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4월 27일 맑음 8도~24도


어제 발견한 배나무의 검게 타 들어간 잎은 곰팡이나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병일 가능성이 높다. 아무튼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원인이라면 계속 퍼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병든 잎은 물론 같은 잎줄기에서 나온 잎과 꽃송이 전체를 제거했다. 



이들 잎은 비닐 봉지에 담아 밀봉했다. 그리고 불에 태웠다. 다른 곳으로 번져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그리고 혹시 나무에 남아 있을 병원체를 막기 위해 황을 뿌려줬다. 그런데 가지고 있던 분무기 2개가 모두 고장이 났다. 한 개는 입구 쪽이 부서져 버렸고, 다른 한 개는 고무패킹이 샌다. 고장난 두 개의 분무기로 겨우겨우 황을 희석해 뿌리기는 했지만 나무 위쪽은 닿지 않아 불안하다. 아무래도 이 기회에 자동분무기를 하나 구입해볼까 생각해본다. 압력분무기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피스톤 운동을 열심히 하다보니 지쳐버렸다. ^^; 시간도 지체된데다 체력이 고갈돼 블루베리밭 풀베기는 하나도 못했다. 게다가 다른 나무들도 꽤 커졌고, 개수도 여럿 있어서, 압력분무기로는 점점 감당하기 어려워 보인다. 



황을 뿌리고 나서 나무들이 괜찮아졌으면 좋겠다. 황은 꽃이 핀 상태로 수정 전에 뿌리면 좋지 않다. 꽃이 피기 전에 또는 수정 후에 뿌려야 좋다. 뭔가 할 일은 점점 많아지는데, 일은 따라 가질 못하고 있다. 슬슬 조바심이 나려 한다. 느긋해지자, 난 어슬렁 농부가 아니던가. ㅎㅎㅎ



토마토 모종 10개를 구입했다. 토마토도 손이 많이 가는 작물이라 심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딸내미가 좋아하는 과채다 보니 심어본다. 



토마토 심을 곳의 흙을 정돈해주고, 딸내미에게 정식 작업을 시켰다. 아, 물론 딸내미가 재미있어 할 것을 알고 말이다. 몸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는 아이들도 심거나 따는 것은 좋아한다. 심고 따기 까지의 과정은 관심도 없고 싫어하는 경우는 많지만. 아무튼 토마토를 심기 위해서는 지지대와 지지줄, 유인줄 작업을 해야 한다. 토마토가 쓰러지기 전에 할 일이다. 



토마토 간격이 들쭉날쭉이지만, 뭐, 그것도 그것대로 잘 자라겠지.... ^^;



이젠 하루가 다르다는 게 무엇 인지를 작물들이 보여준다. 오미자는 어느새 꽃이 피었다. 



둥굴레는 꽃을 피운지 사나흘은 된 듯하다. 



포도나무에도 잎이 났다.



씨앗을 뿌려 놓았던 허브도 싹을 내밀기 시작했다. 모두가 건강하게 자라기를 소망한다. 사방이 봄 기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4월 26일 새벽 비 온 후 맑음 14도~24도


비가 오고 나니 만물에 생기가 넘쳐난다. 풀이라고 다를 건가. 풀들도 생기가 넘쳐난다. ㅜㅜ;



블루베리 나무 주위로 풀들이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 풀들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려면 많은 양분이 필요하다. 그 양분이 어디서 오는 걸까. 당연히 흙에서 가져와야 할 터이니 블루베리와 양분 경합이 벌어질 것이다. 그래서 꽃이 피기 전에 풀들을 베어주면 더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어쨌든 빨리 풀을 베어줘야 할 듯.



낫을 들고 풀을 베고, 쑥은 뿌리까지 뽑아낸다. 쑥 뿌리 제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다보니 속도가 더디다. 아무래도 풀 베기 작업에 1주일은 잡아야 할 듯하다. 마음을 느긋하게 먹고 차곡차곡 진행해야겠다.



