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달자의 프랑스 이책저책 시간입니다. (금방 급조함)
2025년 1월에 프랑스 독립 서점과, 르몽드 책 코너에 올라온 서평이나 광고 등으로 100퍼센트 제 기준 제 관심을 끄는 책들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엔 두 책을 골라봤는데요, 하나는 칠레 작가의 프랑스 페미나 외국문학상 수상작, 다른 하나는 이태리 작가의 스트레가 문학상 수상작입니다. 어쩌다 보니 공교롭게도 두 작품 모두 2024 문학상 수상작들이네요.
1. <Propre> / Alia Trabucco Zerán
작년 12월에 르몽드 신문의 매주 금요일의 책 코너 <Le Monde Livre>에서 소개됐던 신간인데, 재밌을 것 같아서 메모를 해두었더랬다. 이탈리아계 칠레 여성 작가인 Alia Trabucco Zeran의 책이고, 프랑스어 번역본 제목으로 <Propre>이다. (원서의 제목은 스페인어일 텐데 뭔지 모르겠다. 알라딘에 작가 이름으로 검색을 해 보니 영어 번역본 제목은 'Clean'인가 보다. 책표지도 프랑스판 표지와 똑같다.)
책은 중산층 부부의 가정부 및 보모로 고용돼서 한 집 살 이를 에스텔라의 독백으로 시작하고, 책 서문에서부터 에스텔라는 자신이 보모로 지내던 그 집의 아기가 죽었다는 고백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중산층 부부와 그 집에 사는 보모.. 그리고 아이의 죽음... 레일라 슬리마니의 <달콤한 노래>가 바로 떠올랐다. 미리 보기로 읽다가 자극적인 서문에 계속 읽고 싶었지만, 그 당시 읽으려고 사둔 프랑스어 책이 많아서, 에이 일단 있는 거부터 먼저 읽자, 하고 사지 않았더랬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아 페미나상 외국문학 부분에 이 책이 수상했다는 소식이 발표되고 동네 서점에도 이 책이 서점 주인의 추천과 코멘트와 함께 입고가 된 것이 아닌가! 어쩔 수 없지.... 하는 마음으로 사고 말았다^^ 이제 한 50페이지 읽었는데 막 아기가 태어났거든요? 아이가 어떻게 죽는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기력과 체력이 된다면 후기를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포털 사이트에 찾아보니 우리나라에는 아직 번역된 책이 없는 작가인 것 같은데, 이번 기회에 한국에도 번역이 된다면 참 좋겠쥬?
P.S.
페미나상을 이름만 매년 들어봤는데 정확히 무슨 상인지 몰랐다가 이번에 드디어 검색해 보고 나서야 제대로 알게 되었다. 프랑스의 유서 깊은 문학상, 공쿠르 문학상의 여성 혐오적, 여성편력적 작품 선정과 재단 운영 방식에 반하여 1904년에 <La vie heureuse> 잡지에서 일하는 여성 20명이 작품을 선정하여 상을 준 것을 시작으로 오늘날의 페미나상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페미나상의 심사위원은 전원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L'âge fragile> / Donatella Di Pietrantonio
이 책은 오늘 자 르몽드의 매주 금요일 책 코너 <Livre>에 실린 광고를 보고 알게 되었다. 2024년 스트레가 문학상과 스트레가 지오바니상을 동시 수상했다면서 대대적으로 광고를 때렸는데, '뭐? 두 상을 동시에 받았다고??' 또 혹해가지고 바로 구글링해 보고... 동네 서점에 입고해 달라고 주문 메일까지 보내버렸다. (찾아보니 스트레가 지오바니 문학상은 스트레가 문학상의 청소년 문학 버전?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공쿠르 문학상의 Goncourt des lycéens 같은 느낌인가봄 )
원서 제목은 이태리어로 <L'età fragile>인데 프랑스어로는 <L'âge fragile>이니까.. 뭔가 생긴게 비슷하니 직역인가 싶다. (프랑스어 제목을 직역하자면 '연약한 나이'? '불안정한 나이'? '무너지기 쉬운 나이'? 정도가 되겠다.... 나도 안 읽어봐서 무슨 뜻으로 지은 제목인지 모름)
출판사의 책 소개 줄거리는 이러하다.
'이탈리아 아브루초의 한마을에서 평생을 살아온 이야기 속 화자, 루치아. 그녀는 한 번도 이 마을을 떠난 적이 없다. 그러나 30년 전 이곳에서 끔찍한 범죄의 목격자인 루치아. 시간이 지나 어느 날, 밀라노로 공부를 하러 떠났던 그녀의 딸 아만다가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돌아온 아만다는 방에서 나오지 않고 침묵 속에 갇혀있는데.. 아만다의 불안한 침묵과 고통 앞에 무기력해진 루치아는 갑작스레 자신의 고통스러운 과거의 기억들을 마주한다. 잊으려고 애썼던 비극이 다시금 떠오르는데...'
사실 줄거리만 보면 딱히 별 내용이 없다 싶었다. 대도시로 '유학'간 딸이 고향으로 돌아와서 방에 처박혀 나오지 않는게 뭐 대수라고... 그 대수 아닌 일이 엄마의 무엇을 자극했길래 트라우마가 되살아나는 걸까? 무슨 트라우마? 스트레가 문학상 수상작이라고 커다랗게 쓰혀있는 책 띄지 밑에는 또 커다랗게 이렇게 써 있다.
"2024년 이탈리아 문학계를 강타한 하나의 현상으로 자리잡은 소설 !"
아니, 출판사 책 소개가 거의 어떤 정보도 알려주질 않고 있는데 그런데도 상을 타고 이태리를 강타했다고? 대체 어떤 내용이길래? 궁금해서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찾아보니 프랑스에서도 지난주에 번역 출간된 따끈따끈한 신간이더라고. 아직 신간이니 도서관에 나오려면 또 한참 기다려야 할 테니... '또' 책을 사는 수밖엔...
이태리에 대해서는 아는 게 거의 없지만 체감상 오늘날 프랑스에 소개되고 인기를 끄는 이태리 문학이나 영화는 전복적이고 페미니즘서사가 거의 대부분인 것 같다. 그래서 이번 책도 그런 이태리 문학 '유행'에 올라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아 읽을 거 너무 많다...
+ 작가를 검색해 보니 한국에 소개된 이 작가의 책이 딱 하나 있네요. <아루미누타>라고! 처음 들어보긴 하지만 궁금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