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만히 가까이 - 배꼽에서 눈물까지, 디테일로 본 서양미술
유경희 지음 / 아트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어느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은 사진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본다고 한다. 심리학 연구팀은 남녀 대상으로 다양한 사진과 그림을 보여주고, 그들의 시선이 어디에 머무는지 관찰했다. 이들의 시선이 공통으로 머문 곳은 눈과 손과 같은 신체 부위였다. 그러나 여성은 남성과 비교하면 사람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하고 얼굴 아랫부분이나 다른 신체 부위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팀은 여성이 타인의 시선을 마주치는 부담감을 피하려고 의도적으로 다른 쪽으로 시선이 향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림을 바라보는 남녀의 시선은 ‘초점’과 ‘산점(散点)’에 비유할 수 있다. 초점은 사물의 중심 부분을 바라보는 하나의 고정된 시선이다. 초점의 반대말인 산점은 여러 곳으로 분산된 시선이다. 이 두 가지 시선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그림을 볼 줄 알아야 한다. 처음에는 자연스럽게 시점을 이동하면서 그림을 살펴본다. 마음에 드는 그림의 세부 묘사를 발견하면 거기에 초점을 맞추고 지그시 바라본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그림의 세부 묘사를 깊이 있게 관찰할 수 있다. 《가만히 가까이》(아트북스, 2016)는 서양 미술 속 몸과 몸짓을 좀 더 세밀히 접하고, 자기만의 시선으로 그림을 느껴보는 취지로 쓰였다. 이 책에 나오는 글은 네이버에 연재한 ‘몸으로 본 서양미술’을 수정 · 정리한 것이다.
저자처럼 그림 속 몸을 꼼꼼하게 훑어보면 그 그림 전체가 새롭게 보인다. 따라서 디테일(detail)을 살펴보고 음미하는 것은 그림을 이해하는 데 더없이 좋은 방법이다. 사람마다 그림을 보는 시선의 흐름은 다르다. 그러나 ‘색다르게 보는 것’을 즐길 줄 아는 여유가 있다면 눈이든, 코든, 입술이든, 그림의 구석구석을 살펴볼 수 있다. 저자가 천착하는 주제는 ‘몸의 섬세한 매력’이다. 미술에 재현된 몸 속에 절망과 웃음과 눈물을 지닌 하나하나의 특별한 이야기가 숨어 있다.
렘브란트(Rembrandt)는 고통, 상처, 절망의 상황에서 자화상을 그렸다. 그는 자화상 제작을 통해 절망감에 휩싸인 세상에서 희망으로 상징되는 예술의 본질을 알아보려 시도했다. 자화상 속 화가의 눈은 인간적 체취와 고독을 강하게 느끼게 한다. 렘브란트의 눈빛이 무언의 목소리로 말하고 있다. 자신의 얼굴이 화가가 지녀야 할 자긍심이 남아있는 영혼의 얼굴이라고.
케테 콜비츠(Kathe Kollwitz)의 『죽은 아이를 안고 있는 어머니』는 ‘눈물’을 주제로 한 글의 제목 ‘액체로 된 포옹’에 잘 어울리는 그림이다. 그 그림을 보면 죽은 아이의 가슴팍에 묻고 흐느끼는 어머니의 울음소리가 들려오는 듯하다. 세상의 슬픔을 끌어안으며 피눈물로 새긴 그림을 생각하면 4년 전 진도 바다 한가운데서 생긴 거대한 환부의 흉터가 생각난다. 콜비츠의 그림은 가라앉고, 녹슬어버린 환부의 흉터를 만져보라고 우리의 손길을 천천히 잡아끈다.
프리다 칼로(Frida Kahlo)는 자신의 여동생에게 향한 남편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의 애정 편력을 알고는 자신의 긴 머리카락을 잘라버린다. 그녀가 머리카락을 자르는 행위는 남편에게 보내는 복수의 신호이며 새로운 삶의 길을 찾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책에 나오는 모든 그림을 오랫동안 관찰하면 그 속에 들어있는 예술가의 의미를 알아낼 수 있다. 저자가 알려준 대로 그림을 바라보지 않아도 된다. 마음 가는 대로 그림의 디테일에 다가서는 일은 자유로운 유희다. 독자는 거기서 주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자유롭게 그림을 매만지고 느껴볼 때 비로소 미처 보지 못한 아름다움을 확인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