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체> 1,2,3권을 다 읽었다. 이건 뭐 참 부끄럽고도 한심스러운 고백이지만 문과 출신으로 그 옛날 대입 학력고사 (체력장 20점 포함 340점 만점)의 수학1 과목(55점 만점)에서 18점인가 22점인가를 획득한 미련한 소생으로서는 기초 과학에 대한 소양이 전혀 없어서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많았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스토리가 너무 흥미진진해서 진짜 밤잠을 줄여가며 읽었다.
광할한 우주의 차원에서 보자면 해운대 모래사장의 모래 한 알갱이보다 못한 우리 행성에서, 수천만 년 수억만 년 영겁의 시간에 비하자면 한 순간도 뭣도 아닌 우리 종의 선사와 역사를 생각해보면 과연 인류란 얼마나 하찮은 존재인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먼지와도 같이 작은 것들이 무한한 우주와 영겁의 시간을 상상하고 또 그것에 대응하여 무언가를 도모해 낼 수 있다는 것이 한없이 신기하게도 생각되는 것이다.
삼체 완독 기념으로 소생이 소장한 SF 걸작 시리즈물 소환 기념전을 개최해 본다. <엠버 연대기>, <듄>, 황금가지의 <환상문학전집>시리즈도 여러 권 있지만 바쁘신 관계로 참석을 하지 못하고 오늘은 일단 <별의 계승자>, <파운데이션>, <어슐러 K. 르 귄 걸작선>, <필립 K. 딕 걸작선집>만 모셨다. (책 옮기는 거 너무 힘들다.) 이가 빠진 부분도 있다. 별의 계승자는 5권이 없고 필립 K. 딕은 12권 중 6권만 가지고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소생이 이 책들을 다 읽은 것은 아니다. 별의 계승자는 2권인가 3권인가를 읽다가 말았고, 르 귄과 필립의 작품은 단편만 몇 편 읽은 것 같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023/pimg_7333051132334882.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0027/21/cover150/k522635143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293/89/cover150/8993094314_1.jpg)
<추신>
부끄러운 고백 하니 또 문득 생각나는데, 인간들 중에는 수학이나 물리, 과학 이쪽으로는 영 관심도 재능도 흥미도 뭣도 없는 그런 종자들이 있으니(일명 문과형 인간) 역시 한심한 것들은 끼리끼리 유유상종인지라 소생의 친구 중 일인은 학력고사 수학에서 16점을 획득하여 그해 대학 진학에 실패하고 재수를 하게 되었는데, 이 친구가 이를 갈고 속을 썩이며 오로지 수학에만 올인하여 전심전력한 결과 그 다음 해 학력고사 수학에서는 놀라운 성과를 거양하고 말았으니 아아 독자제현께옵서는 부디 놀라지 마시라. 그가 획득한 점수는 12점 이었던 것이다. 믿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어쨌든 그 놀라운 기록의 소유자로 부터 직접 들었던 바 소생은 참 뭐라 위로의 말을 찾기 어려웠다는 그런 말씀되겠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15085/35/cover150/k562533166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