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렷!”
시끌벅적했던 잡담 소리는 반장의 ‘차렷’ 소리 앞에 멈춘다. “선생님께 경례!”라는 반장의 구령에 학생들은 “안녕하세요”라며 입을 모아 외친다. 학창시절 교실을 생각하면 으레 떠오르던 너무나도 익숙한 장면.
내가 고등학생이었을 때였다. 서울시교육청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군대식 문화를 청산하는 취지에서 ‘구호 없는 학교 만들기’ 운동을 시범으로 시행한 적이 있었다.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구령 문화 대신 선생님과 학생 사이의 자연스러운 인사가 오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교실에서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군사문화를 완전히 몰아내는 과정에 여러 가지 진통이 일어났다. 교사들은 ‘차렷, 경례’ 구호가 없으니까 학생들을 집중시킬 수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요즘도 학교에서 ‘차렷, 경례’를 하는지 모르겠다. 이런 문화가 여전히 남아있다면 일상화되었다고 봐야 한다. 교실 앞 벽에 걸린 액자 속 태극기, 교장 선생님 훈화를 듣는 조회, 두발검사. ‘전통’이라는 이유로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하는 군대식 문화의 잔재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알고 있어도 싹 갈아엎어 없애기가 힘들다. 왜냐하면, 권위주의의 수혜자라 할 수 있는 기득권이 침묵하거나 외면하기 때문이다. 학교는 기존 질서에 순응하는 의식을 학생들에게 이식하기에 딱 좋은 최적의 공간이다. 우리의 생활이 하루가 다르게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어도 사회 곳곳에는 아직도 구시대적 관습과 봉건적 규범들이 그대로 온존되고 있다.
박노자의 《당신들의 대한민국 1》(한겨레출판사 · 2001), 《당신들의 대한민국 2》(한겨레출판사 · 2006), 진중권의 《호모 코레아니쿠스》(한겨레출판사 · 2007)는 우리 주변에 볼 수 있는 전근대적인 의식과 규범이 어떤 게 있는지 적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두 저자의 시선은 여전히 불합리한 측면으로 작용하는 우리 사회의 악의 지점을 포착한다. 이 악의 지점이란 ‘군대식 문화’와 ‘권위적인 폭력의 논리’다. 권위주의의 또 다른 이름은 ‘폭력’과 ‘통제’다. 군대 문화, 위계질서를 이용한 ‘갑질 문화’ 등은 집단의 권위로 개인의 인권을 짓밟는 점에서 한결같이 억압적이다. 사회 각계각층의 혈기왕성한 젊은이들을 군대에 적응시키는 과정에서 폭력은 ‘필요악’처럼 생겼다. 박노자는 군대에서 몸에 밴 폭행 습관이 제대 후 가정 폭력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한다. ‘경력’을 의미하는 소위 ‘짬밥(‘잔반’을 변형시킨 군대식 속어) 문화’는 군대처럼 서열이 형성된 기업으로 전이되었다. 오래 일하면 일할수록 높은 급여를 받는 연공서열형 임금 체계(호봉제)는 근무성적 평가에 악영향을 준다. 연공서열은 기본적으로 점진적인 축적을 중시하기 때문에,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국인은 자연의 순리에 맞게 살아가는 농경문화 속에 살았다. 그러다가 일제강점기를 지나 1970년대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사람들은 갑자기 ‘인간 개조’를 하기 시작한다. 한국인은 집단 훈육 및 통제를 강조하는 학교와 군대에서 뜯어 고쳐지면서 자란다. 사람이 인격체가 아니라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도구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국가에 바치던 ‘공적 충성의 의무’는 오늘날에는 회사의 발전을 위해 바치는 ‘사적 충성’으로 변질되었다(《호모 코레아니쿠스》 40쪽). ‘사적 충성’을 공공연하게 드러나는 공간이 ‘직장 내 단체 카톡방’이다. 단체 카톡방을 통해 업무 지시를 하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근로 시간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단체 카톡방은 퇴근 후나 주말에도 족쇄가 된다. 이건 ‘소통’이 아닌 ‘고통’이다. 상사는 단체 카톡을 통해 부하 직원들과의 ‘소통’을 원하겠지만, 실상은 소통을 가장한 ‘통제’에 가깝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808/pimg_7365531661712786.png)
‘공관병 갑질’로 물의를 일으킨 박찬주 대장 부부. 군 검찰 조사를 받은 대장 부인은 ‘아들 같은 마음’으로 장병을 대했다고 말했다. 그녀의 궤변을 순간적으로 듣는 순간, ‘국가의 아들’인 장병이 훈련하는 도중 크게 다쳤거나 불치의 병에 걸렸을 때 ‘남의 아들’로 취급했던 국방부와 군대의 쌀쌀맞은 반응이 오버랩되었다. 우리 어머니는 내가 마음에 안 들어서 혼을 내면 회초리를 들었지, ‘칼’을 휘두르지 않았다. 대장 부부의 몰상식한 행동은 단순히 개인적인 성격의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폭력과 통제를 앞세운 군대식 문화가 몸에 밴 생활에서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일본의 군사문화는 포로에게 인격적인 모욕을 가하는 것을 자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이게 했다. 포로들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수용소 군속과 일본군들에게 경례를 해야 했다. 심지어 장군에게까지 밥을 나르게 명령하여 모욕을 주었다. 포로들로 하여금 서로 마주보고 뺨을 때리도록 해 수치심과 죄책감을 유발했다.
(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 《군함도, 끝나지 않은 전쟁》 208~209쪽)
군대 밖에서 ‘일제 잔재’인 군대 문화는 ‘군대에 다녀온 남자들이 잊지 못하는 추억’으로 미화된다. 억압적인 분위기를 참고 견딘 남자들에게 군대 문화는 꿈속에도 나올까봐 두려운 '끔찍한 추억'이다. 우리가 늘 지적하고, 분노하는 갑질 문화의 뿌리 중 하나가 군대 문화다. 그 뿌리로 ‘권력’이라는 영양분을 먹고 자란 사람들이 너무 많다. 발본색원(拔本塞源)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잔뿌리들이 무성하게 돋아나서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