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샘의 문학 수업 - 7회(이육사)

 

 

 

 

 

 

  

요즘 읽고 있는 미술 도서가 사바나미술관 관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명옥 씨의 <아침미술관> 2권이다. 작년에 발간된 1권을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올해 나온 2권에 대한 기대도 컸다. 365일 매일 아침 그림 한 점씩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1권은 1월에서 6월까지, 2권은 7월에서 12월까지 나뉘어져 있다. 그래서 1권을 읽은 이상 2권도 안 읽을 수가 없다. 이 책 두 권을 구입하여 저녁때는 칼 힐티의 에세이집이나 톨스토이의 <인생이란 무엇인가>, 아침에는 이 책을 하루씩 읽는 것도 참 괜찮은거 같다.  그림 한 점과 저자의 단상을 함께 읽으면서 하루의 시작을 여는 아침에 정신적인 포만감이 들 것이다.  

 

 

 

  

 

 

 

 

2권에도 1권처럼 유명 화가의 명화들과 아직까지 나에게 생소한 국내외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비록 이틀만에 다 읽었지만, 수많은 그림과 글 중에서 인상 깊은 것도 있었다.

 


존 에버렛 밀레이 <눈 먼 소녀> 

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889992  

 

2권 [8월 12일 - 희망의 무지개] 라는 글에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에 활동했던 밀레이(1829~1896)가 그린 유명한 <눈 먼 소녀>가 소개되어 있다.   

그림 속 두 여성은 자매이다. 여기서 눈 먼 소녀가 언니이며 장님인 언니 품 안에 앉아 있는 어린 소녀는 그녀의 동생이다. 장님 소녀의 무릎 위에 손풍금이 있는걸로 봐서는 손풍금 연주로 돈을 버면서 근근히 동생과 떠돌이 생활을 하고 있다.  

(대부분 이 그림에 대한 설명에는 손풍금 연주로 연명하는 가난한 부랑자 자매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나는 그림 한 점을 보면 그림에 대한 나만의 해석도 해본다. 처음 이 그림을 본 순간, 두 자매가 부랑자 생활을 한다기보다는 비 오고 난 뒤에 잠깐 나들이를 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림 속 손풍금은 그냥 평소에 장님 소녀가 연주하는 악기일 수도 있다고 본다) 

잠깐 소나기가 지난 간 하늘에는 구름 한 점이 없이 청명하다. 거기에다가 정말 보기 드문 쌍무지개까지 떠 있어서 언니 옆에 있는 동생의 시선은 하늘 위의 쌍무지개로 향하고 있다. 평생 한 번 보기 어려운 장면을 목격한 순진무구한 동생은 앞을 보지 못하는 언니에게 쌍무지개를 봤다고 살짝 귀뜀을 했을 것이다. 두 자매가 꼭 맞잡고 있는 손에는 자매 간의 두터운 정(情)을 넘어선, 그녀들이 겪어야 할 어렵고 힘든 세상 풍파를 헤쳐나갈 수 있는 삶에 대한 희망의 끈이 쥐어져 있다.

어쩌면 하늘 뒤의 쌍무지개가 지상에 있는 두 자매를 상징할수도 있겠다. 비가 내린 뒤에 생기는 무지개가 '희망'을 상징하고 있는, 지상과 하늘을 연결하고 있는 아름다운 끈이니까.  

이명옥 씨는 워즈워스의 시 <무지개> 한 구절로 단상을 마무리하고 있다.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내 가슴은 뛰나니 

  나 어려서도 그러했고 어른이 된 지금도 그러하고 늙어서도 그러할진대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죽는 것이 나으리. 

