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도르 마라이의 책 '열정'과 '유언'을 무척 재밌게 읽었다.
마르크 뒤라스의 '모데라토 칸타빌레'를 읽었을 때와 비슷한 감정인데, 애석하게도 뭐가 어떻게 좋았는지 설명하기는 참 힘들다.
더 애석한 것은 열정과 유언은 그나마 줄거리가 기억이 나는데 모데라토 칸타빌레는 내용이 생각이 안 난다. 어떤 영상만 컷으로 남아 있을 뿐.
이 세 책은 비슷한 시기에 읽었을 것이다. 누군가의 서평을 보고서 반해서.
뭐 중요한 건 그게 아니고, 산도르 마라이의 신간이 나왔다. 책의 이미지가 깔끔하다. 어떤 책인지는 아직 모르겠다. 실물을 먼저 보고 싶다. 오프 서점을 언제 나가보려나. 요새는 피곤에 쩔어서 잠이 들었다가 피곤에 지쳐서 깬다. 내일은 놀토다. 친구 집들이를 가야 하긴 하지만 아침 잠은 좀 자겠구나. 만세!!!
선비, 왕을 꾸짖다
제목이 마음에 든다.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유명한 상소문과 그 해설을 담아냈다고 한다.
좀 더 일차 사료에 다가갈 기회가 아닐까.
역시 표지와 글자 색이 눈에 띈다.
두껍고 비싼 책인데 실물 확인하고서 장바구니로 보내야겠다.
아니면 도서관으로 고고씽~


백무현 화백의 만화 김대중이다.
만화 박정희와 만화 전두환을 몹시 인상깊게 보았는데 이 책 역시 뭔가 제대로 보여줄 것만 같다.
이 책은 장바구니로 바로 보내야겠다. 기왕이면 3권 표지도 다른 그림이었으면 좋았을 것을... 싶은 약간의 아쉬움이 있다. (알고 보니 3권은 미출간이라 예약도서다. 그래서 표지가 2권이랑 같게 나왔나 보다.)
표지에는 그야말로 청년 김대중이 있다. 울컥거린다.

한일병합사1875-1945 제목이 속 쓰리지만 사진 자료가 볼 만할 듯하다.
월요일에 도서관에 책 신청 마감했는데 일주일만 빨랐어도 같이 신청했을 것을...ㅜ.ㅜ
비슷한 컨셉으로 외국인이 찍은 사진에 우리 학자가 해설을 붙인 '꼬레아 에 꼬레아니'다 눈에 띈다.
두 책 모두 책이 비싸서 선뜻 살 엄두가 안 난다. 일단 서점에서 확인하고 지역 도서관에서 빌려 읽든가, 아니면 작정하고 구매를 해야겠다. 비슷한 강준만 교수의 한국 근대사 산책은 무려 10권인데 1권만 정가제 시행에서 벗어나 있다. 언제 다 벗어나나. 그 전에 읽어야하는데 말이지비...
재밌게도, 강준만 교수의 신작도 같이 나왔다.
책이 너무 자주, 금세 뚝딱 나오다 보니깐 이젠 별로 놀라지도 않고 요란을 떨지도 않는다.
이 책 한 권을 통해 수 십 명의 진보 인사들이 말하는 대한민국 '행복'을 읽을 수 있을 듯하다.
행복을 읽으려다가 우리가 얼마나 불행한지를 깨닫는 건 아닐지...
박노자 교수도 워낙 부지런히 책이 나오고 있어서 결코 따라가질 못하고 있다.
집에 쌓인 책도 좀 되어서 또 사볼 엄두는 나질 않고, 그래도 제목만은 익혀둔다.
전통적인 남성, 그리고 강요된 남성, 착각되어지는 남성 등등...
'우리' 안에서는 보지 못하는, 혹은 인식하지 못하는 것들을 날카롭게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도서관에서 빌려볼 예정이다.(나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