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내내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과 씨름하고 있던 큰아이는 책을 사 준다면 열심히 읽겠다 큰소리를 쳤다. 최근에 쟝님이 추천해 준 <기억의 뇌과학>을 살짝 권했지만 자기는 이 책이 더 좋겠다 해서 그래라 그럼, 하면서 큰아이가 고른 <천 개의 뇌>을 구입해 주었다. 잘 보이는 곳에 진열되어 있었는지, 아롱이는 느닷없이 <현대사상입문>을 읽고 싶다고 했나 보다. 큰아이가 그 책은 집에 있어, 엄마 책, 이라고 말해서 아롱이는 책(구입) 없이 집으로 돌아왔다.
큰아이는 1학기 때 기숙사에 있어서 집에는 주말에만 왔고, 나는 저 책을 주로 회사에서 읽었는데, 쟤는 언제 내가 저 책을 읽었던 걸 봤을까. 집에 오자마자 책을 찾던 큰아이는 <현대사상입문>을 아롱이에게 건넨다. 책을 손에 든 아롱이의 눈빛이 묘하다. 나란히 서서 책을 펼치며 큰아이가 말했다. 엄마는 진짜 베스트셀러 많이 읽어. 교보에 엄마가 읽던 책 많더라고.
아이야, 엄마가 베스트셀러만 읽는 건 아니란다. 그러니까 엄마는 이 책을 샀는데 말이지.
지지난 주부터 <감시와 처벌>을 읽고 있다. 나는 '이해란 핵심을 찾아내는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줄여 말할 때의 위험에 충분히 동의하지만, 핵심의 도출, 요지의 산출이 그런 위험을 감수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에, 이 책의 요지는 이 문단이다.
즉, 권력은 소유되기보다는 오히려 행사되는 것이며, 지배계급이 획득하거나 보존하는 '특권'이 아니라, 지배계급의 전략적 입장의 총체적 효과이며, 피지배자의 입장을 표명하고 때로는 연장시켜 주기도 하는 효과라는 것이다. 다른 한편, 권력은 '그것을 갖지 못한 자'들에게 다만 단순하게 의무나 금지로서 집행되는 것은 아니다. 권력은 그들을 포위공격하고, 그들을 거쳐 가고, 그들을 가로질러 간다. 권력은 그들을 거점으로 삼는데, 이것은 마치 권력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이 권력에 대한 영향력을 거점으로 삼는 것과 같다. 바꿔 말하면, 이 권력의 이러한 관계들은 사회의 심층 속에 깊숙이 자리 잡은 것이지, 국가와 시민들 사이에 혹은 국가와 계급들의 경계 사이에 있는 관계들 속에 있는 것이 아니다. (66-7쪽)
이 문단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었다. 권력이 지배 계급의 ‘특권’이 아니라 지배 계급의 전략적 입장의 총체적 효과라는 말은 이해가 되는데, 권력이 그것을 갖지 못한 자들을 포위 공격하고, 거쳐 가고, 가로질러 간다, 는 말이 좀 어려웠다. 즉, 권력이 지배 계급의 ‘힘’으로서만이 아니라, 피지배계급의 입장을 표명하고 연장하는 효과로 작동한다는 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싶었다. 마침 10년 전에 이 책을 읽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마주하고 있어서, 이 문단이 이해가 잘 안된다, 이 책은 어렵다, 이런 평범하고 무난한 불평을 늘어놓았다. 응, 번역 문제도 있고. 그런 경우 원서로 읽는 게 나을 수도 있어. 불어로? (나 불어 읽을 수 있는 사람이야? @@) 아니, 왜 불어로 읽어, 영어로 읽어야지. 그렇지? 영어로 읽어야겠지? 그래서, 나는 빛의 속도로 <Discipline and Punish : The Birth of the Prison>을 주문했고. 책이 도착하자마자 저 부분을 펼쳐서 읽어보았다.
천천히 읽었다. 이건 내 숙제가 아니고 과제도 아니고. 나는 급하지 않으니까. 혹시, 혹시나 내가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그러나, 한글 번역은 거의 완벽에 가까운 직역이어서 어디 하나 고칠 곳이 없었고, 그 문장을 그대로 이해하면 충분한 것이었으며, 그게 바로 한글 번역본이었으니. 다시 찾아온 절망.
에 굴하지 않고, 광화문 교보문고에 딱 한 권 남은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읽기>를 구매했다. 나는 더 이상 후퇴할 곳이 없었고, 후퇴할 생각도 없었으니. 그러나, 빠밤!
권력은 소유되기보다는 오히려 행사되는 것이며, 지배계급이 획득하거나 보존하는 '특권'이 아니라, 지배계급의 전략적 입장의 총체적 효과이며, 피지배자의 입장을 표명하고 때로는 연장시켜 주기도 하는 효과라는 것이다. 다른 한편, 권력은 '그것을 갖지 못한 자'들에게 다만 단순하게 의무나 금지로서 집행되는 것은 아니다. 권력은 그들을 포위 공격하고, 그들을 거쳐 가고, 그들을 가로질러 간다. 권력은 그들을 거점으로 삼는데, 이것은 마치 권력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이 권력에 대한 영향력을 거점으로 삼는 것과 같다. 바꿔 말하면, 권력의 이러한 관계들은 사회의 심층 속에 깊숙이 내려가 있는 것이다. (25-6쪽)
25-6쪽은 <감시와 처벌>에서 내가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문단의 해설인데, 아… 저 마지막 문장을 제외하고는 ‘똑같다!!’ 헐. 어쩌란 말인가. 절망했으되 포기를 모르는 나는, 다시 돌아간다. <현대사상입문>이다. 읽었지만 또 읽는다. <3. 푸코 : 사회의 탈구축>
김치냉장고 위에 푸코 올려놓는 사람이 이 지구상에 많지는 않을 거라 짐작한다. 김치 냉장고(식민 시대의 잔존을 청산하지 못한 비극적 분단국가인 대한민국 국민의 필수품) 위에(‘내 책상’을 가지고 있지만 열대기후 시대 에어컨 문제로 아이들에게 단기 대여해서 현재 책상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여기) 푸코(나의 숙제이며 또한 과제) 올려놓고 사진 찍는 사람도 흔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인이며 서울 시민이고, 여성이며 기독교인이고, 주부이며 이제 노동자이기도 한 나의 푸코 읽기. 권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나는 그것이 궁금할 뿐이다.
얘들아. <현대사상입문>을 베스트셀러라고 할 수 있을지 없을지는 모르겠지만, 엄마가 베스트셀러만 읽는 건 아니란다. 그러니까, 그건 아니야. 그게 아니긴 한데, 완전 아니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아니긴 아니란다. 아니야, 그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