도가 높을 수록 산도가 더 높이 올라가기에 온도가 낮은 곳에 보관하면 좋다. 


최근 농진청 연구자료에 따르면 4도, 15도, 25도에서 12주간 쌀을 보관하면서 품질 번화를 살펴보니, 4도에서는 82일 후부터, 15도에서는 58일 후부터, 25도에서는 12일 후부터 밥맛과 신선도가 떨어지고 색이 변하기 시작한다고 한다. 그러니 될 수 있으면 쌀을 구입하고 나서 냉장고에 넣어두는 것이 밥맛을 살리는 비결이 될 수 있겠다. 물론 쌀을 소량으로 구입해 1~2주 이내에 다 먹는다면 아무 상관없겠지만 말이다. 


그렇다면 아예 온도를 더 낮춰 냉동보관하는 것은 어떨까. 쌀은 영하로 떨어지면 수분 부피가 커지면서 금이 갈 수 있다. 물을 가득 채운 병을 얼리면 터지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니 냉동보관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될 수 있으면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한 쌀을 구입해 밥을 지어 먹는 것이 좋지만, 한 가마니를 구입했다면, 밀폐용기에 담아서 냉장고에 넣어두는 것이 맛있는 밥을 먹을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이라 하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좋은 정보네요
저도 쌀에 민감한 소음인이라 ... 쌀냉장고 샀다 남편이랑 살짝 안좋았어요 그런게 대체 왜 필요하냐고..ㅠ
근데 20키로 쌀 한포대가 다 들어가고남고 온도도 15도로 유지되는데... 두달 안에 다 소비하니 딱이네요.. 어쨌든 살림에 관한한 저를 어찌 이기겠어요^^
 

22년 10월 13일 맑음 7도~22도


새벽녘 추었다가 오후에는 살짝 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하루 기온차가 15도나 되니 몸이 쉽사리 적응하지를 못한다. 마음은 얼른 나아서 활발하게 움직이고 싶은데, 몸은 조심조심하라고 불편함을 안겨준다.ㅜㅜ


지난 주말 수확했던 단호박 한 개를 시험삼아 쪄 먹어보았다. 보통 단호박은 후숙을 거쳐야 단맛이 올라온다. 2주 정도 상온에 두면 노란색이 찐해지면서 맛도 좋아진다고 한다. 



수확한 지 아직 일주일도 채 되지 않은 단호박을 잘라보니 색이 연하다. 아무래도 더 두었다가 먹는 것이 좋을듯하다.



단호박 씨앗은 잘 씻어서 구워먹을 수 있다. 나는 먹는 대신 내년에 쓸 씨앗으로 두툼한 것 몇 개를 말릴 생각이다.  



씨앗을 파낸 단호박을 쪘다. 워낙에 커서 반쪽만 넣어도 큰 냄비 한 가득이다. 20여 분을 찌고 나서 숫가락으로 파먹기 신공. ^^ 그런데 아직 단맛이 덜 들어서 밍숭맹숭하다. 확실히 후숙을 해 두어야 맛이 오를 듯하다. 



다음주에는 아무래도 서리가 내리지 않을까 염려스러운데, 밖에는 멧돌호박 한 개가 정말 탐스럽게 커가고 있다. 지금 이맘쯤에는 노랗게 익어가야 하는데, 너무 늦게 자란 것은 아닐까 싶다. 신문지가 되었든 부직포가 되었든 보온덮개를 해주고 더 놔둘지 고민이다. 



한편으론 지금도 수정이 되어서 호박이 열리기 시작하는 것도 몇 개 보인다. 이것들은 밥공기 서너개 크기 정도 클 때 까지 놔두었다 애호박으로 사용해서 찌개에 넣어먹으면 별미다. 아니면 채를 썰어서 호박볶음을 해 먹어도 맛있다. 늦가을이 주는 풍요가 좋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하수 2022-10-21 0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단호박 씨앗.. 저도 시도해보고 싶어요 초보 텃밭러에게 도움되는 정보가 엄청나네요~~^^
 

22년 10월 10일 8도~12도 비


몸이 살짝 나아져 슬슬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먼저 눈에 보인 것은 호박. 멧돌 호박 1주와 단호박 1주를 심어 놓고 방치해두었는데, 지금 보니 열매가 꽤 많이 달렸다. 



멧돌호박이 조금 일찍 열렸다면 지금쯤 늙은 호박이 되어서, 여러 방식으로 먹을 수 있었을텐데, 워낙 늦게 심은데다 자라는 것도 늦어서 크기도 작고 색도 전혀 노란색을 띠지 못하고 있다. 얼핏보면 단호박과 비슷해서 구분이 잘 가지 않을 정도다. 어차피 다음주면 다시 추위가 찾아온다고 하니, 자칫 서리라도 내리면 낭패가 아닐 수 없어서 수확에 나섰다. 아직 여물지 못한 어린 멧돌호박은 애호박 마냥 찌개 등에 넣어 먹을 수도 있다. 반면 블루베리 대여섯주 정도를 감싸며 무성하게 자란 단호박의 경우엔 거의 열 개 가량 수확을 하게 됐다. 요즘 단호박 값도 꽤 비싼데, 주위 사람들과 나눠 먹을 정도는 되어서 기분이 좋다. 



올해 가지치기를 잘못하는 바람에 열매를 맺지 못하게 된 오미자는 겨우 한두 줌 정도 수확이 가능했다. 청을 담그기에는 턱없이 모자라, 그냥 말려서 물에 우려먹을 생각이다. 

내년에는 가지를 잘 정리하고 유인해서 수확을 많이 거뒀으면 좋겠다. 다행히도 오미자는 새 피해가 없으니, 열매만 많이 맺힌다면 꽤 수확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가 된다. 다만 유인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이 깊다.  


아무튼 올해까지 여러 작물을 심어본 결과 잘 자라서 수확을 거둘 수 있는 것으로는 호박과 땅콩, 오미자, 돌배, 복분자다. 쌈 채소의 경우엔 한랭사를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내년부터는 이 땅에 잘 맞는 작물을 중심으로 농사 계획을 세워볼 심산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2-10-13 16: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눈이 행복하다는 말이 절로 나오게 하는 풍성한 바구니이네요^^

하루살이 2022-10-14 11:12   좋아요 0 | URL
내년엔 오미자가 한 바구니 가득 찼으면 좋겠어요 ^^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