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ㅣ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아폴로도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4년 6월
평점 :
그리스 신화는 서양인들의 인생관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신화에 담겨 있는 온갖 유형의 이야기는 서양 예술의 중요한 모티브로 작용해 왔다. 아폴로도로스의 《Bibliotheke(비블리오테케)》는 신화의 내용과 신화 속의 영웅들이 벌인 행동 및 사건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문헌이다. 특히 각기 다른 출전에 따른 이설들을 꼼꼼히 구별하여 주석으로 정리했고, 신과 영웅들의 계보를 수록하여 신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아폴로도로스는 기원전 2세기에 활동한 아테네 출신의 문법학자로 알려졌다. 그가 남긴 문헌 제목이 ‘비블리오테케’, 우리말로 풀이하면 ‘도서관’이다. 소크라테스는 ‘문자는 진리가 아니라 사이비 진리일 뿐’이라며 생각의 문자화를 경계했다. 그러나 생각은 끊임없이 문자로 기록됐고 도서관은 진리의 보관소라는 신성한 장소가 되었다. 지금은 파괴되어 사라져버렸지만 ‘세상의 모든 책’을 정리한 곳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었다면, ‘세상의 모든 그리스 신화’를 정리한 책은 《비블리오테케》이다. 아폴로도로스가 인용한 고대 문헌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와 고대 그리스의 시인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 등이 있다.
그리스 신화가 다양한 형태로 우리나라에 소개됐지만,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위해 단편적인 이야기 묶음으로 편집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다 보니 원전의 묘사가 삭제되거나 윤색되어 흥미 위주의 신화 편집이 주류를 이루게 됐다. 그동안 우리는 《비블리오테케》와 같은 원전을 1차 문헌으로 삼아 후대에 편집된 2차 문헌으로 신화를 접했다. 이는 신화 체계를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대부분 사람은 신화를 ‘허위로 가득한 재미있는 이야기’, ‘상상력의 보고’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신화 모음집을 만든 아폴로도로스와 고대 그리스인들은 신화 자체를 허구 아닌 진실이자 역사로 이해했다. 그래서 그리스 신화의 원전을 읽을 땐 신화를 고대 그리스의 세계관이자 사상체계로 봐야 한다. 신화를 재미로 보는 건 문제없으나 흥밋거리로 신화를 이해하는 태도와 고대 그리스인의 관점에서 신화를 이해하는 태도는 확실히 차이가 있다.
《비블리오테케》는 순수한 그리스 신화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이다. 호메로스의 작품과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비하면 이야기가 몰입력 있게 전개되지 않는다. 아폴로도로스는 기존의 그리스 신화들을 두루 간추려 모아 정리했다. 그래서 《비블리오테케》에는 독자의 흥미를 이끄는 서사적 갈등 구조가 눈에 띄지 않는다.
가령, 아폴로도로스는 아르테미스(Artemis, 사냥의 여신)의 분노로 사슴으로 변한 사냥꾼 악타이온(Actaeon) 이야기를 무미건조하면서도 아주 간략하게 설명한다.
아쿠실라오스에 따르면 그렇게 죽은 것은 그가 세멜레에게 구혼하는 바람에 제우스가 노했기 때문이라고 하나 대부분의 작가에 따르면 그가 아르테미스가 목욕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여신이 당장 그를 사슴으로 바꿔버리고 쉰 마리나 되는 그의 개떼를 미치게 하자 주인인 줄도 모르고 그를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201쪽)
악타이온 이야기를 인상 깊게 본 독자라면 아폴로도로스의 문장을 보고 허전하게 느낄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설명에는 극적인 긴장감 자체가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를 쓴 오비디우스는 길을 헤매던 악타이온이 불행하게도 아르테미스가 목욕하는 광경을 보게 되는 일촉즉발의 상황을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변신 이야기》에서는 아르테미스가 저주를 담아 악타이온의 얼굴에 물방울을 뿌리는 장면이 나오지만, 《비블리오테케》는 그 결정적인 장면이 없다. 오비디우스는 신화 속 등장인물에게 질투나 선망 등 인간의 다양한 감정들을 부여하여 역동성을 강조했다면, 아폴로도로스는 그동안 알려져 있던 그리스 신화들을 모아 ‘지식’이라는 일관된 형태로 엮어냈다.
《비블리오테케》를 읽는 일은 독자가 신화를 저 높은 곳에 위치해 있을 뿐인 ‘신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삼라만상의 진리를 아우르고자 했던 인류의 야심이 묻어나는 지식의 보고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이 책으로 서양문화의 기저를 흐르고 있는 신화의 정수를 뽑아낼 수 있다. 방대한 신들의 계보를 이해하는 일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조급해하지 않고 깊이 생각하며 천천히 읽어 나간다면, 신화를 보는 시각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긴다. 신화는 ‘과거를 알기 위한 지식’이지만, ‘오늘날 알아야 할 상식’이 아니다. 신화는 하나의 시원에서 출발해 가지를 뻗음으로써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했다. 가장 나중에 자란 가지 하나에 '상식’이라는 이름을 붙여졌고, 우리는 그것만 가지고 ‘신화’를 제대로 이해했다고 착각했다. ‘신화’라는 나무 전체를 보지 못한 채 나뭇가지 하나만 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