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도 대답해주지 않은 질문들 -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성교육
페기 오렌스타인 지음, 구계원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9월
평점 :
자녀가 밖에서 놀다가 다쳤으면 병원에 가면 된다. 자녀가 큰 잘못을 저질렀으면 부모는 자녀에게 올바르지 않은 행동이 무엇인지 가르치면 된다. 이것이 자녀를 위한 부모의 역할이다. 그런데 자녀가 인터넷을 하다 음란물이나 성인 화상채팅앱을 본다면? 불법 유해정보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피해가 늘어나도 대부분 부모는 ‘내 아이는 안 그러겠지.’라는 생각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는다. 십대 딸을 둔 저널리스트 페기 오렌스타인은 다르다. 그녀는 내 아이뿐만 아니라 모든 평범한 아이도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말한다.
성범죄를 저지른 청소년들은 자신의 행동이 잘못한 것인 줄 모른다. 청소년 집단 성폭행 사건의 장본인 중 A군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학생이다. 가해 학생 A군의 부모는 아들이 잘 자랄 거라 믿었다. A군은 부모님이 집에 없는 시간에 거의 음란물을 보면서 지냈다. 그를 포함한 다섯 명의 친구들은 음란물에서 본 장면을 따라 하고 싶었다. 그들은 여학생을 조용한 장소로 불러내 집단으로 성폭행했다. 경찰에 끌려간 뒤에도 A군은 죄의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 부모는 A군에게 성폭행이 세상에서 나쁜 일이라고 꾸짖어보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 청소년들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스마트폰 채팅앱이다. 성인 인증 없이 청소년들도 접속하는 채팅앱은 불법 성매매의 온상이 되고 있다. 시대가 변할수록 인터넷 보급률과 소셜 미디어 이용자 수는 급증하고 있다. 십 년 전 청소년들은 컴퓨터로 음란물을 접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아주 손쉽게 음란물을 접한다. 페기 오렌스타인은 시대 변화에 맞는 새로운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미국인이 처음 성생활을 시작하는 연령대는 15세에서 20세 사이다. 페기 오렌스타인은 십 대부터 이십 대 여성 70명을 심층 인터뷰하면서 청소년이 경험하는 성문화의 심각성을 확인한다. 미국 십 대 청소년들은 가벼운 만남을 추구하는 ‘훅업(hook-up) 문화’에 빠져 있고, 스마트폰으로 외설적인 메시지나 음란 사진을 주고 받는 ‘섹스팅(sexting)’을 통해 이성을 만난다. 외모 가꾸기에 관심이 많은 십 대 소녀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핫(Hot) 한’ 면모를 보여주려고 한다. 또래 이성 친구들 앞에서 자신의 ‘섹시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 소녀들은 자신의 외모, 몸무게 등에 지나치게 신경 쓴다. 페기 오렌스타인은 외모를 보여주고 확인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와 섹스 코드로 청소년을 사로잡는 대중문화를 십 대 소녀들의 몸을 성적 대상화로 전락하게 만드는 사회적 원인으로 지적한다.
미국 청소년들은 임신 위험성이 낮은 오럴 섹스를 선호한다. 그런데 성에 잘못 눈뜬 남학생들은 자신의 쾌락을 충족하기 위해 여학생에게 오럴 섹스를 하자고 제안한다. 여학생은 상대 이성의 기분을 맞춰줘야 한다는 생각에 어쩔 수 없이 ‘찝찝한 첫 경험’을 하게 된다. 삽입이 없는 오럴 섹스가 어째서 ‘첫 경험’이냐고 반문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오럴 섹스도 ‘성생활’의 일부이며 남녀 모두 만족스러운 성 생활을 하려면 서로 마음이 일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의 오럴 섹스는 남녀 간의 애정이나 화합과 무관하며 남학생이 주도하는 반강제적 성행위다. 그리고 ‘찝찝한 첫 경험’을 겪은 여학생은 남성이 주도하는 성행위에 수동적인 반응을 보이게 된다. 페기 오렌스타인은 ‘섹스’와 ‘성생활’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부모, 특히 아버지들은 아들이 이성 교제를 막 시작했거나 음란물을 본 사실을 알아차리면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우리 아들, 여자 친구를 사귀고 있구나. 대견해!”, “너도 야동을 보다니 요 녀석 다 컸구먼.” 이러한 아버지들의 반응에는 ‘남성이 이성을 만나고, 성에 눈을 떠야 어른이 된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아버지는 아들의 성욕과 쾌락을 자연스럽게 여긴다. 반면 딸이 이성 교제를 잘못해서 본의 아니게 임신을 하면 부모는 딸을 꾸짖는다. 여학생을 임신시킨 아들을 둔 부모들은 사건의 책임을 여학생에게 전가한다. 성폭행 피해자가 된 여학생은 주변으로부터 배척당한다. 사람들은 야한 옷을 입거나 남성을 유혹하게끔 대화를 하는 여성의 행동이 성폭행을 자초하는 일이라고 착각한다. 이러한 잘못된 통념 때문에 성폭행 가해 남학생에 대한 법적 처벌이 미미해지고, 성폭행 피해 여학생은 ‘걸레’, ‘창녀’ 소리를 듣는다.
페기 오렌스타인은 부모야말로 바람직한 성행위가 무엇인지 가르칠 수 있는 최고의 선생님이라고 말한다. 대부분 부모는 자녀의 성적 욕구를 이해하고 확인하는 일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부끄러워하면 지는 거다. 부모는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나타나게 될 몸의 변화와 남녀 모두 만족하는 첫 경험이 건강한 성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자녀에게 알려줘야 한다. 부모는 자녀가 올바른 방향으로 성에 눈뜰 수 있도록 늘 지켜보고 가르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방비한 상태의 자녀는 편견과 위험이 도사리는 성문화에 빠져든다.
아이가 이성 친구를 만나 첫 경험을 했는지, ‘원 나잇 스탠드’와 ‘데이트 강간’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아이에게 물어보는 것은 부모와 자녀 모두 부끄럽게 만드는, 민망한 질문이 절대로 아니다. 어떤 독자는 이 책을 ‘자극적인 언어만 난무한 섹스 보고서’라고 했다. 이 책을 읽고도 저자의 성교육 방식이 낯 뜨겁다고 생각한 독자들이 꽤 있다면 심각한 일이다. 그들은 구시대적 성교육에 익숙해져 있다. 여전히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구시대적 성교육을 배우고 있으며 그걸 배우면서 자란 부모는 성에 관련된 현실적 문제를 만나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섹스와 피임만 가르쳐주는 성교육이 전부가 아니다. 성 평등, 동성애, 데이트 강간 등 현실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가르쳐야 한다. 성교육은 아이만 배우는 과목이 아니다. 죽을 때까지 어른들도 배워야 한다. 성교육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성교육 지도 방식에 주도적으로 피드백해줄 수 있는 학문이 페미니즘이다. ‘페미니즘 성교육’은 아이, 어른 모두를 위한 교양 과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