  - 윌리엄 워즈워스 <무지개> 중에서, <아침미술관 2>에서 재인용 -

이 시를 인용하면서, 단상은 독자들에게 힘든 삶 속에서도 희망의 무지개를 바라보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워즈워스의 이 유명한 시도 참 좋은 내용이지만, 사실 이 워즈워스가 이 시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지개를 통해서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예찬하고 있다.  나는 밀레이의 그림을 보면서 문득 시 한 편이 떠올렸다. 워즈워스의 시 대신에 내가 생각한 이 시를 글에 삽입했으면 참 좋았을 것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치쳐 끝난 고원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이육사 <절정> -

 

 

 

 

  

 

 

 

 

 

 

이육사(1904~1944)는 일제 강점기 때 활동한 저항 시인이다. 그의 시에는 서정적인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일제에 대한 민족적 저항 의식이 담겨져 있다. 시 속의 '매운 계절의 채찍' 과 '서릿발' 은 일제 강점하의 가혹한 현실을 상징하고 있다. 시 속 화자는 북방에 휩쓸려 오고, 고원 위에 서 있는 모진 극한적 고통의 현실에 처해 있다. 그는 자신이 처한 모든 고통과 어려움을 자신의 의지로 견뎌 낼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하지만, 그는 힘든 현실 앞에서 체념하지 않는다. 싸늘하고 비정한 '겨울' 이지만 화자는 눈을 감으면서 황홀한 아름다움을 지닌 것으로 현실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은 화자의 머리속에는 '강철로 된 무지개' 가 떠오르고 있다.  극한 상황에서 참된 삶의 아름다움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이 시에서 느낄 수 있다.  

  

비록 장님 언니는 동생과 함께 이 아름다운 세상의 장면을 볼 수 없지만 그녀 역시 마음속으로 쌍 무지개를 그리고 있을 것이다. 그녀의 얼굴에는 자신이 장님이라는 불행한 운명과 아직 세상을 모르고 있는 어린 동생을 보살펴야 한다는 걱정과 두려움이 느껴지지 않는다. 단순히 하늘 위에 떠오른 아름다운 쌍 무지개가 아닌 이육사의 시처럼 삶의 시련을 견뎌낼 수 있다는 희망으로 이루어져 있는 아주 튼튼한 강철의 쌍무지개를 떠올리고 있을 것이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이들에게도 고난과 시련 앞에서 절대로 끊어지지 않는 강철로 된 무지개가 떴으면 좋겠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0-10-31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육사 강철무지개 하면,이병희님이 생각나요.

옛날에 쌍무지개 뜨는 언덕이란 제목의 책도 있었는데 말이죠~
저 그림에 대한 님의 해석도 멋진걸요~^^

cyrus 2010-10-31 23:59   좋아요 0 | URL
<쌍무지개 뜨는 언덕>이라는 책 제목,,,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거 같은데,,
한 번 어떤 책이 검색해봐야겠네요.
그리고 나무꾼님이 언급하신 이병희 님이
어떤 분이신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이 그림 참 좋은거 같습니다. 살면서 힘들고 지칠테 보면 좋을
피로회복제 같네요^^

양철나무꾼 2010-11-01 00:37   좋아요 0 | URL
제가 말씀드리는 것보다,인터넷 검색이 더 정확할텐데...
이육사 시인의 옥바라지를 한 인물로 알고 있습니다.
이분이야말로,이육사 시 속의 그 '강철무지개'라는 생각이 듭니다.
언젠가 TV다큐프로그램에서도 이 병희 님을 조명했었죠~^^

글샘 2010-11-08 19: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림 보여주는 손가락>이란 책이 있습니다. <김치샐러드>란 작가 건데...
표지 그림이 저 자매입니다.
근데... 저 무지개랑, 절정의 무지개는 좀 다른 거 같습니다.
이육사의 시는, 1,2,3연에서 좌절이 잇빠이 되고,
그 좌절의 원인인 <겨울 : 일제 강점기>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 '강철로 된 무지개'거든요.
그러니깐, 희망이라고 보긴 좀 어렵겠구요. 스러질 것이긴 한데, 엄청 강한 존재. 이렇게 보는 게 가까울 듯...

cyrus 2010-11-08 20:37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저는 이육사의 시에 나오는 무지개를 고난(일제 치하)을 견디게
하는 희망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군요. 그리고 밀레이의 그림에 나오는
자매들에게는 삶에 대한 좌절이 보이지 않으니 이육사의 시랑 매치가 안 맞네요. 날카로운 지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