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로카의 뇌 - 과학과 과학스러움에 대하여 ㅣ 사이언스 클래식 36
칼 세이건 지음, 홍승효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0년 8월
평점 :
평점
4점 ★★★★ A-
뇌졸중의 가장 큰 후유증은 언어장애다. 뇌졸증으로 뇌가 손상되면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의사를 말로 표현하지 못하게 되는 실어증이 나타난다. 대뇌피질의 왼쪽 반구에 ‘브로카 영역(Broca’s area)’이 있다. 브로카 영역은 뇌에서 처리된 언어 정보를 입으로 표현하도록 주관하는 역할을 한다. 브로카 영역이 손상되면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프랑스의 외과 의사 폴 브로카(Paul Broca)는 1861년에 자신이 몇 년 동안 진료해오던 환자의 뇌를 부검했다. 뇌를 부검한 결과 대뇌피질 왼쪽 반구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것을 발견했다. 브로카는 실어증 환자들을 관찰하고 그 사람들이 죽은 후 뇌를 부검했는데, 모두 뇌의 비슷한 부위가 손상되어 있었다. 브로카는 대뇌피질 왼쪽 반구의 특정 영역이 말하는 능력을 담당한다고 주장했다.
브로카의 또 다른 직업은 인류학자였다. 이 사람도 편견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는 뇌의 크기에 따라 인간을 서열화하려고 했다. 브로카는 남성이 여성보다, 백인이 흑인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머리가 크면 똑똑하다는 믿음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속설이다. 하지만 19세기의 학자들은 검증 절차를 하지 않은 채 비과학적인 것을 그대로 믿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이 1979년에 발표한 책 《브로카의 뇌》는 과학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마주칠 수 있는 오용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그는 자유로운 탐구를 하는 과학자라면 자신들이 하는 일을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한다. 과학자들이 대중과 소통하는 일을 소홀하게 하면, 대중은 과학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러면 오용의 위험은 더욱 커진다. 과학에 친숙하지 않은 대중은 과학적이지 않은 속설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세이건은 경계 과학(borderline science)에 관심을 가졌고, 경계 과학의 허점을 비판하는 일에 평생을 바쳤다. 그는 책의 서문에서 경계 과학과 종교(학교에서 지적 설계론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종교 근본주의자)에 허울뿐인 내용이나 위험한 요소들이 많다고 지적한다. 경계 과학을 신봉하는 학자들은 우리가 그동안 학교에서 배워온 과학 이론이 터무니없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자신들의 견해가 비판받거나 검증받는 상황이 오면 침묵한다. 철저한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경계 과학의 등장은 ‘자유로운 과학 탐구의 오용’에서 비롯된 위험한 현상이다.
그는 ‘회의적인 정밀 조사’가 이루어져야만 학문으로 위장한 난해한 허튼소리를 가려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과학자가 되려면 호기심만 있어서는 안 된다. 오래된 도그마에 기꺼이 도전하려는 마음가짐, 즉 전통적인 지혜에 의문을 제기하는 용기도 있어야 한다(32쪽). 진실을 알고 싶어 하는 호기심, 그리고 진실을 보지 못하게 만드는 낡은 지식과 사이비 지식에 도전하는 용기. 이 모든 것은 과학자들만 가지는 특별한 무기가 아니다. 세이건은 사물의 핵심을 파고드는 지적인 행위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과학적인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독자들에게 자신감과 용기를 북돋는다.
만약 당신이 그럴듯한 가설을 제시하고 그 가설이 타당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다른 지식들과 합치하는지 검토하면서, 또 자신의 가설을 입증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실험에 대해 생각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 당신은 과학을 하는 중이다. 이러한 생각 습관을 더 많이 실천할수록 당신은 과학을 더 잘하게 된다. 사물의 핵심을 파고드는 일은 아마도 이 행성 위에 사는 모든 존재들 중 오직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일종의 희열을 안겨 준다. 우리는 지적인 종이고 지능의 사용은 우리에게 상당한 즐거움을 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뇌는 근육과 같다. 생각이 잘될 때, 우리는 기분이 좋아진다. 이해는 일종의 황홀경이다.
(2장 『우리가 우주를 알 수 있을까? 소금 한 톨에 대하여』 중에서, 33~34쪽)
과학자가 아닌 보통 사람들은 분명히 똑똑하다. 하지만 세이건이 지적했듯이 보통 사람들에게 부족한 것은 비판적인 사고의 체계적인 훈련이다(85쪽). 인간이라는 존재는 생각보다 어수룩하다. 자신이 확실하다고 믿고 있었던 지식이 철저한 검증을 통해서 허점이 드러나게 되면 이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가설을 검증하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는 과학자들도 새로운 지식이 나타나면 두 팔 벌려 환영하지 않는다. 세이건은 과학의 자기 수정적인 특성을 강조하면서 동료 학자 또는 과학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과학도들에게 뼈 있는 충언을 한다.
과학자들은 새로운 증거나 주장이 제시되면 자신의 마음을 공개적으로, 완전히 바꿔야 한다.
(5장 『몽유병자들과 미스터리를 퍼뜨리는 사람들』 중에서, 103쪽)
《브로카의 뇌》에 수록된 몇 편의 글을 주의 깊게 읽어보면 회의주의자의 올바른 자세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첫 번째 자세는 새로운 지식에 접근하려는 개방적인 태도이다. 두 번째 자세는 새로운 지식을 냉철하게 검증하는 일이다. 마지막 세 번째 자세는 역사 속으로 퇴장하게 될 낡은 지식을 기꺼이 포기하는 용기이다. 회의주의자는 자신의 오점을 순순히 인정할 줄 안다. 자신의 오점을 인정하는 용기가 부족한 사람은 회의주의자가 아니라 아집이 많은 사람이다. 아집은 회의주의의 정신이 아니다.
※ Mini 미주알고주알
1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20/pimg_7365531662808338.jpg)
* 29쪽
고대 그리스에서 프로크루테스[주1]의 침대나 야만적인 행위로 여행자와 시골 사람 등을 공포에 떨게 했던, 노상강도와 멧돼지를 연상시킨다. (프로크루스테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로 지나가는 나그네들을 잡아다가[주2] 침대에 눕힌 후 침대보다 키가 작으면 다리를 늘이고 크면 다리를 잘라 사람을 죽였다고 한다. ― 옮긴이)
[주1] [주2]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s)’의 오식. 판본에 따라 이야기의 세부적인 내용이 다르게 나온다. 프로크루스테스는 나그네를 자기 집에 초대하여 극진하게 대접했다(가장 널리 알려진 내용이다). 나그네가 방심했을 때 프로크루스테스는 침대를 제공했다. 그 침대가 바로 그 유명한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이다. 어떤 판본에 따르면 프로크루스테스는 두 개의 침대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프로크루스테스는 신장이 작은 사람에게 크기가 큰 침대를, 신장이 큰 사람에게 크기가 작은 침대를 내주었다.
2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20/pimg_7365531662808329.png)
카미유 플라마리옹(Camille Flammarion)은 프랑스의 천문학자다. 그의 책 『대중 천문학』(Astronomie populaire)은 1880년에 발표되었다. 1894년 미국에 출간된 ‘Popular Astronomy’는 『대중 천문학』의 영문판이다. 책의 발표연도 ‘1984년’은 1894년의 오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