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생태] ① 248km 전 구간 최초 보고서

녹색연합 공동기획-DMZ 2007

▣ 출처:<한겨레21> 재678호 2007/09/20
▣ 서재철 녹색연합 녹색사회국장
▣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그곳에는 철조망이 있었다. 그 너머 벌판에는 그리 크지 않은 잡목들이 우거진 너른 들이 있었고, 들판 한가운데서 엉키고 흩어져 흐르는 내가 있었다. 이제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지워진 옛 도시의 폐허 너머에서 거친 산맥이 시작돼 북녘 땅 어디론가 사라져갔다.


△ (사진/ 서재철)


사람이 닿지 않는 산과 계곡을 흐르는 개울은 차고 달았다. 그곳에는 산양과 멧돼지와 노루와 삵이 산다. 군 초소와 그 초소를 잇는 철조망은 강과 산맥의 흐름을 가로막지 못했다. 철조망 너머 보이는 북의 군인들은 모자도 없이 서성이고 있었고, 남의 군인들은 때때로 “사진을 찍을 수 없다”며 카메라를 막았다.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남과 북이 대치한 풍경은 무료해 보였다. 철조망 건너 갈 수 없는 그 땅의 이름은 비무장지대(DMZ)다.

비무장지대는 한반도를 할퀴고 간 전쟁과 뒤이은 냉전의 유산이다.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을 맺은 미국과 북한은 임진강변에 세워진 표지물 0001호와 동해안의 1292호를 잇는 길이 248km의 선을 군사분계선으로 설정했다. 그 선으로부터 남(좀더 정확히 말해 미국이)과 북이 각각 2km씩 후퇴해 너비 4km, 길이 248km의 비무장지대가 만들어졌다. 그래서 비무장지대는 임진강이 한강으로 소실해 사라지는 서해 언저리에서 시작돼 동으로 248km를 달려 강원도 고성에서 끝난다.

비무장지대에서 남쪽으로 5~15km 이르는 지점에는 민간인 통제선(민통선)이 설정돼 함부로 들어갈 수 없다. 그래도 민통선 너머에는 마을이 있고, 사람이 살고, 농사를 짓고, 아이들을 낳는다.
비무장지대를 관할하는 것은 유엔사다. 한국 정부의 행정력 밖에 있기 때문에 조사단이 출입할 수 없다. 지금까지 나온 대부분의 비무장지대 보고서는 비무장지대 내부 답사가 아닌 민통선 답사다.



지난해와 올해 7월부터 9월 중순까지 두해에 걸쳐 비무장지대 철책선을 따라 248㎞ 전 구간을 빠짐 없이 답사했다. 철책선 전 구간을 따라 이뤄진 답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걸으며 바라보는 대상은 손에 잡히진 않지만, 지금까지 그렇게라도 바라보고 진단한 적은 없었다.

비무장지대는 무장하지 않은 곳이라는 뜻이다. 그곳에서 평화는 더 절실하고, 자연은 더 눈물겹다. “비무장지대/ 너희는 백두산까지 밀어붙여라/ 우리는 한라산까지 밀고 내려가리라/ 비무장지대 만세 만세 만세”(늦봄 문익환 ‘비무장지대’)

DMZ 248km 보고서

▶[제1부-생태] 지상에서 가장 이상한 숲이 있습니다
▶[제1부-생태] 이 역동적인 온대림을 보았는가
▶[제1부-생태] DMZ 생태지도- 서부 습지지역
▶[제1부-생태] DMZ 생태지도- 중부 내륙지역
▶[제1부-생태] DMZ 생태지도- 중·동부 산악지역
▶[제1부-생태] DMZ 생태지도- 동해안권
▶[제2부-사람] 자력갱생, 그 잔인한 40년
▶[제2부-사람] 이 험한 곳까지 오셨네, 땅 투기
▶[제2부-사람] ‘평화관광’ 같이 가실래요?
▶[제3부-미래] 시린 역사마저 보존하라
▶[제3부-미래] NLL을 넘어 평화수역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