집안 한 구석에 쳐박혀 있던 검정 비닐 봉지 안에 감자가 썩어가고 있었다. 이상하게 벌레가 있어 살펴보다 발견한 것이다. 대략 난감.... 지난해 썩은 감자도 심어보니 싹이 났던 경험을 살려 얼른 심어보기로 한다.



배나무 밑에 땅을 정리하고 그나마 괜찮은 감자 열 개 정도를 심었다. 



배나무가 수정이 되는 상황에서 이상 증상이 발현됐다. 잎이 까맣게 타들어 간 것이다. 더 번져갈 것인지 걱정이다. 황이라도 조금 뿌려줘야 할지 고민이다.



매화나무에도 매실이 열리기 시작했다. 올해는 매실을 얼마나 수확할 수 있으려나. 


열매가 달리는 순간은 경이롭다. 또한 입가에 미소를 가볍게 띄울만큼 즐겁다. 하지만 열매가 열렸다고 해서 모두 다 수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까지 정성스레 관리를 해주어야만 바구니에 열매를 담을 수 있다. 물론 기후나 환경도 따라 주어야 한다. 말 그대로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수확할 그날까지 온 정성을 쏟아야 할 터. 올해는 수확의 기쁨이 충만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4월 25일 14도~26도 맑음 밤 늦게 비



올해 고추를 심으려고 생각하고 있는 공간에 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1~2주 후 고추를 심을 계획이라 밭을 정리할 필요가 생겼다. 



무경운을 원칙으로 하다보니, 삽으로 밭을 뒤엎지는 않는다. 키가 너무 큰 것들은 뿌리 채 뽑거나, 잘라낸다. 땅에 바짝 엎드려 자라는 것들은 작물이 자라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면 꽃이 피기 전까지는 그냥 둔다. 밭을 대충 정리하고 나니, 남은 풀들은 온통 제비꽃 종류들이다. 일단 그냥 두고 꽃구경이나 해볼 심산이다.


풀들을 대충 정리하고 나서 퇴비를 골고루 뿌렸다. 흙과 살살 섞어주는 것이 좋겟으나 비가 온다고 하니 그냥 두었다. 고추를 심을 때 심을 곳 주위만 살살 긁어 줄 심산이다. 



블루베리 묘목이 심겨진 곳들도 벌써 풀 천지가 되어가고 있다. 엘리자베스라는 품종인데 전부 다 해서 6주 밖에 없는데 이들 중 절반이 겨울을 넘기면서 죽었다고 생각했다. 



일단 묘목 주위 풀만 먼저 낫으로 깎아 주었다. 풀을 깎아 주면서 블루베리를 보니 죽은 줄 알았던 가지에 싹이 나는 것이 2 주 있다. 



가지 대부분은 죽었지만 한 가지에서 잎이 돋아나고 있는 것이다. 아, 이 싹이 주는 기쁨이란..... 뿌리가 조금이라도 살아있다는 증거인 셈인데, 어떻게든 잘 살아 주었으면 좋겠다. 



하루 전 딱 먹기 좋을만큼 자랐던 엄나무 순은 정말 몇 시간 만에 잎을 활짝 피우고 쑥 자라버렸다. 이렇게 커버린 잎은 질겨서 먹기엔 그다지 좋지 않다. 아직 어린 잎들만 몇 개 떼어냈다.



떼어낸 잎들은 씻은 후 뜨거운 물에 데치고 식혀서 지퍼랩에 넣고 냉동실에 두었다. 양이 많지 않아 아쉽긴 하지만 나중에 먹고 싶을 때 한 끼 정도는 해결해 주지 않을까. 



그리고 일부는 라면을 끓일 때 마지막 30초 정도를 남기고 넣어보았다. 오호라! 라면에 넣어 먹는 엄나무 순도 별미다. 라면 맛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엄나무 순의 향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좋다. 엄나무 순으로 다양한 요리에 도전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월 23일 맑음 11도~24도


예상대로 엄나무순이 먹기 좋을만큼 컸다. 



