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11일 오후 8시 11분 ~ 오후 9시 50분
지난 9월 말에 처음으로 비대면 독서 모임(zoom 화상 회의)에 참석했다. 횟수로 따지면 어제 모임을 포함해서 세 번째다. 그래도 화상 회의를 준비하는 일은 여전히 서툴다. 비대면 독서 모임을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달라진 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모임 진행을 시작하는 시간이다. 독서 모임은 저녁 7시 30분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비대면 독서 모임은 조금 늦게 시작해야 한다. 왜냐하면 저녁 6시부터 8시 사이에 퇴근하는 참석자는 제시간에 화상 회의에 참석하기 힘들다. 퇴근 시간대는 교통이 혼잡하기 때문에 집에 도착하는 시간이 걸린다. 퇴근하는 도중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화상 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 그러나 대중교통 대신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사람은 운전 중에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없다. 러시아워(rush hour)를 뚫고 집에 도착하면 세면하고 식사를 해야 한다. 화상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식사를 거를 수 없다. 따라서 비대면 독서 모임은 최대한 늦게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필자는 모임에 참석하고 싶은 분들이 좀 더 여유롭게 화상 회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저녁 8시부터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모임에 참석하려는 분들은 필자의 제안에 동의했다.
어제 비대면 모임은 저녁 8시 11분부터 시작되었다. 이날 화상 회의에 참석한 존재는 총 아홉 개체다. 필자가 ‘화상 회의에 참석한 존재’와 ‘아홉 개체’라고 표현한 이유가 있다. 비대면 모임 참석자, 즉 사람은 필자를 포함해서 총 다섯 명이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고양이 세 마리와 개 한 마리다. 원래대로라면 ‘비대면 모임 참석자 다섯 명, 고양이 세 마리와 개 한 마리’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평범하고도 익숙한 표현은 인간과 ‘비(非)인간’인 동물을 구분하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반려동물은 인간이 키우는 동물이 아닌 ‘인간과 함께 사는 가족’이다. 반려동물은 화상 회의를 하고 있는 인간의 행동을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바라본다. 의도치 않게 화상 회의 중에 반려동물이 깜짝 등장한다. 비록 잠깐 화면에 나온 것뿐이고 말을 하지 못하지만, 반려동물이 화상 회의를 하는 사람 주변에 있는 것을 좋아한다면 그 개체는 화상 회의에 참석했다고 볼 수 있다. ‘개체(individual)’는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를 말한다. 동물과 인간은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이므로 개체에 속한다. 그래서 필자는 사람과 동물을 동등한 존재로 보기 위해 사람을 세는 단위(‘명’)와 동물을 세는 단위(‘마리’)를 쓰지 않았다.
필자는 비대면 모임 시작 전날에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모임 참석자에게 직접 물어봤다. “반려동물도 독서 모임에 참석하세요?” 그러자 참석자는 가능하다고 말했다. 필자는 그분을 잘 모르지만, 그분의 언행을 보았을 땐 동물권(animal rights)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대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반려동물은 인간의 집에서 사는 동물도 아니요, 인간의 외로움을 충족시켜주기 위한 살아있는 장난감도 아니다. 반려동물은 인간과 더불어 사는 존재, 즉 가족이나 다름없는 존재다.
※ 어제 비대면 독서 모임은 저녁 8시 11분에 시작해서 9시 50분에 마쳤다. 화상 회의 참석자들은 《침묵의 봄》 9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읽어왔고, 책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었다. 아, 물론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대화도 나누었다. 대화 내용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겠다. 어제 모임 공식 후기(레드스타킹 공식 인스타그램에 공개하는 후기)는 필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쓰기로 정해졌기 때문이다.
화상 회의를 진행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준 사람은 ‘카페 스몰토크’의 주인장 ‘완 사장님(모임 참석자들이 카페 주인장을 부를 때 주로 쓰는 애칭)’이다. 어제 카페 안에 있었던 사람은 총 세 명(필자, 필자의 노트북을 함께 사용한 모임 참석자 한 분, 완 사장)이다. 필자는 노트북 화면에 나온 반려동물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었다.