점심에 맞춰 두 개만 따서 데쳐 먹었다.



한 낮이 지나고 나니 그새 잎이 더 자랐다. 



이번엔 여섯 묶음이나 됐다. 한동안 엄나무순 향에 취할 듯하다. 그냥 데쳐서만 먹어도 향이 좋은데, 라면이나 다른 찌개에 넣어먹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지난해 자랐다가 겨울에 죽었던 둥굴레도 어느새 싹을 쑥 내밀었다. 못본 새 성큼 자라났다. 몇 개는 벌써 꽃망울을 맺고 있다. 



지난해 캐 먹었던 도라지도 일부 남겨진 곳에서 싹이 솟아 있었다. 관심 갖지 않았지만 자연은 묵묵히 자신의 싹을 키워내고 있었던 것이다. 



부사도 슬슬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사과꽃은 다 피어날 때는 하얀색이지만 꽃봉우리일 때는 분홍빛이다. 이런 색의 변화도 참 신기하다. 꽃이 만개될 때 점점 그 색을 잃어간다는 것이 인생살이와 많이 닮은 듯하다. 



오미자도 꽃을 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날이 이렇게 더우니 식물들의 성장 속도가 엄청 난 듯하다. 너무 급하게 자라지 않고 내실을 다지면서, 그러니까 건강하게 튼실하게 잘 자라주면 좋겠다. 비가 예보되어 있는데, 비 온 후 갑작스레 날이 추워지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식물들이 온도 변화에 스트레스 받을 걸 생각하니 안쓰럽다. 얼른 인간이 정신을 차려 지구 생명들을 스트레스 받게 하고, 위태롭게 하는 일을 그만둘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4월 24일 맑음 10도~27도


블루베리밭 풀뽑기와 물주기 작업은 계속되고 있다. 쑥이 워낙 많다보니 작업이 더디다. 땅 속 깊이 뿌리를 박고 옆으로 퍼져나가는 쑥은 캐내기도 힘들다. 



웬만해선 풀을 적당히 키우다 잘라주는 편을 택하지만, 쑥이 퍼지는 속도와 기세는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만든다. 이번에 쑥을 캐내면서도 그냥 두었더라면 블루베리 뿌리가 퍼지는 것을 방해했을 것이라 추측해본다. 손으로 뽑다가 워낙 땅 속 깊이 뿌리를 박아서 호미를 이용했다. 하지만 잘못 건드려 블루베리 뿌리를 상하게 하는 경우도 있어서 난감하다. 살살 조심히 하다 보니 속도가 나지 않는다. 



이렇게 블루베리 주위를 잘 정리해 둔 곳엔 두더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개구리와 지렁이들이 많다 보니 당연한 일일 테지만, 블루베리 뿌리를 들썩이게 만들어 죽게 하지 않을까 염려된다. 



두더지 뿐만이 아니다. 개미들도 집을 만들어 블루베리 주위로 구멍이 송송 뚫려있는 것을 보게 된다. 개미는 병균 등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기도 해서, 반가운 손님이 결코 아니다. 기껏 땅을 정리하니, 반갑지 않은 손님만 들썩인다.



반면 활짝 피어나고 있는 블루베리꽃에 벌들이 날아왔다. 블루베리 수정에 벌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벌들이 열일 해준 열매는 튼실하고 맛도 좋은 듯하다. 우리집 블루베리가 맛있는 비결 중의 하나이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블루베리 밭의 생태계가 완전히 순환을 이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두더지나 개미가 득세를 하고 있으면 이들의 천적이 나타나 균형을 잡아주어야 하지만, 아직 그 정도까지는 아닌 듯하다. 블루베리를 키우는 입장에서 좋은 생명체와 나쁜 생명체로 나뉘겠지만, 실제 이들 동물의 좋고 나쁨이 있겠냐만은, 어찌됐든 균형을 잡아갔으면 좋겠다. 모름지기 극에 치우치면 결국 다른 극한 처방이 나올 수밖엔 없을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